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ISBN : 9791165343569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21-06-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_ 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나?
1. 우리는 누구일까?
‘호모 사피엔스’라는 이름
사람속의 유일한 종, 사피엔스
인간과 네안데르탈인의 만남
계속 진화하는 인간
인간 세포 지도
2. 불편한 생물학적 진실들
인간은 왜 스스로를 길들이는가?
여러 가지 피부색이 등장한 이유
죽음의 속도, 죽음의 신호
죽을 뻔한 경험과 진짜 죽는 것의 차이
집중해야 한다면, 참아라
3. 가상공간에서 인간으로 살기
불쾌한 계곡과 인간에 근접한 존재
인간의 언어, AI의 언어
협력하려는 본성이 사라지는 이유
피드백, 보상, 중독
4. 인간만이 가진 특이성
장소에 대한 감각
우리는 세균으로 이루어졌다
치매와 치아
운동은 고통이다
숫자 인식의 이중 구조
털은 왜 사라졌나?
5. 사람을 속이는 법
3차원의 조건, 조절과 수렴
거짓말의 기술
중국 음식 증후군
미각과 후각을 믿지 마라
6. 군중 속에서 살아남기
유체역학을 거스르는 군중
달걀 타이머 수수께끼
‘빛의 날개’를 폐쇄한 이유
줄 서기의 수학
비행기 빨리 타는 법
유령 정체
리뷰
책속에서
“인간이라는 것은 과연 무슨 뜻이고, 과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 나는 이 질문의 답을 여러 방면으로 찾아보았고, 과학에서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분야까지 기웃거렸다. 그렇게 ‘인간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려고 노력하면서 흥미로운 정보를 찾아냈다. 나는 인류의 기원을 출발점으로 삼고, 인류의 기원에 관한 최신 연구결과를 계속 확인했다.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과 선조들이 진화해온 세상은 분명히 다르고, 우리는 여전히 ‘탐색자’ 위치에 있다. 우리는 섬처럼 사는 존재가 아니며,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존재다. 세계 인구가 증가하자 인간은 더욱 많은 사람과 함께 지내게 되었다. 그러나 사실 인간이 이렇게 무리 지어 상호작용하는 방식은 우리가 생각하는 모든 물리학 법칙에서 벗어난다. 인간이 모여 있을 때 일어나는 일을 설명하려면, 새로운 규칙과 패러다임을 찾아야 한다.
- 들어가며_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나?
인간 세포 지도 프로젝트는 전 세계 55개국 584개 연구기관의 참여로 1,000여 명의 과학자들과 함께 순탄하게 진행되고 있다. 2018년 4월에 처음으로 발표된 결과에는 50만 종이 넘는 세포의 세부 정보가 담겨 있었다. 이 데이터는 사람의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이해 수준에 새로운 빛이 되기 시작했다.
한 예로, 소아기에 많이 발생하는 신장암의 일종인 윌름스 종양Wilms’ tumour이 사실상 태아가 가지고 있던 신장 세포이며, 이 세포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고 과도하게 분열되면서 종양이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정보를 토대로 윌름스 종양 환자는 전통적인 화학요법 치료 대신 세포 신호를 바로 잡아서 문제의 세포가 신장 세포로 성숙할 수 있도록 만들면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 인간 세포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