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65395353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1-10-14
책 소개
목차
머리글
1. 쌀
2. 밀
3. 보리
4. 옥수수
5. 감자
6. 고구마
7. 콩
8. 팥
9. 녹두
10. 배추
11. 양배추
12. 상추
13. 무
14. 당근
15. 시금치
16. 호박
17. 오이
18. 가지
19. 참깨
20. 들깨
21. 고추
22. 마늘
23. 파
24. 양파
25. 부추
26. 미나리
27. 생강
28. 겨자
29. 후추
30. 향신료
31. 토마토
32. 딸기
33. 수박
34. 참외
35. 감
36. 귤
37. 바나나
38. 배
39. 복숭아
40. 사과
41. 키위
42. 포도
43. 잣
44. 호두
45. 땅콩
46. 밤
47. 버섯
48. 고사리
49. 죽순
50. 연근
51. 소고기
52. 돼지고기
53. 닭고기
54. 미역
55. 김
56. 다시마
57. 명태
58. 고등어
59. 조기
60. 참치
61. 멸치
62. 새우
63. 조개
64. 문어
65. 오징어
66. 산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부 극소수의 사람은 밀가루가 들어있는 음식을 먹으면 설사와 구토를 하고, 배에 가스가 차며, 심하면 쇼크(shock) 상태에 빠지거나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을 ‘글루텐 알레르기’ 또는 ‘셀리아크병(celiac disease)’이라고 한다. 이는 글루텐을 구성하고 있는 글리아딘이란 성분 때문이다.
보통 사람에겐 아무런 해가 없는 이 물질이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는 면역체계에 이상을 일으켜, 자신의 면역체계가 소화효소 또는 장벽(腸壁)을 공격하는 ‘자가면역반응(自家免疫反應, autoi㎜une respons)’이 나타나게 한다. 글루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밀가루가 들어있는 음식을 먹지 않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다.
밀가루
양배추(cabbage)는 배추와 마찬가지로 겨자과에 속하는 채소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이용되고 있다. 스튜 및 볶음요리 등 각종 요리에 널리 이용될 뿐만 아니라 양배추를 잘게 썰어 만든 샐러드인 콜슬로(cole slaw)나 양배추수프는 서양에서 즐겨먹는 전통음식이다.
양배추의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며, 현재도 지중해의 바닷가와 섬에는 양배추의 야생종이 자라고 있다고 한다. 야생종 양배추는 결구(結球)가 형성되지 않는 케일(kale)과 비슷한 형태였으나, 선택재배가 계속되고 변종이 탄생하는 변화를 거쳐 13세기경에 결구형 양배추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 후 유럽 전역으로 급속히 전파되었으며, 아메리카 대륙에는 16세기에 유럽인에 의해 전해졌다. 중국에는 16세기에 도입되었으며, 일본에는 18세기 초 네덜란드인에 의해 전해졌다.
양배추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매운 양파를 재배하고 단 양파는 생식용으로서 극히 일부에서 재배하고 있다. 종묘회사에서 내놓은 자료에 의하면 품종에 따른 맛 차이가 일부 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겉모습으로 구분하기 힘들고, 농협의 수매 현장에서도 품종의 차이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따라서 소비자가 품종을 선택하여 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양파는 숙기에 따라서 조생종과 만생종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조생종은 주로 제주도와 남부해안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만생종은 전국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전에는 조생종은 편평형, 만생종은 구형의 양파가 주류였으나 최근에는 조생 및 만생의 구분 없이 구형에 가까운 품종 위주로 개발되고 있으며, 조생종은 만생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운맛이 약하다.
양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