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5702281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3-11-0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선생님의 글
왜 교실에서 애도를 다루어야 할까? | 위지영
교사를 위한 애도 지침서의 필요성 | 이윤경
안전한 사회 속에 살고 있다는 느낌 | 김대운
서언
1부 슬픔과 애도 이해하기
1장 슬픔 이해하기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슬픔 • 슬픔의 여섯 가지 특징 • 슬픔이 하는 중요한 일들 • 슬픔에서 회복하기 위한 활동 • 슬픔에서 멀어짐을 깨닫는 순간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1: 힘들어하는 아이들 찾고 돕기
2장 애도 이해하기
애도는 여정이다 • 애도의 4단계 여정 • 애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복합성 애도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2: 장례식의 역할
3장 함께하는 애도
애도자의 권리 • 애도자와 동반자의 관계 • 동반자가 해야 할 일 • 서로 배우고 가르쳐 주는 애도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3: 기념일 반응과 애도
4장 정상적인 애도 반응
신체적·정서적·인지적 반응 • 발달 단계와 문화 차이에 따른 아동·청소년의 애도 반응 • 애도 반응을 잘 살펴야 하는 학생들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4: 전문가가 필요한 아이들의 사인(sign)
5장 발달 단계에 따른 슬픔과 애도
유치원 및 초등 저학년(만 3~8세) • 초등 고학년(만 9~11세) • 중학생(만 12~14세) • 고등학생(만 15~17세)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5: 죽음을 표현하기
6장 상황별 애도
애도의 상황별 이해와 도움 • 대상자별 애도 • 상황에 따른 애도의 차이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6: 심리 안정화 기법 네 가지
2부 슬픔과 애도 실천하기
7장 슬퍼하는 이들을 위한 위로의 말
실패한 위로 • 듣고 싶은 말 vs 해야 하는 말 • 해서는 안 될 말과 위로의 힘을 지닌 말 • 학생들이 위로를 표현하도록 돕기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7: 동정보다 공감, 시혜보다 권리, 희생보다 헌신
8장 학교 구성원 사망 시 애도 과정과 학교의 일
죽음을 맞닥뜨린 학교가 할 일 • 비상 대응팀 소집 • 정보 및 교육 제공 • 각종 자료와 연락 체계 마련 • 비상 대응팀 일정 및 전문가 협력 여부 정리 • 위기 대응을 위한 공간 마련 • 언론 담당자, 학부모 및 유가족 소통 담당자 정하기 • 비상 연락망 및 의사소통 체계 점검 • 정보 공유 및 의사소통 방법 정하기 • 필요한 인력 지원받기 • 상담 및 애도를 위한 안전한 공간 마련 • 의례에 대한 지침 안내 • 애도 및 추모 기간과 기간 내 활동 안내 • 학생 참여 방법 함께 정하기 • 애도 관련 수업 진행 • 힘든 구성원을 위한 통합 사례 회의 • 학부모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기 • 사후 평가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8: 선생님 자신을 돌보기
9장 학교와 관련된 죽음이 발생했을 때 업무의 흐름 파악하기
책무에 관한 내용 톺아 보기 • 시간대별 학교 위기 대응 • 학생, 교사, 유가족 지원 프로세스 • 외부 기관 참여 및 역할 분담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9: 학생 가족 돌보기
10장 죽음과 애도에 관한 교실 대화 나누기
고백이 필요한 대화 • 수업 시간에 이야기 나누기 • 죽음과 애도에 관한 10단계 교실 대화 • 애도의 여정은 저마다 다릅니다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10: 생존자 죄책감 치유하기
11장 애도 상담
지지와 격려는 가장 좋은 약이자 효과적인 위로입니다 • 애도 상담은 무엇인가요? • 애도 상담가는 어떤 일을 하나요? • 애도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이 있나요? •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 11: 회복 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나가는 말
부록
학교에서의 애도에 관한 일반적 지침
애도 수업 사례: 이태원 참사 이후, 초등학교 애도 서클의 운영 경험 | 위지영
자살 시도 학생의 담임 선생님에게 드리고 싶은 이야기 | 김대운
급성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 기준
교사를 위한 분노, 애도, 연대의 모임 운영 매뉴얼
주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