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공지능이 가르칠 수 있다는 착각 (AI 시대, 교육의 가치와 교사의 역할을 다시 묻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755338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6-23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755338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6-23
책 소개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을 고민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과 대한민국 교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기술철학자 김재인, 응용언어학자 김성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성장학교 별의 교장인 김현수는 AIDT를 둘러싼 논쟁부터 디지털 부작용, 리터러시 교육 등 오늘의 교육이 마주한 시급한 이슈들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교육의 미래와 대안을 모색한다.
목차
들어가며_인공지능 시대, 다시 교육을 고민하며
1. 인공지능과 학교라는 시스템_ 김재인
+김재인×한희정 대담
2. 디지털 부작용에서 아이들을 지키려면_김현수
+김현수×동소희 대담
3. 인공지능은 리터러시 생태계와 교육을 어떻게 바꿀까?_김성우
+김성우×천경호 대담
덧붙이는 글_AIDT가 교육 격차를 해소할 수 있을까?_천경호
책속에서
인간 지능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무엇일까요? 어떤 것이 문제라는 것을 파악하는 것, 그리고 그 문제를 잘 정리하는 것이죠. 문제를 우리가 풀 수도 있고 인공지능에게 풀라고 시킬 수도 있는데, 이 모든 건 인간이 인공지능에게 내리는 명령입니다. 인공지능이 스스로 알아서 문제를 찾아내고 구성하는 능력은 전혀 없어요. 어떻게 보면 인간에게는 문제를 잘 푸는 것보다 어떤 게 문제인지 인식하고 정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도 해요.
인공지능을 사용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이제 별로 할 필요가 없어요. 이미 다 쓰고 있거든요. 그러니 결국엔 인공지능 없이도 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그게 바로 맨몸의 기능, 역량이에요.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