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629008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0-12-1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제1부 사회는 왜 아픈가
1. 공감이 신앙이고 공생이 구원이다: 평화학이 던지는 질문
2. 연기해야 연극이 된다: 평화들의 조화와 신율
3. 그러나 위험하고 피로한 사회: 자발적 노예들의 시대
4. 예수도 폭력을 썼다: 폭력과 비폭력의 경계
5. 동성애를 혐오하는 이들에게: 혐오와 차별의 천박한 내면
6. 우리도 난민이었다: ‘내로남불’의 난민론
7. 인권은 나의 권리인가: 자권(自權)과 타권(他權)
8. 더 큰 폭력이 더 큰 원인이다: 이스라엘-IS-미국
제2부 세상[世]을 어떻게 넘을까[越]
9. 평범함이 모이면 무력해지는가: 도덕적 개인과 비도덕적 사회
10. 예외가 일상이 되다: 일상의 속살
11. 권력의 목적은 권력이다: 호모 사케르
12. 왜 배가 바닷속으로 들어갔는가: 그들이 세상[世]을 넘는[越] 방식
13. 폭력이 왜 권력이 되는가: 국가와 주권
14. 왜 정치인은 국민을 파는가: 정치와 종교의 모순들
15. 권위는 누가 주는가: 대통령이라는 거대한 호칭
16. 서로 주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증여론
17. 나도 때론 정치하고 싶다: 함께 느리게
제3부 무엇을 내려놓아야 할까
18. 누구를 위한 자유인가: 자유무역협정
19. 자유도 돈으로 사는가: 우리 시대의 장발장
20. 나는 두통을 소유한다: 소유와 존재
21. 오리는 아플 권리도 없는가: 생매장과 살처분
22. 사람이 사람을 죽일 수 있는가: 사형제도
23. 핵발전은 필연인가: 통제 불능의 문명
24. 자연이 공격해온다: 재난과 인공지진
25. 이자를 금하라: 금융경제와 이자놀이
26. 아이도 국가를 위해 낳는가: 저출산 혹은 저출생
27. 학교는 왜 아픈가: 대학의 종말
제4부 한국과 일본은 왜 꼬였나
28. 한국의 시간을 복원하라: 한국 속의 일본
29. 동해는 동쪽인가: 푸른 바다 또는 평화의 바다
30. 일본은 왜 우경화할까: 영혼의 정치학
31. 평화를 내세워 전쟁할 것인가: 책임없는 평화주의
32. 왜 다케시마를 고집할까: 평화헌법 9조에 노벨 평화상을
33. 호국영령도 여러 가지다: 일본 군국주의의 기초
제5부 나에게 무슨 일이 있었나
34. 왜 사람을 쫓아낼까: 아프지만 이긴 사람들
35. 법은 왜 상처를 줄까: 법력, 금력, 권력
36. 왜 자기도 모르는 짓을 할까: 종교의 앵똘레랑스
37. 김 교수는 왜 아팠을까: 악의 발생에 대한 상상
38. 왜 큰 것을 숭배할까: 박사학위에 대한 나의 고백
39. 깨어 있어야 하는가: 중취독성(衆醉獨醒)
40. 나는 무슨 공부를 해 왔나: 심층학의 가능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평화조차 의도와 목적이 자기중심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평화라는 이름으로 폭력이 발생한다. 평화라는 말을 가장 많이 하는 종교들이 도리어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데서 잘 볼 수 있다. (중략) 한마디로 ‘자기중심적인 평화(ego-centric peace)’를 내세운다. 이것이 현실이다. (중략) 평화라는 이름으로 평화를 이루려면 그 자율은 타자를 포함하는 자율이어야 한다. (중략) 성경에 “유대인이나 그리스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차별이 없다.”(갈라디아서 3,28)는 선언이 나온다. 타자를 긍정하면서 타자를 살리는, 그런 의미에서 하나됨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연기해야 연극이 된다: 평화들의 조화와 신율)
자본주의는 더 많은 자본을 생산하기 위해 인간에게 주체적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것을 요구한다.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더 많은 성과를 닦달하듯 요청한다. (중략) 사람들은 자신을 착취해 성과를 극대화하기 시작했다. 성과 사회의 본질이 개인의 자유를 능가해 온 셈이다. 신자유주의는 자발적으로 자기를 착취해 더 많은 성과를 산출할 것을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이다. 자발성의 이름으로 스스로를 속박하며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노예의 길로 들어서는 것이다. (그러나 위험하고 피로한 사회: 자발적 노예들의 시대)
타자로부터 동의를 받으려면 자신을 설명할 뿐만 아니라 타자와 타협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타자가 동의할 수 있을 정도의 자기 개방성을 담보해야 한다. 그럴 때에야 비로소 정체성의 확립 과정이 폭력적이지 않을뿐더러 정당성을 얻는다. 자신 안에 있는 폭력성을 인정하면, 폭력성을 혐오하기보다는 폭력에 분노하며 폭력을 줄이는 길에 나서게 된다. 혐오와 폭력은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하거나 외면하는 데서 비롯되는 일이다. (동성애를 혐오하는 이들에게: 혐오와 차별의 천박한 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