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노자철학
· ISBN : 9791166290657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12-10
책 소개
목차
I 有無相生(유무상생)
II 上善若水(상선약수)
III 微妙玄通(미묘현통)
IV 愚人之心(우인지심)
V 恍兮惚兮(황혜홀혜)
VI 道法自然(도법자연)
VII 道常, 無爲而無不爲(도상, 무위이무불위)
VIII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IX 知止(지지)
X 聖人無常心(성인무상심)
XI 含德之厚(함덕지후)
XII 玄同, 和光同塵(현동, 화광동진)
XIII 治人事天莫若嗇(치인사천막약색)
XIV 天下難事, 必作於易(천하난사, 필작어역)
XV 不敢爲天下先(불감위천하선)
XVI 不爭之德(부쟁지덕)
XVII 易知易行(역지역항)
XVIII 天之道損有餘而補不足(천지도손유여이보부족)
XIX 小國寡民(소국과민)
에필로그: 표지 그림 ‘현빈의 문[玄牝之门]’ 작가노트
리뷰
책속에서
‘무無’에서 하늘과 땅이 시작됩니다. ‘유有’는 어머니처럼 세상 만물을 낳습니다. ‘무無’를 자세히 보면 드러나지 않은 미세한 기운이 보입니다. ‘유有’를 자세히 보면 ‘무無’와 만물이 어떻게 이어져 있는지 보입니다. 세상이 시작된 첫 마음(無, 天地之始)과 세상 만물(有, 萬物之母)은 다른 것이 아니라, 양자 얽힘(quantum emtanglement)으로 이어진 하나입니다.
하늘과 땅 사이는 풀무처럼 텅 비어 있어 써도 써도 끝이 없는 것처럼, 성인은 무슨 일이 일어나든 다 받아들입니다. 지나치게 많이 말하면 궁지에 몰립니다. 무슨 일이 일어나든 텅 빈 중심을 지킵시다(守中).
오래된 것을 이해하면서 현실에 맞게 사용하는 사람은 삶의 양면성을 꿰뚫어보는 미묘현통微妙玄通한 힘이 있어서 그 깊이를 알 수 없습니다. 굳이 그 모습을 설명하라고 하면, 겨울 언 강을 건너듯 주춤거리고, 사방에 어려운 이웃이 있는 것처럼 멈칫멈칫하고, 손님처럼 어려워하고, 녹는 얼음처럼 맺힘이 없고, 다듬지 않은 통나무처럼 소박하고, 계곡처럼 트이고, 계곡을 흐르는 흙탕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