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학의 천지마음

동학의 천지마음

(동아시아인의 눈으로 읽은 해월 최시형)

김재형
모시는사람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동학의 천지마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학의 천지마음 (동아시아인의 눈으로 읽은 해월 최시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8876527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8-10-20

책 소개

동학·천도교의 2대 교주 해월 최시형의 말씀을 기록한 경전 『해월신사법설』을 동아시아 철학과 지혜의 관점에서 현대 언어로 재해석하고 설명하였다. 오랜 기간 인문운동가로 활동하며 한국과 중국에서 다양한 연령의 사람들과 해월을 통한 교감을 시도해 온 저자가 해월의 말씀을 쉬운 번역과 독창적인 해설을 통해 독자를 위한 책으로 풀어냈다.

목차

제1부 해월 선생님의 진리 이야기
천지이기(天地理氣) 천지부모(天地父母)
도결(道訣) 천지인·귀신·음양(天地人·鬼神·陰陽)
허와 실(虛, 實) 심령지령(心靈之靈)
대인접물(待人接物) 영부주문(靈符呪文)
수심정기(守心正氣) 성경신(誠敬信)
독공(篤工) 성인지덕화(聖人之德化)
천도와 유불선(天道와 儒佛仙) 오도지삼황(吾道之三皇)
개벽운수(開闢運數) 수도법(修道法)
부화부순(夫和婦順) 부인수도(婦人修道)
향아설위(向我設位) 용시용활(用時用活)
삼경(三敬) 천어(天語)
이심치심(以心治心) 이천식천(以天食天)
양천주(養天主) 내수도문(內修道文)
내칙(內則) 십무천(十毋天)
임사실천십개조(臨事實踐十個條) 명심수덕(明心修德)
수도(修道) 삼재(三災)
포덕(布德) 오도지운(吾道之運)

제2부 잠언 / 해월시
해월잠언 1. 일상적인 삶이 진리의 길입니다
해월잠언 2. 한울님 말씀과 사람 말이 달라지는 기로
해월잠언 3. 우리 도는 정성·공경·믿음으로
해월잠언 4. 한울과 사람이 하나가 되는 자리
해월잠언 5. 한울의 조화, 마음먹기 나름이다
해월잠언 6. 성경신을 닦고 시정지를 따라 믿으라
해월잠언 7. 환난은 환난대로, 곤궁함은 곤궁함대로
해월잠언 8. 궁을(弓乙)을 그림으로 그리다
해월시(강서) 1. 한울님을 돕는 사람들
해월시(강서) 2. 마음의 주인이 있으니
해월시(강서) 3. 어둠과 밝음 사이와 너머
해월시(강서) 4. 마음 수련하듯이 일하라
해월시(강서) 5. 사람의 무지와 동물의 지혜
해월시(강서) 6. 그에게서 난 것이 그에게 돌아간다
해월시(강시) 7. 정성으로 마음을 지키자
해월시(강시) 8. 태백산에서 49일 공부를 하고
해월시(강시) 9. 바라봄(觀)
해월시(강시) 10. 또 무엇을 알게 될까?
해월시(강시) 11. 통(通)하다
해월시(강시) 12. 온 세상 사람들 모두 친구입니다
해월시(강시) 13. 때는 그 때가 있습니다
해월시(강시) 14. 그날이 언제인지
해월시(강시) 15. 당신을 기다립니다
해월시(강시) 16. 집중하는 마음, 그 마음 사이

저자소개

김재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곡성 이화서원(頤和書院) 대표. 동아시아인문운동가. 인문 공동체 이화서원에서 같이 생활하며 공부한다. 50대의 과제를 동아시아인문운동가로 상상하고 『시로 읽는 주역』, 『동학의 천지마음』, 『아름다운 세 언어, 동아시아 도덕경』을 저술했다. 중국에서 여와자연학교, 삼생곡생태공동체를 기획하고 참여했다. 동아시아 시민운동 네트워크인 동아시아지구시민촌을 같이 만들고 있고, 한국과 중국 시민들이 매달 한 번 화상으로 만나 도덕경을 같이 읽는 모임을 안내하고 있다. 표현예술, 심리치유, 주역의 통찰이 통합된 『시역(侍易)』이라는 책을 쓰고 있고, 시역 집단 심리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민주주의에 대한 성찰을 꾸준히 하고 있고 동아시아의 오랜 지혜와 현대적 감각이 통합된 합의와 조정 지향의 ‘삼세판 민주주의’ 책을 준비하고 있다. 60대는 시역(侍易)의 개인 치유와 삼세판 민주주의의 집단 의식 진화를 두 축으로 해서 살게 될 것 같다. 30대에는 좋은 농민이 되기 위해, 40대에는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살며 곡성에서 죽곡농민열린도서관, 농민인문학, 마을 시집, 보따리학교 운동을 했고, 우리쌀지키기100인100일 운동을 기획했다. 오랫동안 전기없이 사는 삶을 살며 생태적 감성을 키웠고 두 아이와 함께 홈스쿨링으로 공부했다. 지금은 사라진 선애학교 교사였다. 인문 공동체 이화서원은 공식 명칭이 ‘대유大有공간 이화서원 협동조합’이다. 대유大有라는 선물 경제의 삶을 실험하고 있다. 곡성에 기반을 두고 생활을 같이 하며 전국적으로 연결되어 매달 같이 책을 읽고 다양한 강좌를 기획하고 유투브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몇 년 안에 50여 명이 곡성에서 생활과 공부가 연결된 공동체로 진화하길 기도하고 있다. 생활과 공부가 연결된 대학이기도 할 것이다. 매년 주역대회를 열어 동아시아 고전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즐긴다. 10년을 단위로 삶을 재구성하는 데 성공해 왔다. 앞으로 60대, 70대, 80대 세 번 정도 재구성할 기회가 있을 것 같다. 이 과정 전체를 관통하는 힘은 공부와 기도이다. 삶을 통해 기도하고 공부한다. 동학에서는 이런 삶의 기도를 ‘동학한다’라고 표현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 천지이기(天地理氣): 하늘과 땅은 어디서 시작하였고,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우리는 무한한 우주 속에서 이 땅에 온 우주적 존재입니다. 한 사람 한 사람 여기까지 온 길이 다 다르고 모두가 개성을 가진 귀한 사람들입니다. 이 땅에 온 존재들은 우주의 운행 원리인 음양(陰陽)이 사회적 질서로 해석된 이기(理氣)의 조화 속에서 살게 됩니다. 태초의 시작인 하늘과 물이 상호 작용하듯이 음양(陰陽), 건곤(乾坤), 이기(理氣)는 모두 서로 살리고 살립니다. 이론과 실천, 마음과 정성, 나아감과 물러남, 유위와 무위, 남성과 여성, 진보와 보수가 제각각 분리된 것 같지만 이 세상이 자리 잡고 변화 발전하도록 서로 돕는 길입니다. 세상은 크게 봐서 하나입니다. 선하고 악한 것에 지나치게 매달릴 이유가 없습니다. 큰 긍정의 마음으로 세상을 품어 안을 수 있습니다.


● 천지부모(天地父母): 천지부모님을 모시고 잊지 맙시다. 밥은 하늘입니다
천지인(天地人)은 다시 재해석, 정명되어야 할 운명에 놓였습니다. 우리 시대에는 천지인(天地人) 속에 무엇을 담아야 역동성이 살아날까요? 우리 시대 인류의 관계성에는 자유로움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그리고, 자유로움이 고독의 벽에 갇히지 않기 위해서는 관계가 창조적이어야 합니다. 천지인 속에 ‘자유로움과 창조적 역동성’을 담은 새로운 정명(正名)을 저는 조심스럽게 ‘천지마음’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개인의 자유로움과 창조성 속에서 우주적 존재로서 하늘과 땅을 자각하고 실천하는 길입니다.


● 천지인·귀신·음양(天地人·鬼神·陰陽): 마음이란 무엇인가? 의식과 무의식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기운이 마음을 움직일까요, 마음이 기운을 움직일까요? 기(氣)가 마음에서 생겨났을까요, 마음이 기(氣)에서 생겨났을까요? 생겨난 것은 기(氣)이지만, 움직이는 것은 마음입니다. 마음이 조화롭지 않으면 기(氣)는 갈 길을 잃어버립니다. 기운이 바르지 않으면 마음도 자기 궤도를 벗어납니다. 바른 기운이 있어야 마음이 편안히 자리 잡고, 마음이 안정되어야 기운이 바르게 됩니다. 기가 바르지 않으면 마음이 불안하고, 마음이 불안하면 기운도 바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마음 또한 기로부터 나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