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629114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6-20
책 소개
목차
제1부┃지속가능한 평화
제1장┃적극적 평화_ 정혁
Ⅰ. 들어가는 말 Ⅱ. 개념의 등장 배경
Ⅲ. 개념의 구성과 전개 Ⅳ. 개념의 특징과 의의, 비판
Ⅴ. 다른 평화개념과의 관련성 Ⅵ. 한반도 평화에 주는 함의
Ⅶ. 나가는 말
제2장┃정의로운 평화_ 김상덕
I. 들어가는 말 II. 개념의 등장과 전개
III. 개념의 형성과 특징 IV. 개념의 의의와 연관성
V. 한반도에 주는 함의 VI. 나가는 말
제3장┃안정적 평화_ 허지영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과 특징
Ⅲ. 개념의 의의 Ⅳ. 한반도에 주는 함의
Ⅴ. 나가는 말
제4장┃양질의 평화_ 서보혁
Ⅰ. 문제의 제기 Ⅱ. 개념의 등장과 전개
Ⅲ. 개념의 의의와 특징 Ⅳ. 한반도에 주는 함의
Ⅴ. 맺음말
제2부┃자유주의 평화를 넘어
제5장┃포스트 자유주의 평화_ 이성용
Ⅰ. 들어가는 말 II. 개념의 등장과 전개
Ⅲ. 포스트 자유주의 담론의 특징과 의의 IV. 다른 평화개념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V. 한반도에 시사하는 의의 VI. 나가는 말
제6장┃해방적 평화_ 강혁민
Ⅰ. 들어가는 말 Ⅱ. 개념의 등장과 전개
Ⅲ. 개념의 정의와 특징, 그리고 평가 Ⅳ. 다른 개념들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Ⅴ. 한반도에 주는 함의 Ⅵ. 나가는 말
제7장┃일상적 평화_ 허지영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과 특징
Ⅲ. 일상적 평화 개념의 한계와 의의 Ⅳ. 한반도 평화구축과 관련된 함의
Ⅴ. 나가는 말
제8장┃경합적 평화_ 강혁민
Ⅰ. 들어가는 말 Ⅱ. 개념의 등장과 전개
Ⅲ. 개념의 특징, 평가, 그리고 의의 Ⅳ. 다른 평화개념과의 공통점 및 차이점
Ⅴ. 한반도에 주는 함의 Ⅵ. 나가는 말
제9장┃통일평화_ 서보혁
Ⅰ. 들어가는 말 Ⅱ. 통일평화 개념의 등장과 전개
Ⅲ. 통일평화론의 특징과 다른 개념과의 관련성 Ⅳ. 요약과 과제
주석 / 참고문헌 / 집필진 소개 / 찾아보기
책속에서
‘정의로운 평화’(just peace)는 비교적 최근에 구상된 개념이다. 그것은 정의와 평화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정의라는 이름으로 폭력의 사용까지 고민해야 했던 역사가 있었고, 평화라는 이름으로 방기된 억압과 독재의 역사 또한 있었다. 오랜 기간 우리는 정의와 평화 둘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사회가 다원화되고 갈등의 문제가 복잡해짐에 따라 정의, 평화 그 어느 것도 결코 쉽게 결정하기 어려운 지점에 이르렀다. 각각 정의와 평화의 이름으로 갈등이 일어나고, 무력 사용이 발생하며,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반복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특별히, 정치적 자유주의의 영향과 다원주의 사회로의 전환은 정의의 개념을 더욱 세분화하고 상대화하였다. 또한 세계화 속에서 발생하는 국제 분쟁의 경우, 전통적인 정의의 개념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려워 보인다. 폭력의 문화 속에서 방치되는 세계 곳곳의 아동, 여성, 노인, 사회적 약자들은 날로 커지는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힘의 논리 속에서 소외되어 간다.
안정적 평화는 전쟁이나 폭력이 부재하며 오래 지속되는 평화 상태를 범주화하였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갈퉁이 제시한 소극적 평화 개념과 관련이 있는데 갈퉁이 직접적 폭력이나 전쟁이 부재한 상태를 지칭하기 위해 “소극적(negative)”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직접적 폭력의 부재가 곧 적극적 평화의 상태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전쟁이 중단된다고 해도 평화롭지 않은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안정적 평화는 이렇게 ‘전쟁 또는 물리적 폭력’이 중단되었으나 적극적 평화가 이루어지지는 못한 불안정한 평화 상태에 관한 이론적 설명을 제공하여 ‘전쟁 대 평화’라는 이분법적 사고의 한계를 넘어서며 평화를 점진적인 ‘과정’으로서 인식한다.
양질의 평화론은 대안적인 평화론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이론은 주로 분쟁 후 사회에서 수준 높고 지속 가능한 평화의 구성 요소들과 그 구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양질의 평화는 민주주의, 법치, 정의, 화해 등과 같은 보편가치들과 깊은 관련이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 이 이론은 분쟁을 겪은 사회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사회에서도 정치 폭력과 사회 갈등을 지양하고 질 높은 삶을 추구하는 데도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 이론은 평화론에서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대신 평화를 복합적이고 연속선상에서 접근할 길을 여는 데 기여한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