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의 불교와 유교 도교 - 상

중국의 불교와 유교 도교 - 상

도키와 다이조 (지은이), 강규여 (옮긴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의 불교와 유교 도교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의 불교와 유교 도교 - 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66840364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08-13

책 소개

유불도 삼교 교섭사에 착목해 그 분야를 개척하였으며 광범위한 중국불교사 중에서 불교와 유교 및 도교의 교섭관계를 살펴본 책이다. 사실상 근대 이전 동아시아의 정신문명을 견인했던 유불도 삼교가 어떤 경위를 거치고 상호 영향을 미치며 공존해 왔는지를 명쾌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목차

역주자 서문 ‧ 5
저자 서문 ‧ 7
일러두기 ‧ 22

Ⅰ. 서론: 중국불교사 일반과 유도(儒道) 이교(二敎)


1. 서문 ‧ 27
2. 불교 전역(傳譯)시대 ‧ 28
3. 불교 연구시대 ‧ 31
4. 불교 건설시대 ‧ 36
5. 불교 실행시대 ‧ 40
6. 불교 계승시대 ‧ 46

Ⅱ. 전편: 유불(儒佛) 이교(二敎) 교섭사


상: 송유(宋儒) 이전의 유불 교섭사 ‧ 55

제1장 훈고(訓詁)시대: 왕충(王充)의 『논형(論衡)』에 나타난 한(漢) 말기 사상 ‧ 57

1. 숙명적 인생관 ‧ 60
2. 성설(性說) ‧ 67
3. 본체설(本體說) ‧ 73
4. 도덕(道德)의 본원(本源) ‧ 76
5. 자연무위(自然無爲) ‧ 77
6. 천(天) ‧ 78
7. 영혼의 멸불멸(滅不滅) ‧ 80

부설(附說) ‧ 82
1. 모자(牟子) 「이혹론(理惑論)」에 관해 ‧ 82
2. 오(吳) 강승회(康僧會)의 유불조화설(儒佛調和說) ‧ 82

제2장 불유(佛儒)시대 ‧ 84

제1절 동진(東晋)시대 ‧ 84
1. 화호(化胡)사상과 삼성화현설(三聖化現說) ‧ 84
2. 불교에 부가된 여러 문제 ‧ 87
3. 도안(道安)과 습착치(習鑿齒) ‧ 89
4. 손성(孫盛)의 「노담비대현론(老聃非大賢論)」, 「노자의문반신(老子疑問反訊)」 ‧ 90
5. 손작(孫綽)의 「유도론(喩道論)」 ‧ 95
6. 예경(禮敬) 문제, 혜원(慧遠)의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論)」 ‧ 98
7. 내외(內外) 문제, 사태(沙汰) 문제 ‧ 105
8. 불멸(不滅) 문제, 응보(應報) 문제 ‧ 109
제2절 유송(劉宋)시대 ‧ 119
1. 혜림(慧琳)의 「백흑론(白黑論)」(「균선론均善論」) ‧ 119
2. 종병(宗炳)과 하승천(何承天)의 논란 ‧ 123
3. 종병(宗炳)의 「명불론(明佛論)」 ‧ 128
4. 하승천(何承天)의 「달성론(達性論)」과 이에 대한 안연지(顔延之)의 비평 ‧ 134
5. 하승천(何承天)과 유소부(劉少府)의 논란 ‧ 137
6. 모자(牟子)의 「이혹론(理惑論)」 ‧ 139
제3절 남제(南齊)시대 ‧ 153
1. 범진(范縝)의 「신멸론(神滅論)」 ‧ 153
2. 소침(蕭琛)의 비평 ‧ 157
3. 양(梁) 무제(武帝)의 신명성불의(神明成佛義) ‧ 158
제4절 북제(北齊)시대: 안지추(顔之推)의 「가훈(家訓)」 ‧ 160
제5절 수(隋)시대: 문중자(文中子) 왕통(王通) ‧ 166

제3장 각성시대 ‧ 171

1. 서언(緖言) ‧ 171
2. 당(唐) 이전의 삼교(三敎), 당대(唐代)의 불교 대관(大觀) ‧ 173
3. 한퇴지(韓退之)시대의 사조 및 『원도(原道)』, 『원성(原性)』 ‧ 176
4. 이고(李翶)의 참선(參禪) ‧ 187
5. 양숙(梁肅)의 『지관통례(止觀統例)』 및 담연(湛然) ‧ 198

중: 송유(宋儒)와 불교 ‧ 203

제1장 송유(宋儒)와 불교 대관(大觀) ‧ 205

제1절 송학(宋學)의 발흥 ‧ 205
제2절 송유(宋儒)의 학설 ‧ 214
1. 우주론(宇宙論) ‧ 214
2. 성론(性論) ‧ 219
3. 실제론(實際論) ‧ 229
4. 불교의 불성론(佛性論) ‧ 237
제3절 송유(宋儒)의 학불(學佛) ‧ 243
1. 주자(周子) ‧ 243
2. 장자(張子) ‧ 246
3. 정명도(程明道) ‧ 248
4. 정이천(程伊川) ‧ 252
제4절 송유(宋儒)의 배불론(排佛論) ‧ 258
1. 장횡거(張橫渠) ‧ 258
2. 정명도(程明道) ‧ 261
3. 정이천(程伊川) ‧ 264
4. 주자(朱子) ‧ 265
제5절 송유(宋儒)와 불교의 관계 ‧ 271
1. 지심견성(指心見性) ‧ 272
2. 승원(僧院)의 청규(淸規) ‧ 273
3. 간명(簡明)과 탈속(脫俗) ‧ 274
4. 기봉(機鋒) 및 문자(文字) ‧ 275
5. 유교자의 출가 ‧ 280
6. 유불의 조화 ‧ 282

제2장 주렴계(周濂溪)와 불교 ‧ 288

1. 주자(周子)와 불교의 교섭 ‧ 288
2. 본체론(本體論) ‧ 293
3. 심성론(心性論) ‧ 299
4. 수도설(修道說) ‧ 304

제3장 장횡거(張橫渠)와 불교 ‧ 310

1. 장자(張子)와 불교의 교섭 ‧ 310
2. 본체론(本體論) ‧ 313
3. 우주론(宇宙論) ‧ 321
4. 심성론(心性論) ‧ 328
5. 수도설(修道說) ‧ 331
6. 장자(張子)의 불교 비평 ‧ 335

제4장 관락(關洛) 이외의 사상가 ‧ 348

1. 왕안석(王安石) ‧ 348
2. 진형중(陳瑩中) ‧ 357
3. 장천각(張天覺) ‧ 367

저자소개

도키와 다이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17년부터 1929년 사이 중국을 여러 차례 왕래하며 불교, 유교, 도교에 관한 문화사적을 답사하여 세키노 다다시[関野貞]와 공저로 『중국불교사적[支那仏敎史蹟]』(1923), 『중국문화사적[支那文化史蹟]』(1939)을 짓는다. 이 외에도 『불전집성(佛典集成)』(1924) 등 불교와 관련한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펼치기
강규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5년생.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동아시아불교를 전공하며 불교와 유(儒)·도(道) 양 교 간의 교섭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위진남북조시대에서 당을 거쳐 송명에 이르기까지의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불교가 했던 역할에 주목해 연구했으며 이와 관련한 몇 편의 논문이 있다. 공역으로 『돈황학대사전』(2016)이 있고, 단독 번역서로 『묘법연화경소』(2017)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불교는 대략 2천여 년의 역사를 가지며, 철학적, 종교적, 문학이나 예술적으로 여러 방면에서 이전의 면목을 일신해 왔다. 2천여 년의 불교문화는 매우 광범위하게 관계되어 있다. 이 불교문화를 천명하는 데 교리사(敎理史) 및 교회사(敎會史)는 말할 것도 없고 사상이나 문예 방면의 일반 문화사적 연구도 매우 중요하며, 특히 유교, 도교와 접촉해 온 삼교 교섭사적 연구도 또한 알맞은 제목이 아닐 수 없다.


불교의 매우 높고 깨끗한 이상은 당시 인도를 개조하고 잇따라 중국을 개조한다. 불교가 동양 전반의 사상 및 예술에 기여한 많은 공적은 동양의 문화 현상 어느 것에서도 그 주의와 정신이 침투하지 않은 것이 없는데, 만약 동양 문화 중에서 불교의 요소를 제거한다면 남는 것은 빈약하고 하찮아진다는 데서 이를 알 수 있다. 불교의 이상과 신앙이 활발한 시대의 동양은 조금도 민족적 차별의 관념 등으로 시끄럽지 않아서 온 세상을 빛나게 뒤덮은 법(法)의 장막 아래 평등에 기반한 차별을 발휘시킨 것과 같다.


불교 전래 후 송유가 발흥하기까지 거의 천 년의 긴 세월이 지난다. 이 세월 동안 도불 이교의 관계는 삼무일종(三武一宗)의 일대 사건을 야기시킨 데서 알 수 있듯이 불교와 도교가 모두 교회적으로도 교리적으로도 독립적으로 발달한 시대다. 상호 간의 투쟁을 살펴본다면 놀랄 만한 일이 있다. 현저한 긴장감은 참으로 중국문화사에서 광채를 빛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