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66841422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2-08-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아랍의 봄, 이주, 문화 - 김정아
1장 아랍의 봄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제 이주 - 엄한진
2장 시리아 난민수용국, 레바논 사회의 동요 - 이경수
3장 시리아 난민과 내부자적 시선 - 김수완
4장 아랍의 봄 초기에 대한 기록과 반영, 재구성: 외부자적 시선에서 묘사된 바레인과 이집트 - 김은지
5장 아랍의 봄과 쇼미더머니 수사학: 민중의 저항언어, 정치인의 설득언어 - 서정민
6장 문학과 정치: 아랍 소설에 재현된 아랍의 봄 - 김정아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편 최근 세계의 관심을 끌고 있는 난민은 이러한 기존 이주의 유형에 덧붙여진 새로운 경향이다. 이전에도 팔레스타인 분쟁이나 레바논 내전, 이란-이라크 전쟁 등으로 난민이 발생했고, 특히 팔레스타인 난민이 정치적·인도주의적인 관심을 끌었지만, 아랍의 봄 이후 대량으로 발생한 난민은 이들이 희망하는 목적지가 팔레스타인 난민과 달리 유럽이었다는 점에서 크게 부각된 측면이 있다.
내전 이전에도 시리아인이 특정 계절에만 종사하는 직업이나 건설업 등 단기간 체류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위기 초반의 시리아 난민수용은 별다른 저항 없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곧 급변했다. 2013년부터 레바논 국내에서 전례 없는 다수의 폭탄테러가 발생하고 지역 내 정치갈등으로 민심이 분리되는 등 시리아 사태의 여파가 가시적으로 드러나면서 상황이 달라진 것이다.
최근 수년간 영화계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난민 영화들이 제작되었다. 세계 유명 영화제의 출품작 중에는 난민 문제를 주제로 한 영화들이 넘쳐나고, 그중 일부 영화는 수상작으로 선정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난민 영화는 난민에 대한 상투적이고 지배적인 이미지에 대한 질문과 저항을 담고 있지만, 그 많은 수 만큼이나 재현 방식 또한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