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류, 다음 : 이슬람 문화권 편

한류, 다음 : 이슬람 문화권 편

(2020 권역특서)

류승완, 김금현, 홍성아, 최경희, 신진세, 김수완, 박용석, 엄익란, 이세희, 구기연, 박현도, 조소영 (지은이)
KOFICE(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류, 다음 : 이슬람 문화권 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류, 다음 : 이슬람 문화권 편 (2020 권역특서)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85661971
· 쪽수 : 329쪽
· 출판일 : 2021-03-31

책 소개

중국, 홍콩, 대만, 일본, 몽골 동북아시아 5개 지역 내 한류 현황과 미래의 한류, 혹은 한류 이후의 문화계 담론을 제시한 권역특서.

목차

0. 프롤로그: 폐쇄와 개방 사이, 전환기 이슬람 세계의 한류
_조소영(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연구원)

1. 말레이시아
1) 한류의 이슬람 시작 개척과 할랄 인증의 교두보, 말레이시아
_류승완(말레이시아국립대학교 사회인문대학 언어학부, 외국어 번역학과 교수)
·김금현(말라야대학교 아시아·유럽어학과 교수)
2) 말레이시아를 통해 본 미래 소비의 주역, 젊은 무슬림
_홍성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통신원)

2) 인도네시아
1) 최대 무슬림 보유국 인도네시아의 창조경제, 이슬람 현대성과 한류
_최경희(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 연구교수)
2) 한국 웹툰은 인도네시아에 무엇을 남겼나
_신진세(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인도네시아(자카르타) 통신원)

3. 사우디아라비아
1) 변화의 물결에서, 사우디아라비아 한류의 미래
_김수완(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통번역학과 교수)
2) 리야드에서 울려퍼진 케이팝, ‘사우디 비전 2030’의 함의
_박용석(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사우디아라비아(젯다) 통신원)

4. 아랍에미리트
1) 중동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 아랍에미리트의 한류
_엄익란(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2) 다민족·다문화 국가 아랍에미리트의 한류: 한류 관계자 4인과의 인터뷰
_이세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아랍에미리트(두바이) 통신원)

5. 이란
이란 ‘무슬림 키즈’가 주도하는 한류와 소셜미디어 담론
_구기연(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 연구교수)

6. 이집트
아랍 문화의 중심지 이집트, 한류의 가능성
_박현도(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저자소개

박현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교수로 이슬람과 중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에서 학사, 캐나다 맥길대학교 이슬람연구소에서 이슬람학 석사 및 박사 수료, 이란 테헤란대학교에서 이슬람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산업통상자원부의 양자 협력사업인 ‘중동 산업협력 포럼’ 사무국장, 문화체육관광부 공직자 종교차별예방 교육 강사,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출판위원장, 종교평화국제사업단 발간 영문계간지 <Religion & Peace> 편집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동연구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역사를 보다』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 『Studies in Islamic Historiography』(공저) 『신학의 식탁』(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박현도의 다른 책 >
엄익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4년 영국 엑서터 대학(University of Exeter)에서 중동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국내에서 왕성한 연구 활동을 해왔다. 현재는 단국대학교 GCC국가연구소에 소속되어 이슬람과 소비, 무슬림 젊은 세대, 걸프 지역과 중동 지역, 아랍의 여성 문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 중동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문제를 문화의 틀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연구뿐만 아니라 대중 강연을 통해 이 지역 문화를 올바로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 『금기, 무슬림 여성을 엿보다』(2015), 『이슬람 마케팅과 할랄 비즈니스』(2014), 『할랄, 신이 허락한 음식만 먹는다』(2011), 『무슬림 마음속에는 무엇이 있을까』(2009)가 있다.
펼치기
김수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융합인재학부 중동이슬람전략 교수(중동지역학 박사)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문학사)를 거쳐 동 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아과(석사)를 마친 후 The University of Jordan, Arabic Language and Literature 과정을 수학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이슬람학회 부회장이자 한국중동학회 상임이사,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상임이사이며, 세계지역학회 국제이사를 역임하면서 KBS, JTBC, 연합뉴스, YTN에서 중동 문제를 자문하고 있으며, 경기일보 〈세계는 지금〉 고정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삼성 지역전문가과정과 금융연수원 경영자과정을 강의하며,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획위원이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EMERiCs 자문위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Behavior Psychology of Arab》 《Arab Cross Cultural Market Research》 《카타르》 《변화의 물결에서, 사우디아라비아 한류의 미래-한류 다음》(공저), 《변화의 중심에서, 중동 한류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세계 속의 한류》(공저), 《IS를 말한다-IS의 미디어 전략》(공저), 《세계의 이슬람》(공저), 《아랍 사회 문화 코드의 이해》 《중동 미디어산업의 이해》 《시사 아랍어》 《기초 아랍어 문법》 《Power Arabic Conversation, Book 1&2》(공저) 《Power Arabic 주제별 소사전》(공저) 등이 있으며, 〈The New Korean Wave in the Middle East and Its Role in the Strategic Approach to Medical Tourism in Korea〉(A&HCI) 〈Framing Arab Islam Axiology Published in Korean Newspapers〉(A&HCI) 〈Arab culture education using a soap opera: Focus on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of ethnography of communication〉(Scopus) 〈News Coverage and Perception of Arab Images by Koreans〉 〈IS와 미디어 전략〉 〈창조경제의 주역, 중동 신한류〉 〈시리아 내전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위기의 중동, 미디어의 역할과 전망〉 외에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류승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를 졸업하고 아랍문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말레이시아 국제이슬람대학 이슬람 석사과정 후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 이슬람대학 박사 논문학기에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 세종학당 학당장이며 쿠알라 룸푸르대학교 한국어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2005년부터 담당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한국국제학교 설립 추진위원장 이후 한국국제학교 교육재단 설립자이자, 초대 이사장을 역임했다. 비영리단체인 말레이시아 한국인학교 교장으로 재외동포자녀 교육 분야에서도 활동 중이다. 주 관심분야는 이슬람 사회, 문화 및 한국어 교육 분야이다. 저서로 Korean Wave in Islamic Southeast Asia : Exploring Current Issues (공저, 2022), 『한국-말레이시아 교육 문화 교류』(공저, 2015), 『말레이시아인을 위한 한국어』(2004), 논문으로 “Impacts of the Korean Wave and Conundrum of Malaysian Young Female Muslims” (2023), “The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 between Korean Wave and Islamic Values” (2022), “Social Media Translational Action: Translation Activities by K-Pop Fans in Twittera”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금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말레이 인도네시아어과를 졸업하고, 국립 말라야대학교에서 사회·문화학으로 석사와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국립 말라야대학교 아시아유럽학과 교수 겸 말레이시아-한국 연구소 소장이다. 동남아 한국학학회의 창립 회원이며, 한국학 중앙연구원의 씨앗형 프로젝트의 연구 책임자, 말레이시아 한국 교육원과 한국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의 자문, 한국 국비장학생 선발 평가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이사, 말레이시아 정부 연구 프로젝트 평가위원, 말레이시아 한국학학회, SSCI 국제학술지의 편집 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 관심분야는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비교 연구로, 사회인류학적, 사회언어학적 접근으로 한-마 지역 개발, 한류와 이슬람, 동방정책과 한마 인적자원 협력, 문학과 여성, 한마 관계 등이다. 주요 저서로 Korean Wave in Islamic Southeast Asia :Exploring Current Issues (공저, 2022), Dilema Pekerja Melayu dalam Budaya Syarikat Multinasional Korea di Malaysia (2017), The Dynamics of South Korea’s relations with Asia-Pacific (공저, 2016), 논문으로 “Impacts of the Korean Wave and Conundrum of Malaysian Young Female Muslims” (2023), “The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 between Korean Wave and Islamic Values” (2022), “Female Stereotyping and Gender Socialization through Proverbs and Idioms: A Comparative Study of Malaysia and Korea” (2019), “Variation of Asian Collectivistic Values: A study on a Korean company operating in Malaysia”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아랍에미리트(두바이) 통신원
펼치기
구기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인류학자이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다. 한국외대를 졸업하고, 서울대 인류학과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 석사학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란 도시 젊은이, 그들만의 세상 만들기』를 썼으며, 경향신문에 국제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서아시아 지역과 한국의 이슬람포비아 현상 그리고 무슬림 이주민에 대해 연구한다.
펼치기
홍성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통신원
펼치기
최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동남아학회 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위원, K-콘텐츠 아카데미포럼 이사 등을 맡고 있다. “한국 속 ‘동남아현상’ 연구: 근원과 경로”, “동남아 민주주의 심화와 헌정공학: 권력공유와 책임성을 중심으로”, “동남아의 이슬람화: 이상과 현실”, “‘문화에 민감한’ 시장진출 전략과 지속가능한 경제협력: 말레이-이슬람문화권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사례연구”, “이슬람금융은 대안적 금융인가? 동남아 이슬람금융의 원리와 실천” 등 다양한 연구주제로 동남아 지역연구를 수행했다. 가장 최근에는 『봄의 혁명: ‘새로운 미얀마’를 향한 담대한 행보』(공저, 2024)를 출간하였다. 특히 2023년 한국과 인도네시아 수교수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방안연구』(공저, 2022)와 “인도네시아 한류의 수용과 수행에 나타난 문화경제적 상호작용 연구”(2023) 등을 통하여 양국의 발전 관계를 조명하였다. 앞으로도 한국에서의 인도네시아학, 인도네시아에서의 한국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펼치기
최경희의 다른 책 >
신진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인도네시아(자카르타) 통신원
펼치기
박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사우디아라비아(젯다) 통신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