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67070555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22-04-08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시작하는 글 - 모든 곳에 스토리, 모든 것이 스토리인 새로운 세계의 도래
1부 스토리, 디지털스토리텔링으로 다시 태어나다
1장 스토리, 스토리텔링, 그리고 디지털스토리텔링
디지털+스토리+텔+링
이야기 예술의 진화
패러다임 변화로서의 디지털스토리텔링
2장 디지털스토리텔링의 탄생과 특징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화
창작 주체의 대중화
선택과 배열을 통한 참여적 픽션
경험적 공간성
모듈성과 영원한 생성성
3장 미디어와 스토리텔링
감각의 확장으로서의 미디어
미디어의 진화, 재매개
디지털미디어의 다섯 가지 원리
2부 디지털스토리텔링의 3인방
4장 이미지 스토리텔링
도상학과 이미지의 해석
이미지와 텍스트의 두 가지 결합 방식
이미지의 숨겨진 신화를 찾아 읽는 기호학
사진을 읽는 두 가지 방법
5장 영상 스토리텔링
키노아이에서 키노브러시로
스펙터클과 내러티브의 충돌과 대립
네오 스펙터클 스토리텔링
6장 게임 스토리텔링
루돌로지와 내러톨로지
게임 플레이와 플레이어
게임 스토리텔링의 세 가지 층위
게임 스토리텔링과 신화적 모티프
3부 미래 스토리 세상의 주역
7장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징과 가치
게임IP를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두 가지 사례
8장 메타이야기적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은유적 상상력과 단편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디지털 시대의 브랜드 스토리텔링과 ARG
팬픽션과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
9장 메타버스와 경험 시대의 스토리텔링
메타버스와 공간 스토리텔링
전시·공연예술의 디지털 전환
경험 시대 스토리텔링의 단면들
마치는 글
본문의 주
그림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이라는 학문은 디지털 기술을 공학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에서가 아니라, 사회와 문화, 예술 전반에 혁신을 불러일으키는 패러다임으로 바라보는 체계다. 디지털 기술이 이야기 자체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이야기 행위에는 어떤 변화 양상이 만들어지는지, 이야기를 만들고 향유하는 우리의 경험은 어떻게 차별화되고 있는지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인 것이다
― 「시작하는 글」
이야기를 향유하기만 했던 수신자들이 메시지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메시지에 대한 피드백을 최초의 발신자에게 다시 전달하기 시작한 것이다. 웹툰을 보면서 댓글을 달아 작가의 다음 창작 활동에 영향을 끼친다거나 게임의 여러 퀘스트 중 특정한 퀘스트를 하나 선택하여 수행함으로써 자신만의 스토리를 직접 만드는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사례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피드백 때문에 오리지널 메시지가 달라지기도 하고 최초의 발신자가 수신자가 되는 변화를 경험하기도 한다. 매우 흥미로운 것은 이 피드백이 디지털 시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영역이라는 점이다. 이는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수신자들이 스토리를 엮는 적극적인 주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고 나서야 비로소 등장했다.
― <1장 스토리, 스토리텔링 그리고 디지털 스토리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