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28515134
· 쪽수 : 285쪽
· 출판일 : 2020-11-25
목차
머리말
찾아보기
지은이 소개
제1부 자유주의국제질서(LIO)의 균열과 러시아의 대응
제1장 자유주의국제질서의 균열과 러시아의 주권적 국제주의_ 강봉구
1. 서론
2. 자유주의국제질서LIO 약화 추세 속의 ‘미국 우선주의’
3. 주권적 국제주의의 등장 배경과 강조점
4. 부분적 수정주의이자 보완적 질서 모델로서 주권적 국제주의
5. 결론
제2장 자유주의 경제 질서의 균열과 러시아 경제의 진로_ 이상준
1. 서론
2. 소련과 러시아의 국제분업구조 참여와 그 특징
3. 글로벌 질서변화와 러시아의 세 가지 대응 기제 : 지정학, 에너지, 첨단기술
4. 국제질서에 대한 러시아 대응의 영향
5. 결론
제2부 유라시아와 아시아 국가들의 대응
제3장 러시아의 아시아 중시 전략과 동북아 국가들의 대응_ 김영진
-동북아 국가들과의 경제협력과 극동지역 개발-
1. 서론
2. 아시아 중시 전략의 배경과 특징
3. 러시아 경제의 동방 이동 : 무역구조와 자본흐름
4. 아시아 중시 전략과 극동지역 개발
5. 결론
제4장 글로벌 질서 변동과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대응 비교_ 윤성학
1. 서론
2. 자유주의국제질서와 중앙아시아의 질서 변동
3.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의 대외정책 비교
4.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의 대응 전략 비교
5. 결론
제5장 변화하는 세계질서 시대의 인도-러시아 관계_ 라지브 구마르_ 김현준
1. 서론
2. 자유주의국제질서의 변화에 대한 인도의 반응
3. 인도-러시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4. 전환기의 인도-러시아 관계 : 경험적 증거들
5. 결론
제3부 유라시아와 유럽·중동 국가들의 대응
제6장 유럽연합의 ‘하이브리드’ 지정학적 접근과 유라시아의 대응_ 김성진
1. 서론
2. 자유주의국제질서의 변화
3. EU의 ‘하이브리드 지정학’
4. 러시아의 세계질서 인식과 전략
5. 하이브리드 지정학과 하이브리드 전쟁 사이의 갈등
6. 결론
제7장 글로벌 질서 변동 속 터키의 유라시아 지향성_ 이지은
1. 자유주의국제질서(LIO)의 약화 : 세계적 동인(動因)
2. 에르도안 집권기(2003~) 터키 대외정책
3. 터키 대외정책의 ‘유라시아 지향성 강화’ : 지역적, 국내적 동인(動因)
4. 결론
제8장 글로벌 질서 변동 속의 유라시아와 이란_ 박현도
1. 들어가는 말
2. 이란의 유라시아 진출 배경
3. 이란의 대유라시아 외교정책의 목표와 현실
4.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