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7년부터 국립원주대학 교수로 재직하였고 2007년 강릉대학교와 통합되면서 현재는 강릉원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언론원 분원장, 교수학습개발원장, 문화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원주시 새주소부여사업자문위원회, 지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한국현대소설학회, 한국문학회, 나혜석학회 학술이사, 지역이사, 편집위원을 맡고 있으며, 국어국문학회, 한중인문학회 회원이다.
저서로는 <월북작가에 대한 재인식>(공저, 1995), <한국현대소설연구>(공저, 1998), <월북작가소설연구>(1999), <내 마음의 산책>(2001), <책 읽어주는 여자>(2002), <내 안의 타자를 찾아서>(2006), <우리시대의 여행소설>(2006), <한국현대소설의 떠남과 머묾>(2007), <한무숙 문학의 지평>(공저, 2008), <세계화 시대의 국어국문학>(공저, 2012), <디아스포라와 한국문학>(공저, 2012), <언어와 교육>(공저, 2012), <박화성, 한국문학사를 관통하다>(공저,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최재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공학대학교 지식융합학부 교수.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영문학(전공)과 국문학(부전공)을 공부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국문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 『문예한국』으로 등단해 비평 활동을 하며, [제5회 한국문학비평가협회 비평문학상 우수상](2003)과 [제17회 현대시조문학상 문학평설상](2005)을 수상한 바 있다. 저서로는 『진정성의 시학』(푸른사상, 2003), 공저로는 『작가의 이상과 현실』(태학사, 1999), 『아동문학의 이해와 활용』(민속원, 2001), 『기독교문학과 현대평론』(국학자료원, 2002), 『문학의 이념과 표현방법의 변화』(국학자료원, 2002), 『한무숙문학의 지평』(예림기획, 2008), 『삶과 글쓰기』(태학사,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황영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교양교육연구소장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소장,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대학교양교육연구소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다.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과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칸, 베를린, 부산국제영화제 등의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심사위원 및 백상예술대상, 춘사영화상 등의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1992년 『문학사상』으로 소설 등단, 소설집 『구보 씨의 더블린 산책』(제26회 숙명문학상 수상), 저서 『봉준호를 읽다』(2020), 『필름 리터러시』(2018), 『영화와 글쓰기』(2009), 공저로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2015), 『영화로그인: 사고와표현교육』(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김소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전 동아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를 역임하고 숙명여자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사고와 표현>, <연극영화의 이해>를 가르친다. TV 드라마, 연극 및 영상 텍스트 등의 대중문화예술 텍스트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이다.
펼치기
송경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공학대학교 교양교육운영센터 강사.
숙명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를 받았다. 1996년 <문예한국>에 평론 「전후의 세대갈등과 현실대응방식」으로 등단했다. 숙명창학100주년사편찬위원회 및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과제지원 토대연구’로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한국 여성문학 자료 수집?정리>에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했다. 박사논문으로 「1950년대 소설의 여성인물 연구-현실수용양상을 중심으로」(2000)가 있으며, 공저로 <여성, 문학으로 소통하다> 및 <(대학생을 위한) 삶과 글쓰기>, <한국 여성문학 자료집> 4~6권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지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연구교수, 한국어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현대문학사>, <현대문학과 사회>, <한국현대문학의 이해>를 가르친다. 문학사상 신인상으로 시인으로 등단했고, 서울 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학평론을 쓰고 있다. 한국문학, 외국문학, 교육 등 여러 분야의 연구에 관심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