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 속의 한류

역사 속의 한류

김정희, 한정미, 이부용, 김정희, 박태규, 임다함, 김계자, 이승희 (지은이),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기획)
역락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사 속의 한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 속의 한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742034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06-21

책 소개

한류는 영화, 드라마, 음악, 문학 등 예술(예능) 장르뿐만 아니라 패션, 뷰티, 의료, 음식 등 생활 문화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 지금까지 한류에 관한 많은 논의가 경제적 타산이나 자국중심주의적 사고에 머무르는 일이 없었는지 이제는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목차

1부 신과 일본의 내러티브

상대 문헌 속의 ‘한(韓)’-『만엽집(萬葉集)』 『일본서기(日本書紀)』를 중심으로 13
김정희(金靜希)

1. 머리말 15
2. 한적과 금석문에서의 ‘한’ 16
3. 일본 상대 문헌 속의 ‘한’ 26
4. 맺음말 38

한류와 일본의 신(神)-일본 고전문예에 나타난 하치만 신(八幡神)을 중심으로 43
한정미(韓正美)

1. 머리말 45
2. 하타 씨와 하치만 신의 기원 46
3. 일본 고대문예에 나타난 하치만 신 51
4. 일본 중세문예에 나타난 하치만 신—『이와시미즈 모노가타리』를 중심으로 55
5. 맺음말 60

일본 상대문학에 나타난 술 문화-한반도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67
이부용(李芙鏞)

1. 머리말 69
2. 일본 상대의 술 69
3. 일본으로의 누룩 전래 72
4. 입으로 빚는 술 73
5. 야마노우에노 오쿠라와 술 76
6. 일본제일의 주조신 마쓰노 대사 79
7. 고려신사와 지역술 “고려왕” 82
8. 맺음말 88

일본에서의 발해의 위상과 그 역할-헤이안 시대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91
김정희(金靜熙)

1. 머리말 93
2. 발해와 일본 문인들의 한시 교류 95
3. 발해의 물품과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 100
4. 발해의 위상과 히카루 겐지(光源氏)의 영화 111
5. 맺음말 116

2부 영상과 소리

일본 고대의 한류와 그 특이성-고려악(高麗樂)의 고구려계 악무를 중심으로 123
박태규(朴泰圭)

1. 머리말 125
2. 일본 고려악의 고구려계 악무 128
3. 개별 악곡을 통해 본 고구려계 악무의 성격 및 특이성 138
4. 맺음말 146

조선 영화, 해외 진출을 꿈꾸다-‘수출 영화’ <어화(漁火)>(1938)를 중심으로 151
임다함(任다함)

1. 머리말 153
2. 안철영의 영화 인식:영화의 현실성과 ‘조선적인 것’ 156
3. ‘수출 영화’ <어화>에 그려진 ‘조선’ 166
4. 맺음말 177

남북일(南北日)로 흐르는 임진강-재일영화 <박치기!> 181
김계자(金季杍)

1. 머리말 183
2. 영화 <박치기!>의 시공간과 재일조선인 187
3. 1960년대 한일·북일 문제를 넘어 195
4. <림진강>의 변용과 ‘남북일’이라는 시좌 200
5. 맺음말 208

한류에서 K-Pop이 되기까지 213
이승희(李丞烯)

1. 머리말 215
2. 한류의 진화 217
3. K-Pop 한류 224
4. K-Pop의 정체성 228
5. 맺음말 23

저자소개

한정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東京大学)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객원연구원,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객원교수. 일본고전문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源氏物語における神祇信仰』(武蔵野書院, 2015),「変貌する熊野信仰ー古代․中世文芸を中心にー」(『日本学報』第123輯,韓国日本学会,2020.5),「政治と怨霊、鎮魂ー怨霊となった崇徳院と端宗ー」(ハルオ․シラネ 編, 『東アジアの自然観ー東アジアの環境と風俗』, 東アジア文化講座4, 文学通信, 2021) 외 다수이다.
펼치기
김계자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대학혁신추진단 조교수.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일본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일본문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일 문학이 관련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인의 일본어문학이 형성된 전체상을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에 『근대 일본문단과 식민지 조선』(역락, 2015), 『일본대중문화의 이해』(공저, 역락, 2015), 「김석범 장편소설 1945년 여름」(보고사,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임다함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연구교수. 현재는 영화뿐만 아니라 광고, 라디오 드라마, 대중가요 등 일제강점기 한일 대중문화의 교류 및 교섭과정을 살피는 것을 향후 연구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는 공저 『비교문학과 텍스트의 이해』(소명출판, 2016), 『재조일본인 일본어문학사 서설』(역락, 2017), 『여뀌 먹는 벌레』(민음사, 2020), 공역 『일본 근현대 여성문학 선집 17 사키야마 다미』 (어문학사, 2019)』, 편역 『1920년대 재조일본인 시나리오 선집 1, 2』(역락, 2016)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1920년대 말 조선총독부 선전영화의 전략―동시대 일본의 ‘지역행진곡’ 유행과 조선행진곡(1929)」(『서강인문논총』 제51집, 2018.4), 「미디어 이벤트로서의 신문 연재소설 영화화―『경성일보』 연재소설 「요귀유혈록」의 영화화(1929)를 중심으로」(『일본학보』 제118집, 2019.2)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부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비교문학·비교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및 동 대학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東京大學)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겐지 이야기(源氏物語)≫에 나타난 교육에 관한 연구로 학술석사 및 학술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펼치기
이부용의 다른 책 >
박태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한일비교문화 전공. 대표 논저로는 『일본궁중악무담론』(민속원, 2018), 『일본 아악의 이해』(역락, 2020,공역),「일본 아악(雅樂)의 악가(樂家) 연구」(『무용역사기록학』43,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일고대사, 일본상대문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古事記』の世界観がつくるアメノヒボコ物語」(『일본학보』, 한국일본학회, 2014.2), 「古代史研究方法の見直し」(『日本文化研究』,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4), 「世界観による境界―倭と韓」(『일본언어문화』제49집,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9.1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학교 글로벌어문학부 일어일문전공 조교수. 일본문학, 일본문화 전공. 대표 논저로는 『일본문화의 연속성과 변화』(보고사, 2018), 藤原克己 監修·今井上 編 『はじめて読む源氏物語』(花鳥社, 2020),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인식과 그 표상ー지식으로서의 모노노케』(『일본연구』80,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어문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한·중 시간 관련 범주에 관한 소고ー‘었’과 ‘了’중심으로」(『언어연구』제33권 제4호, 2018), 「자세동사(Posture Verb)의 상적 특성에 관한 한·중 대조 분석」(『우리어문연구』60집, 2018), 「어휘상(Lexical aspect)의 관점으로 접근한 장소 구문의 한·중 대조ー행위동사와 완수동사 중심으로ー」(『언어학연구』50집,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