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742034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06-21
책 소개
목차
1부 신과 일본의 내러티브
상대 문헌 속의 ‘한(韓)’-『만엽집(萬葉集)』 『일본서기(日本書紀)』를 중심으로 13
김정희(金靜希)
1. 머리말 15
2. 한적과 금석문에서의 ‘한’ 16
3. 일본 상대 문헌 속의 ‘한’ 26
4. 맺음말 38
한류와 일본의 신(神)-일본 고전문예에 나타난 하치만 신(八幡神)을 중심으로 43
한정미(韓正美)
1. 머리말 45
2. 하타 씨와 하치만 신의 기원 46
3. 일본 고대문예에 나타난 하치만 신 51
4. 일본 중세문예에 나타난 하치만 신—『이와시미즈 모노가타리』를 중심으로 55
5. 맺음말 60
일본 상대문학에 나타난 술 문화-한반도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67
이부용(李芙鏞)
1. 머리말 69
2. 일본 상대의 술 69
3. 일본으로의 누룩 전래 72
4. 입으로 빚는 술 73
5. 야마노우에노 오쿠라와 술 76
6. 일본제일의 주조신 마쓰노 대사 79
7. 고려신사와 지역술 “고려왕” 82
8. 맺음말 88
일본에서의 발해의 위상과 그 역할-헤이안 시대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91
김정희(金靜熙)
1. 머리말 93
2. 발해와 일본 문인들의 한시 교류 95
3. 발해의 물품과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 100
4. 발해의 위상과 히카루 겐지(光源氏)의 영화 111
5. 맺음말 116
2부 영상과 소리
일본 고대의 한류와 그 특이성-고려악(高麗樂)의 고구려계 악무를 중심으로 123
박태규(朴泰圭)
1. 머리말 125
2. 일본 고려악의 고구려계 악무 128
3. 개별 악곡을 통해 본 고구려계 악무의 성격 및 특이성 138
4. 맺음말 146
조선 영화, 해외 진출을 꿈꾸다-‘수출 영화’ <어화(漁火)>(1938)를 중심으로 151
임다함(任다함)
1. 머리말 153
2. 안철영의 영화 인식:영화의 현실성과 ‘조선적인 것’ 156
3. ‘수출 영화’ <어화>에 그려진 ‘조선’ 166
4. 맺음말 177
남북일(南北日)로 흐르는 임진강-재일영화 <박치기!> 181
김계자(金季杍)
1. 머리말 183
2. 영화 <박치기!>의 시공간과 재일조선인 187
3. 1960년대 한일·북일 문제를 넘어 195
4. <림진강>의 변용과 ‘남북일’이라는 시좌 200
5. 맺음말 208
한류에서 K-Pop이 되기까지 213
이승희(李丞烯)
1. 머리말 215
2. 한류의 진화 217
3. K-Pop 한류 224
4. K-Pop의 정체성 228
5. 맺음말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