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과서 개발학

교과서 개발학

(교과서 존재론의 학문적 이론화 탐색)

박삼서 (지은이)
국학자료원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과서 개발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과서 개발학 (교과서 존재론의 학문적 이론화 탐색)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7970657
· 쪽수 : 594쪽
· 출판일 : 2022-08-19

목차

| 머리말 | 개발학의 탄생 … 5

제1장
교과서 개발학의 배경과 이론화 기초

Ⅰ. 교과서 개념의 탄생과 발전 23
1. 문명 발생과 교과서 탄생 23
가. 점토판 교재 24
나. 파피루스 교재 27
다. 목간(木簡), 죽간(竹簡), 비단, 종이 교재 31 라. 인장(印章)과 교재 33
2. 교과서 개념의 확장과 발전 36
가. 고대 그리스 교육과 교과서 37 나. 고대 로마 교육과 교과서 41
다. 중세 교육과 교과서 44
라. 르네상스 교육과 교과서 46
3. 근대적 교과서 개념의 탄생 49
가. 근대 교과서의 탄생 배경 49
나. 교과서 발달과 근대적 요소 55
4. 교과서 발달 체계 정립 모색 57
가. 발달 체계 정립 방법 모색 57
나. 교과서 발달사의 체계적 수립 60
Ⅱ. 교과서의 개념 규정과 발상의 전환 63
1. 교과서 개념 규정의 전제와 중요성 63
가. 교과서, 완결된 하나의 유기체 63
나. 교과서 개념 규정의 중요성·확산성 66
2. 교과서(교재) 개념 탐색의 양상 68
가. 교과서, 교재 개념 규정 68
나. 교수·학습의 매개물/자료 75
다. 개념 규정 관련 요소의 종합 제시 77
라. 법령·규정에서의 정의 78
3. 교과서 개념 규정의 발상 전환 81
가. 교과서 개념 규정의 보완과 지향 81
나. 교과서 개념 규정의 변화 모색 82
4. 미래 지향적 개념 규정 모색 93
가. 교과서 '개념 요소 체계' 도입 93
나. 교과서 개념 변화와 규정 관점 95
Ⅲ. 교과서 기능 탐구와 인식의 전환 97
1. 교과서 기능 규정 탐구 양상 97
가. 교과서 기능과 인격 형성 97
나. 교과서 기능 개념 설정 양상 98
2. 교과서 기능 탐색의 변화 모색 103
가. 교과서 기능 규정의 보완과 지향 103
나. 교과서 기능 규정의 발상 전환 105
3. 교과서 기능 변화와 미래 지향적 대비 111
가. 미래 지향적 기능 규정 모색 111
나. 교과서 기능 변화와 미래형 교과서 113
Ⅳ. 좋은 교과서 개념과 철학적 교과서관 115
1. 좋은 교과서의 개념 규정 양상 115
가. 좋은 교과서 개발과 정책적 지향 115
나. 좋은 교과서 개념 설정 양상 116
2. 좋은 교과서 개념 규정과 발상의 전환 121
가. 좋은 교과서 개념 규정의 보완과 지향 121 나. 좋은 교과서 개념의 변화 모색 124
3. 좋은 교과서의 개발 변인과 작용 132
가. 좋은 교과서의 개발 변인 132
나. 좋은 교과서 개발 변인의 역동성 135
4. 좋은 교과서의 철학적 관점과 교과서관 136
가. 철학적 관점과 좋은 교과서 136
나. 철학적 교과서관과 좋은 교과서 139
5. 좋은 교과서 바르게 바라보기 141
가. 교과서 바르게 보기 관점 141
나. 긍정적 교과서관의 정립 143
Ⅴ. 교과서 개념·기능‧품질의 상호 작용 탐구 147
1. 개념·기능·품질 요소의 성격과 작용 147
가. 요소 성격 비교와 의의(意義) 147 나. 상호 관련 작용 모색과 의미 148
2. 교과서 개념‧기능 상호 작용과 품질 150
가. 개념·기능을 품질이 내포하는 경우 150
나. 개념·기능·품질이 동위로 상호작용하는 경우 154
3. 교과서 기초 원리 확장과 개발학의 지향 155
가. 교과서 기초 원리 확장과 이론화 155
나. 교과서 존재 원리 체계와 개발학 지향 157

제2장
교과서 개발학의 이론화 탐색

Ⅰ. 교과서 개발 체계와 원리 탐색 161
1. 교과서 개발 체계와 절차 구조 161
가. 정책적 절차 구조 탐색 162
나. 교재화 생태적 절차 모색 163
2. 교육과정 교재화 절차 원리 모색 166
가. 교육과정 내용 해석과 원리 166
나. 교재 구성의 방향 설정과 원리 181
다. 교재화의 실제와 원리 183
Ⅱ. 교과서 구성과 원리 탐색 191
1. 교과서 구성의 일반 원리 191
가. 교과서 구성 체계와 일반 원리 모형 191
나. 교과서 구성의 일반 원리 모색 193
2. 교과서 구성의 창조 원리 204
가. 독창적 지향의 원리 204
나. 창의적 발상의 원리 205
3. 교과서 구성의 총합 원리 207
가. 원심․구심적 작용 원리 207
나. 역동·순환적 작용 원리 208
4. 구성 원리 인자(因子) 존재 방식과 개발학 208
가. 원리 인자의 존재 방식과 작용 208
나. 원리 인자의 발산적 작용과 개발학 210
Ⅲ.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원리 탐색 213
1.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의 기저 213
가. 교수·학습 설계와 교과서의 위상 213
나. 교수·학습 설계 이론과 지식의 관점 218
다.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와 설계 220
2.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구성 원리 224
가. 교수․학습과 교과서 구성의 패러다임 224
나. 교수·학습 설계와 교과서 구성의 상동성 226
다.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 변인과 구성의 제한점 227
라.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 이론과 구성 전략 232
3.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창조적 구성 236
가. 교과서 교수·학습 거시 구조 설계와 구성 237 나. 교과서 교수·학습 미시 구조 설계와 구성 239 다.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창조적 구성 관점 242
4.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단원 구성의 실제 244
가. 일반 단계모형과 단원 구성 244 나. 특정 모형과 단원 구성 250
5. 디지털 교과서 위상과 교수․학습 설계 255
가. 디지털 교과서의 위상과 전망 255
나. 디지털 교과서 개발과 교수·학습 설계 258
Ⅳ. 교과서 활용과 원리 탐색 261
1. 교과서 활용 의미와 체계 모색 261
가. 교과서 활용 개념의 정립과 중요성 261 나. 교과서 활용 체계·종류 개념 도입 265
2. 교과서 활용 체계와 위상 탐구 266
가. 교재화 절차와 활용의 위상 266 나. 상호 작용과 활용의 위상 268
3. 교과서 활용 체계와 종류 탐색 271
가. 교재화 절차상 활용 종류 272
나. 상호 작용상 활용 종류 273
다. 기타 요인과 활용 종류 274
4. 교과서 활용 방법과 원리 모색 275
가. 활용 요소 개념 도입과 교과서관 275
나. 교과서 활용 요소 안내 구조와 방법 280 다. 교과서 활용 요소 존재 방식과 재구성 285
5. 교과서 활용 원리 이론화 모색과 가능성 289
가. 미래 지향 교과서 활용 원리 모색 289 나. 교과서 활용 이론화 가능성과 적용 291
Ⅴ. 교과서 평가와 원리 탐색 297
1. 교과서 평가 개념과 교육적 의의 297
가. 교과서 분석과 평가 개념 297
나. 교과서 평가의 교육적 의의 298
2. 교과서 평가 기준 제시 양상과 지향 300
가. 교과서 평가 구분과 기준 제시 양상 300
나. 교과서 평가 기준 제시 보완과 지향 311
3. 교과서 평가 기준 설정 방법과 변인 313
가. 교과서 평가 기준요소 개념 도입 313
나. 교과서 평가 기준 관점과 변인 작용 315
4. 교과서 평가 체계 설정과 원리 모색 317
가. 교과서 평가 체계와 용어 사용 317
나. 교과서 평가 체계와 방법·종류 모색 320
다. 교과서 평가 체계와 기준 운용 원리 326
5. 교과서 사용자 평가 실제와 원리 328
가. 사용자 평가의 필요성과 의의 328
나. 사용자 평가 체계와 환류 시스템 구축 330
다. 사용자 평가 유의점과 원리 336

제3장
교과서 품질 관리와 개발학의 위상

Ⅰ. 교과서 품질 관리 인식 변화와 체계 수립 343
1. 수정‧보완과 품질 관리의 인식 전환 343
가. 수정·보완의 의미역 확장 343
나. 수정·보완과 품질 관리 비교 344
2. 교과서 품질 관리 체계와 관점 설정 345
가. 품질 관리 체계와 관점 설정의 필요성 345
나. 품질 관리 체계 구조와 관점 347
다. 품질 관리 관점 이해와 활용의 지향 348
Ⅱ. 교과서 품질 관리 관점과 원리 353
1. 교과서 정책과 품질 관리 관점 353
가. 교과서 정책과 품질 관리 현황 353
나. 교과서 정책과 품질 관리 관점 제시 360
2. 교과서 구성과 품질 관리 관점 363
가. 구성 원리와 품질 관리 관점 모형 363
나. 구성의 일반 원리와 품질 관리 관점 365 다. 구성의 창조 원리와 품질 관리 관점 377 라. 구성의 총합 원리와 품질 관리 관점 379
3.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품질 관리 관점 381
가. 교수·학습 설계와 품질 관리 의미 381 나. 교수·학습과 품질 관리 주요 관점 382
4. 교과서 활용과 품질 관리 관점 385
가. 교과서 활용과 품질 관리 위상 385
나. 교과서 활용과 품질 관리 주요 관점 386
5. 교과서 평가와 품질 관리 관점 389
가. 교과서 평가와 품질 관리 의의와 인식 389 나. 교과서 평가와 품질 관리 주요 관점 391
다. 품질 관리 주체와 피드백 개념 394
Ⅲ. 교과서 품질 관리의 지평 확대 397
1. 교과서 '개발/수정‧보완 능력' 개념 도입 397
가. '개발 능력'과 '수정·보완 능력'의 상관 397 나. 수정·보완 능력의 체계적 신장 398
2. 품질 관리 상관 개념도 설정과 운용 401
가. 내재적 품질 관리 상관 개념도 설정 401 나. 외재적 품질 관리 상관 개념도 설정 405
3. 품질 관리의 일반적 원리 탐색 410
가. 교과서 존재와 품질 관리 410
나. 품질 관리의 일반 원리 모색 411
4. 품질 관리 전담 기관 필요성과 역할 413
가.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운영 확대 413
나. 품질 관리 전담 기관의 필요성 418
Ⅳ. 교과서 품질 관리와 개발학의 시너지 421
1. 더 좋은 교과서를 지향한 품질 관리 421
가. 더 좋은 교과서와 품질 관리 울력 421
나. 미래 지향 품질 관리의 방향 422
2. 교과서 품질 관리 속성과 개발학의 영역 424
가. 품질 관리의 속성과 이론화 424
나. 품질 관리와 개발학의 위상 425

제4장
교과서 개발학의 내용 확충과 전망

Ⅰ. 교과서 존재 방식과 개발학의 상동성 429
1. 구심‧통합 작용의 존재 방식과 개발학 429
가. 거시적 구심 존재 방식 429
나. 미시적 구심 존재 방식 431
2. 작용‧소통 촉매의 존재 방식과 개발학 432
가. 교과 교육학 구조 측면과 위상 432
나. 교과 교육학 연구 측면과 위상 434
다. 교과 교육 현상 측면과 위상 436
라. 학교 활동 관계 측면과 위상 437
마. 교과서 환경 측면과 위상 438
3. 교과서 존재 질서 부여와 개발학의 상동성 439
가. 교과서 존재 질서 부여와 개발학 439
나. 교과서 존재 접맥(接脈)과 개발학의 상동성 441
Ⅱ. 교과서 개발학의 연구 분야와 내용 확충 445
1. 교과서 연구 방법과 현황 탐색 445
가. 단위 교과 연구 방법과 현황 445 나. 교과별 연구 방법과 현황 448
2. 교과서 연구의 보완 방법과 체계 모색 451
가. 교과서 연구의 보완과 지향 사항 451 나. 교과서 연구 범주와 체계 모색 453
다. 교과서 연구의 미래 지향적 방향 457
3. 교과서 개발학 연구의 지평 확대 459
가. 교과서 연구와 개발학의 연구 상동성 459 나. 교과서 개발학 연구 범주와 체계 설정 461 다. 교과서 개발학 연구의 외연 확대 463
Ⅲ. 학문적 울력과 교과서 개발학의 발전 467
1. 개발학의 학문적 성격과 울력 작용 467
가. 개발학의 학문적 성격 탐색 467 나. 학문적 울력과 개발학의 정립 471
2. 개발학 용어의 설정과 체계화 473
가. 용어 설정과 체계화의 필요성 473 나. 용어의 선정 범위와 분류 방법 474 다. 용어의 탄생과 설명 방법 477
Ⅳ. 교과서 패러다임 변화와 개발학의 전망 483
1. 미래 사회 변화와 교과서 위상과 역할 483
가. 교육 패러다임 변화와 교과서 위상 483 나. 교과서 패러다임의 변화와 역할 488
2. 미래형 교과서 패러다임의 변화와 적용 491
가. 스마트/온라인 교육의 도입과 활성화 491 나. 스마트/온라인 교육과 미래학교 모습 495
다. 스마트/온라인 교과서 개념 정립과 활용 499
3. 미래형 교과서 개념 변화와 개발학의 전망 507
가. 미래형 교과서 개념 변화와 대비 507
나. 미래형 교과서 개념 변화와 개발학의 역할 510
Ⅴ. 미래 지향 교과서 정책과 개발학의 가능성 521
1. 교과서 패러다임 변화와 정책적 대비 521
가. 교과서 제도 개선과 정책적 대비 521
나. 교과서 패러다임 변화와 정책의 유연성 527
2. 자유발행제 활성화와 정책적 준비 530
가. 자유발행제 개념, 의미 범주 탐색 530
나. 안착을 위한 정책적 준비와 과제 534
3. 교과서 정책과 개발학의 가능성 543
가. 교과서 정책의 성격/요소와 연구 543
나. 정책적 지원과 개발학의 가능성 544

| 마무리 말 | 개발학의 발전 … 549
| 참고문헌 | … 561
| 찾아보기 | … 569

저자소개

박삼서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고전 문학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고등학교, 교육부(교육인적자원부)에서 다년간 근무하였다.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 홍익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강사, 숙명여자대학교 겸임 교수,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정책과 과장,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 회장,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센터장을 역임하였다. 문학교육과정론(공저), 한국의 도교사상과 문학교육 연구,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국어교육과 생활·문화·철학, 교과서 개발학 등의 저서가 있다. 교과서 존재론, 교과서 개발의 학문적 이론화에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