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뜬세상의 아름다움

뜬세상의 아름다움

(정약용 산문)

정약용 (지은이), 박무영 (옮긴이)
태학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200원 -10% 560원 9,520원 >

책 이미지

뜬세상의 아름다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뜬세상의 아름다움 (정약용 산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6810082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08-16

책 소개

다산 정약용의 서정산문 58편을 엄선하여 옮겨 엮은 책. 다산이 아직 세상에 나가기 전 수학기에 쓴 글부터 만년에 고향 집에 돌아와 쓴 글까지, 그리고 귀양지 강진에서 쓴 편지들로 구성했다.

목차

머리말

1부 사람의 길, 다산의 삶
적벽, 물염정
무등산 유람기
큰형수님의 추억
수종사에 놀다
최 군의 시
소나기 속의 폭포 구경 ― 세검정 나들이
내 뜰의 꽃나무
살구꽃 피면 모이고 ― 『죽란시사첩』 서문
국화 그림자놀이
네가 앓을 때 나는
발꿈치 들고 바라보는 마음
얹혀사는 동산
우물 바닥에서 본 별빛
죽란시사의 벗들 ― 짧은 편지들
부용정의 봄날
카메라 옵스쿠라
지금 여기서
금강산에 가는 까닭
천진암의 산나물
곡산 북쪽 산수
장천용
중국 간다고 우쭐하기에
늙은 낚시꾼의 뱃집
겨울에 시내를 건너듯
돌도 칭찬만 하게
나를 지키는 집
소라껍질 두 개
나를 단속하는 글 ― 사의재에 붙인 기
열녀문은 가문의 복이 아니다
은자의 거처
껄껄 웃게나, 몽당빗자루 같은 세상 ― 미감을 보내며
탐진을 위한 변명
누에 발 같은 세상
뜬세상의 아름다움
백련사의 단풍
노을빛 낡은 활옷
농산별업의 어느 봄날
백운대의 추억 ― 윤지범 묘지명

2부 유배객의 편지
남의 아비 되어 ― 두 아이에게
자포자기하지 말아라 ― 두 아이에게
바라지 말고 베풀어라 ― 두 아이에게
학유에게
가을 매가 날아오르듯 ― 학유에게 노자 삼아 주는 훈계
학연에게 하는 훈계
두 아이에게 보이는 훈계
입을 속이는 방법 ― 두 아들에게 보이는 가훈
세상의 두 가지 저울 ― 학연에게 답함
나무나 돌도 눈물을 흘리는데 ― 두 아이에게
귀족들에게는 희망이 없습니다 ― 형님께 1
꽃 피자 바람이 부니 ― 형님께 2
예법과 인정 ― 형님께 4
혜장선사의 죽음 ― 형님께 5
마음속 계산 ― 형님께 6
의사의 길 ― 다시 아우 약횡에게
내가 너를 몹시 사랑해서 ― 황상에게 준 편지
가난한 근심 ― 다시 정수칠에게
매화 핀 집의 편지 상자 ― 호의선사에게

해설: ‘사람의 길’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저자소개

정약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말기의 실학자. 정조 때의 문신이며, 정치가이자 철학자, 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사암·탁옹·태수·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다산(茶山), 당호는 여유(與猶)이며, 천주교 교명은 요안,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1776년 정조 즉위 호조좌랑에 임명된 아버지를 따라 상경, 이듬해 이익의 유고를 얻어 보고 그 학문에 감동받았다. 1783년 회시에 합격, 경의진사가 되었고, 178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가주서를 거쳐 검열이 되었으나, 가톨릭 교인이라 하여 탄핵을 받고 해미에 유배되었다. 10일 만에 풀려나와 지평으로 등용되고 1792년 수찬으로 있으면서 서양식 축성법을 기초로 한 성제(城制)와 기중가설(起重架說)을 지어 올려 축조 중인 수원성 수축에 기여하였다. 17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 연천현감 서용보를 파직시키는 등 크게 활약하였고, 1799년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다시 모함을 받아 사직하였다.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1801년 신유교난 때 장기에 유배, 뒤에 황사영 백서사건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이배되었다. 다산 기슭에 있는 윤박의 산정을 중심으로 유배에서 풀려날 때까지 18년간 학문에 몰두, 정치기구의 전면적 개혁과 지방행정의 쇄신, 농민의 토지균점과 노동력에 의거한 수확의 공평한 분배, 노비제의 폐기 등을 주장하였다. 저서로 『목민심서』 『경세유표』 『정다산전서』 『아방강역고』 『마과회통』 『자찬묘지명』 『맹자요의』 『논어고금주』 『춘추고징』 『역학제언』 『상서지원록』 『주역심전』 『사례가식』 『상례사전』 『악서고존』 『상서고훈』 『매씨서평』 『모시강의』 『삼미자집』 등이 있다.
펼치기
박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약용 시문학의 연구 ― 사유 방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2003년부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 중이다. 정약용의 문학으로 시작해, 조선 후기 한문학과 문화사에 대한 연구가 주된 관심 분야이다. 저서로 『정약용의 시와 사유방식』이 있고, 역서로 홍길주의 삼부작 문집 『현수갑고(峴首甲藁)』‧『표롱을첨(縹礱乙㡨)』‧『항해병함(沆瀣丙函)』, 그리고 홍길주의 『숙수념(孰遂念)』을 옮긴 『누가 이 생각을 이루어 주랴』 1‧2가 있다. 최근엔 주로 조선시대 여성 작가와 젠더 상황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10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