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68101203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2-12-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시 수업
01 첫 시간, 시의 빗장을 풀어라 : 시의 바다에서 자유롭게 헤엄치기
어떤 시를 읽을까? - 시집 한 권 고르기
★자료1 아이들 스스로 시를 자유롭게 골라 읽기 좋은 시집
마음의 한 귀퉁이를 접어보자 - 깊어지는 시심, 필사부터 시 해설 글쓰기까지
시 해설 글쓰기, 어떻게 평가할까? - 수행평가 활용하기
★자료2 시 해설 글쓰기 수행평가 학습지
02 그럼 이제, 시인에게 흠뻑 빠져볼까? : 한 시인 깊이 읽기
왜 시인의 삶인가? - 시도 누군가의 ‘삶’의 이야기
“시는 보물찾기다” - ‘한 시인 깊이 읽기’ 수업의 4단계
★자료3 교사·학생이 직접 들려주는 시 낭독
삶을 깊이 읽을 만한 우리 시인 하나, 이육사 - “지사의 길, 시인의 길”
삶을 깊이 읽을 만한 우리 시인 둘, 윤동주 - “이역에서 태어나 이역에서 죽은 민족의 시인”
삶을 깊이 읽을 만한 우리 시인 셋, 김소월 - “슬픔의 연금술사”
삶을 깊이 읽을 만한 우리 시인 넷, 정지용 - “고고하고 도도한 시인, 근대 시의 아버지”
★자료4 ‘한 시인 깊이 읽기’ 수업에 참고할 만한 시인 평전
03 시도 영화의 한 장면처럼 : ‘시적 장면’으로 시 감상하기
시적 장면이 그려진다! - ‘목소리’의 주인공을 찾아라
실습 1 <진달래꽃> - 시적 장면 떠올리기
실습 2 <광야> - 체계적인 발문 만들기
04 그까이거, 우리도 써보자, 시! : 시 창작 수업
시의 정수를 만나는 법 - 백 편 읽기보다 한 편 쓰기
쓰기 위한 읽기 - 필사부터 암송까지, 나만의 창작 곳간 채우기
짧은 시 쓰기 - “밖에서 찾지 마세요. 시의 보물은 내 마음 안에 있으니까요”
본격 시 쓰기 - 글감 찾기, 시 줄거리 쓰기, 시 완성하기
★자료5 한눈에 보는 시 창작 수업
시를 시답게 만드는 비결, 고쳐쓰기 - 사례별 지도 포인트
2부 소설 수업
01 소설의 첫 경험 : 성장 소설로 가볍게!
왜 성장 소설인가? - ‘또 다른 나’의 이야기
별처럼 수많은 이야기 중에서 그대를 만나 - 어떤 작품을 고를까?
★자료6 성장 소설 추천도서
장편소설 읽기의 힘 - 읽고 생각 나누고
★자료7 교사가 먼저 읽고 만든 ‘보물 질문’
평가 - 질문 만들기부터 구술 평가까지
★자료8 장편소설 구술 평가 안내문·채점표
02 인간과 사회를 보는 눈 : 동시대와 호흡하는 단편소설 읽기
좋은 단편소설 고르기 - ‘서사’와 ‘함축’을 동시에 잡는 법
★자료9 동시대와 호흡하는 단편소설
소설 읽고 친구들과 책 대화하기 - 교사가 대화의 틀을 짜줘야 한다
03 새롭게 읽는 교과서 소설 : 어휘력부터 ‘왜 그랬을까’ 토의까지
소설 읽을 때도 ‘단어장’이 필요하다 - 소설은 낱말밭, 소설 읽기는 어휘력부터
‘훑어 읽기’부터 ‘왜 그랬을까’ 토의까지 - 소설 감상 5단 도움닫기
★자료10 소설 ‘단어장’, 낱말들의 보물창고
★자료11 '왜 그랬을까’ 토의, 질문들의 보물창고
04 고전소설 수업의 괴로움과 즐거움 : 차라리 원전을 읽자
고전, 선택받은 이야기의 힘 - 접속 코드를 찾아라
고전소설 읽기 수업의 4단계 - 작품 맛보기, 대화 따라가기, 명장면 꼽아보기, 주제 음미하기
★자료12 한눈에 보는 고전소설 읽기 수업
평가 - 비평문 쓰기
고전 읽기 수업의 확장과 응용 - 장편소설에 도전하기
★자료13 한눈에 보는 장편소설 읽기 수업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시집을 가볍게 펼쳐 들고, 읽으면서 마음에 드는 시가 나오면 시집 귀퉁이를 접어두게 한다. 아이들은 주저하며 “제 맘대로 접어도 돼요?” 한다. 수업 자료로 준비한 것이니 책에 밑줄 긋고 접는 활동을 부담 없이 해도 된다고 허용해주면 슬쩍 좋아한다. 아마도 자기 시집이라도 선물 받은 것처럼 편안하고, 누군가에게 대접받는 느낌이 드는 것 같다. (…) 1시간 정도 편안하게 읽고, 찾고, 접게 놓아둔다. 교실 공기가 차분히 가라앉으며 잔잔히 시의 향기에 젖어든다. 아이들에게 좋은 휴식의 시간이 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교사는 먼저 시인의 삶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대상 시인을 정했으면 그에 관한 평전을 찾아 읽는 데서 시작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시인의 삶을 잘 개괄하면서도 그 특징을 인상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돕는 4~5쪽 분량의 글을 학습지로 만든다. 이 학습지를 수업시간 내내 학생들이 흥미를 유지하며 읽어내면 좋겠지만, 많은 학생들이 반 쪽 분량도 스스로는 잘 읽어내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시인의 삶을 다룬 영상물과 글 읽기를 병행하는 게 좋다(윤동주 시인이라면 영화 〈동주〉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가 미리 선정해둔 대표시 4편을 중간중간 적절히 노출하여 맛보게 하는 것이다. 영상과 글이 다 끝난 다음에 대표시 4편을 한꺼번에 제시하면 학생들이 맥락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버거워하기 때문이다. 시인의 삶에 관한 배경지식이 충분히 활성화된 순간, 관련 시를 제시하는 것이 적기를 놓치지 않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