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련 이후백

청련 이후백

(16세기 사림 문화(文華)를 이끈 지성)

임형택, 심경호, 강제훈, 김봉곤, 김학수 (지은이)
태학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청련 이후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련 이후백 (16세기 사림 문화(文華)를 이끈 지성)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9116810155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3-04-01

책 소개

2022년 8월 청련 이후백 탄생 50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계보연구회와 연안이씨청련공파도문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원고를 수정, 보완하여 한데 묶은 것이다.

목차

서문

연안이씨가의 문화 전통 • 임형택
—이후백 및 이의시·이희풍의 저술을 중심으로

1. 연안이씨가와 정양공파(靖襄公派)·문장공파(文莊公派)
2. 16세기 이후백과 그의 역사적 위상 — 『청련집(靑蓮集)』
3. 18세기 이의시의 실학적 저술 — 『해동리언(海東俚言)』
4. 19세기 이희풍의 시대정신과 시 — 『송파유고(松坡遺稿)』
5. 맺음말

16세기 조선의 사림계 관인 이후백의 관직 생활과 그 의미 • 강제훈
1. 머리말
2. 가문 배경과 출사까지의 과정
3. 명종 대 시대적 배경과 이후백의 평판과 처신
4. 선조 대 중견 관료로서의 활동과 광국공신 추봉
5. 맺음말 — 관인 이후백의 생애 평가

청련 이후백 시문의 재평가 • 심경호
1. 서론
2. 이후백 시에 대한 재평가
3. 정식시(程式詩)의 칠언고시
4. 이후백의 산문
5. 결론 — 『청련집』의 정본화를 촉구하며

기호사림(畿湖士林)의 청련 이후백 인식과 서원 건립 • 김봉곤
1. 머리말
2. 이후백에 대한 실록의 졸기(卒記)와 이이(李珥)의 평가
3. 광해군 때 호남사림의 이후백 재평가와 서원 건립 논의
4. 1656년 서봉서원 건립과 기호사림의 이후백 인식
5. 송시열의 이후백 행장과 기호학통 강조
6. 박세채, 김보택, 황경원의 이후백 인식과 추숭
7. 맺음말

연안이씨 청련가(靑蓮家)의 가풍과 그 계승 양상 • 김학수
1. 머리말
2. 서봉원향론(瑞鳳院享論)
— 존현론(尊賢論)에 바탕한 가적(家的) 권위 및 외연의 확장
3. 연성동조론(延城同祖論)
— 정파·학파·지역을 초월한 순혈적(純血的) 혈통의식
4. 호령겸수론(湖嶺兼受論)의 가능성과 노론 기호학파로의 좌정
5. 존주론(尊周論)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가(家)의 실현
— 충의공가(忠懿公家)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6. 맺음말

저자소개

심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955년 충북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문학과 교수 및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학 입문』 『김시습 평전』 『안평』 『김삿갓 한시』 『내면기행』 『산문기행』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호, 주인옹의 이름』 30여 종이 있다. 역서로 『주역철학사』 『서포만필』(상·하) 『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논어』(1~3) 30여 종이 있다.
펼치기
강제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일본 규슈대학교 개원교수, 독일 튀빙겐대학교 파견교수, 고려대학교 박물관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는 『조선초기 전세제도 연구』(고대 민족문화연구원, 2002), 『만남의 제도화, 조선시대 조정의례』(민속원, 2017)와 편저 『조선 전기의 국가 의례와 의주』(민속원, 2015), 공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국립고궁박물관, 2014), 『왕권을 상징하는 공간, 궁궐』(국립고궁박물관, 2017), 『조선시대 서울의 유교의례와 음악』(서울역사편찬원,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임형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한문학
펼치기
김학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를 마쳤고, 「17세기 영남학파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강학의 형성과 공간적 확장』(태학사, 2023), 『백곡 정곤수』(태학사, 2023), 『청련 이후백』(공저, 태학사, 2023), 『낙중 지역 강안학을 열다, 성주 한강 정구 종가』(예문서원, 2011), 『아계 이산해의 학문과 사상』(공저, 지식산업사, 2010), 『여헌 장현광 연구』(공저, 태학사, 2009)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증시행정」, 「‘한강(정구)신도비명’의 개정논의와 그 의미」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