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

(시·시조·한시·영시·역시·가요·민요·동요)

이광수 (지은이), 정기인 (감수)
태학사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900원 -10% 0원
1,550원
26,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 (시·시조·한시·영시·역시·가요·민요·동요)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8102880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24-06-28

책 소개

‘춘원 이광수 전집’의 25번째 책으로, 이광수가 1910년부터 약 40년간 쓴 시 439편을 수록했다. 1910년 3월 『소년(少年)』에 발표한 「우리 영웅」을 비롯한 시 263편, 시조 136편, 한시(漢詩)와 영시(英詩) 11편, 번역시 9편, 가요 8편, 민요 3편, 동요 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발간사


우리 영웅

말 듣거라
이상하다
압록강
나라를 떠나는 설움
망국민의 설움
상부련(想夫憐)
나라 생각
꽃을 꺾어 관을 짓자
새 아이
님 나신 날
한그믐
내 소원
생활난
침묵의 미
어린 벗에게

양고자
청춘
궁한 선비
극웅행(極熊行)
난 날
살아지다

어머니의 무릎
미쁨
강남의 봄
우감(偶感) 삼 편
너는 청춘이다
기운을 내어라
평범
동지(同志)
조선아
묵상록・1
사감(舍監)
통학
반딧불
밤차
낙담하는 자여
묵상록・2

선물
입산하는 벗을 보내고서
흉년
팔십 전
묵상록・3
노래
벗님

불꽃
우송(牛頌)
묵상록・4
한 그믐・1
한 그믐・2

세 가지 맹세
의(義)의 인(人)
가시관
붓 한 자루
묵상록・5
마관(馬關)
살려는 노력
군함
별장
생신(生新)
동경(東京)
조선 열차

양(羊)의 우리
님네가 그리워
조선의 산
기차
“조선을 버리자”
곡(哭) 백암(白巖) 선생
기도
“입원 중에”
경원선(京元線) 차중에서
산 내 소리
궁예(弓裔) 왕릉
서울로 간다는 소
산월(山月)
새 나라로
새벽
국에 말아 드립시다
복조리
아비의 소원
색의(色衣) 노래
힘의 찬미
낙화암(落花岩)
여성의 노래

누이
아내
어머니
향로
내 노래

송춘(頌春)
비둘기
또 하루
나팔꽃
귀뚜라미
사랑해 주신 이
나는
럼비니송(頌)
애인
무소구(無所求)

밀물에
임의 언약
술회(述懷)
아침의 노래
조(弔) 박용철(朴龍喆) 군
봄과 님
불쌍한 아이

쇠북
어린 아들
모르는 이의 편지
아내여
내 죄
버들강아지
첫 나비
무제(無題)
첫 소리
아버지 돌아가신 날
멧새
흐린 샘
사랑의 낙인
할미꽃
역사가(歷史家)
세계의 노래
산으로 바다로
나비
영산홍(映山紅)
지원병 장행가(壯行歌)
어버이
애국일 노래
희망의 아침
선전대조(宣戰大詔)
시로가와 레이코 훈도(訓導) 순직
정지(停止)
조선의 학도여
새해
새해의 기원
승리의 날
신병(新兵)
모든 것을 바치리
경성 급(及) 의주 공동묘지에서 밤에 원혼만세(怨魂萬歲)와 곡소리가 들리다
『돌베개』 서시(序詩)
독자와 저자
나는 독립국 자유민이다
구더기와 개미
주몽(朱蒙)과 예랑
사랑
지구
스무 살 고개
사랑
간수
부처 나라
과년(過年)
절구질
종다리
새끼 뺏긴 어미 닭
모내기
임 이름


인과응보(因果應報)
늙은이
그 나무 왜 꺾나
진달래
괴로워라
절지(折枝)
묵은 꽃씨
사랑

수리
졸업식
도라지
나비
젊은이
이야기
하나님
이온(ion)

이때

시골 풍경
오디
병아리
기침
옛 벗
초옹(草翁)
두 마음
의지
소원
완전
이런 사람
추운 날
향 피우고
우리 서로
사랑하세
정 도령
안락
불에 타는 벌레
인생
오늘과 내일
박덕복(薄德福) 상복상(相福相)
기쁨

기뻐하세 사랑하세
사철
지옥
의심
서로
엿장수
내 뜰
꽈리・1
꽈리・2
오랑캐꽃
도라지
채송화와 한련
병꽃나무
분꽃
담쟁이
엄나무
아이들 나라
참새

주막
우주는 정의다
직심인(直心人)
기러기
호랑이
보고 싶어라
윤회무진(輪廻無盡)
문(門)
청정행(淸淨行)
피아노 소리
기침
세상
한 아궁이
따끔령
고려자기
개피떡
무서운 날
인과(因果)
자비를 잃은 마음
화평
셋째 싸움
완전
광경
소원
나・1
나・2
아내의 설교
이야기
사랑과 미움
나라 타령
사랑
마음
저 해를 바라보니
왜 사나
해방
왜들 싸우시오
살기 좋은 세상
지배자
잘 살 수 있는 나라
법화경(法華經)
무제(無題)

시조

악부[고구려지부(高句麗之部)]
금와(金蛙)
해모수(解慕漱)
유화(柳花)
동명성왕(東明聖王)
새해의 희망

고시조・1
보낸 뒤
고시조・2
중추월
행로난(行路難)

옛 친구
잠옷
인정(人情)
금매화(金梅花)
생(生)과 무상(無常)
송아지
해운대(海雲臺)에서
사비성(泗沘城)에서
촉석루(矗石樓)에서
청춘

새해맞이
석왕사(釋王寺)에서
새 여자의 노래
삼월의 노래
우리의 뜻
비판
시비
병아(病兒)[수오(首五)]
묵상 기록[육(六)]
전원에 가시는 이
삼계중생(三界衆生)
어머님 생각
조선(시조・1)
태백산(太白山)(시조ㆍ2)
누이야(시조ㆍ3)
압록강(鴨綠江)에서
송화강반(松花江畔)에서
조충혼(弔忠魂)
새벽의 노래
곤한 몸
하염없는 마음

역사(驛舍)
마흔한째 돌
만폭동(萬瀑洞)에서
대동강(大同江)
즉흥
차중에서
임 찾아갈거나
앞길
병든 몸
천지(天地)

발자국
긴긴 꿈
잊은 뜻
주랄 것이
박인배(朴仁培) 군께
기다림
초라한 나
단장을 버리나이다
집도 다 없어도
헛애 켜는가
하나님
여름 볕
영년기세(迎年祈世)
봉아(鳳兒) 사후(死後) 둘째 생일에
제야(除夜)
물 한 잔
잉태
남운(南雲)께
시심작불(是心作佛)
능금 공양
관음상
고운 님
뵈오러 갔던 길
부질없는 내 근심
임 여기 계시다네
언뜻 뵈온 얼굴
임 그려
폭풍우・대뇌전(大雷電)
임의 음성
어디를 가옵기로
장자(莊子)를 읽고
임의 얼굴
작은 샘
연꽃
매미
술회(述懷)
사모
임 거기
불심(佛心)
은거
내 뜰
창의문(彰義門)에서
웃고 오는 임
날 찾으시는 이에게
가신 임
옥수수
임 가신 뒤
처음 뵈온 임
어머니
송아지
수미암(須彌庵)・1
수미암(須彌庵)・2
온정령(溫井嶺)
보광암(普光庵)
만물초(萬物草)
도솔암(兜率庵)
호랑아
만폭동(萬瀑洞)・1
만폭동(萬瀑洞)・2
석비(石碑)

바위
명경대(明鏡臺)
백탑동(百塔洞)
운수종적(雲水蹤跡)
외원통(外圓通)
동석동(動石洞)
헐성루(歇惺樓)

여인네
축원
부여행(夫餘行)
벗님네
무슨 원?
가는 봄
송석(松石) 박 선생 대인(大人) 수연(壽筵)을 비오며
모르는 은혜

병든 걸인
무제(無題)

한시(漢詩)와 영시(英詩)

贈三笑居士
明堂風月 三首
辛未除夕韻
石顚上人華甲戱贈
其二
無題
病中吟
丁丑 四月 二十八日 李光洙 鞠躬
蘇峰先生
呈徳富蘇峰先生在五湖
柳樹人從江南來訪
卽興
My Dear Friends
My Song

역시(譯詩)

강촌(羌村)
외로운 추수꾼
시월(그중 몇 절)
콩코드기념비 제막식
낡은 외투
수선화
아메리카 사람들아
신종송(晨鐘頌) 역(譯)
무제(無題)

가요

동아일보 사가(社歌)
오산학교 교가
오산학교 창립 기념가
오산 경가(競歌)
경성 보성전문학교 교가
운동의 노래
유치원 원유회가(園遊會歌)
우리 집의 노래

민요

미아리
딸기 순
저기 저 아씨들

동요

만세
우리 애기 자는 잠
잃어버린 노래
나무리 구십리
꾀꼬리
자장
뒷동산에
우리 애기 잠자오
어디서 오셨나?

해설

영웅, 친일, 사랑: 이광수 시의 도정 _ 정기인

저자소개

이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현대소설의 새로운 장을 개척한 매우 중요한 작가이면서, 일제강점기의 소설가이자 언론인,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조선왕조의 국운이 기울어가던 구한말에 평안북도 정주에서 출생하여, 일찍 부모를 여의고도 두 차례에 걸친 일본 유학을 통하여 근대사상과 문학에 눈뜨고 이를 한국적 사상 및 문학 전통에 접맥시켜 새로운 문학의 시대를 열어나갔으며, 한국전쟁 와중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붓을 놓지 않고 불굴의 의지로 놀라운 창작적 삶을 이어간 작가였다. 그는 『무정』, 『재생』, 『흙』, 『유정』, 『사랑』 등으로 연결되는 본격 장편소설들을 통하여 한국 현대소설의 ‘제1형식’을 창출하였고, 『매일신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의 한글 신문과 『조선문단』, 『동광』 등의 한글 잡지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문필 활동을 펼침으로써 현대 ‘한국어 문학’의 전통을 수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나아가 그는 『마의태자』, 『이차돈의 사』, 『단종애사』, 『이순신』, 『세조대왕』, 『원효대사』, 『사랑의 동명왕』 등 삼국시대로부터 조선왕조에 이르는 시대적 사건과 인물을 소설화함으로써 민족적 위기의 일제강점기에 역사의 기억을 소설의 장에 옮겨 민족적 ‘자아’를 보존하고자 했다. 요컨대, 그는 한국 현대소설의 성립을 증명한 『무정』의 작가요, 도산 안창호의 유정 세계의 꿈을 이어받은 사상가요, ‘2·8 유학생 독립선언’을 주도하고 상해로 망명, 임시정부에 가담한 민족운동가요, 민족적 ‘저항’과 ‘대일협력’의 간극 사이에서 파란만장하고도 처절한 생애를 살아간, 험난한 시대의 산증인이었다.
펼치기
정기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교수. 동경외국어대학 특임준교수 역임. 한국 근대시, K-pop 가사 및 뮤직비디오, 해외 한국학, 번역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 『한국 근대시 형성과 한문맥의 재구성』은 ‘2018 지훈신진학술상’을 받아 출간되었다. 그 외 책으로 『韓国文学を旅する60章』 등이 있고, 논문으로 「“시란 하오” - 이광수의 시 인식과 한국의 ‘근대’」 「경전에서 텍스트로 - 20세기 초 『詩經』에 대한 근대 시인들의 인식 변화」,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Fields of Revision: Adaptations of Wren’s Elegy by Mo Yun-suk and Kim Ki-young”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겨울 공화국의 작가들』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