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8126046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3-04-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배움의 감각
작은 카메라로 충분할까 | 가만한 마음으로 바라보는 | 선생님 나의 선생님 | 굳이 뮤지엄에 가야 할까 | 어쩌면 한생을 걸쳐 천천히 그리고 오래도록 | 선택될 수 없는 자유 | 흑백과 고집 | 첫 번째 편지. 김점선
삶과 눈
눈의 근육 | 언어가 없어도 서로를 알아차릴 때 | 혼자임을 잊기 위해 하는 일 | 우리가 시간과 공간을 넘어설 수 있다면 | 취중사진 | 할머니와 저녁 식사 | 잠든 방 | 낯선 계절들 | 두 번째 편지. 고레에다 히로카즈
아름다운 오해
놓쳐버린 순간에 대하여 | 파리에서 만난 사진가 | 시간의 틈에 앉아 | 구멍 너머의 일 | 이미 정해진 환갑 선물 | 어떤 주름들 | 세 번째 편지. 아녜스 바르다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작은 카메라는 거짓말을 하고 싶을 때, 정직할 수 있게끔 도와준다. 단렌즈로는 피사체와 나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없다. 멀리서 일어나는 현상을 ‘줌’ 할 수 없기에 그저 있는 그대로 찍어야 한다. 자세히 찍고 싶으면 내 발로 가까이 걸어가야 하고, 그럴 용기가 없다면 거리를 둬야 한다. 곁으로 갈 수 있을 만큼 친근한 것은 가깝게 나오고, 멀리서 바라봐야 하는 낯선 것은 멀게 나온다. 내가 사진을 찍는 대상은 주로 좋아하는 주변 사람들이다. 그들과 있다가 기억하고 싶은 장면을 찍을 때도 손바닥만 한 카메라는 도움이 된다. _ 「작은 카메라로 충분할까」 중에서
마음이 따라와줄 여유 없이 그저 빠르게 읽고 보는 것으로 얻어낸 배움은 확실히 수명이 짧다. 그래서인지 방이나 모니터는 배려 깊은 조력자가 되지 못할 때가 많은 것 같다. 어느 전시를 보러 뮤지엄에 가거나 여행을 떠나면, 깊이 예술을 탐구한 사람들이 그것들을 충분히 즐길 수 있게 마련한 구조 안에 머물 수 있다. 컴퓨터 앞에서는 발휘되지 않는 여러 감각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보다 성실한 도움을 받는다. _ 「굳이 뮤지엄에 가야 할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