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8360488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1-12-20
책 소개
목차
1장 sw 프로젝트
변화하는 세상, 응답하라 교육
아는 만큼 보이는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아는 만큼 보이는 프로젝트 학습
교사의 강점을 살리는 지피지기 프로젝트
2장 오조봇
오조봇이란?
1. 오조봇 사용법 알아보기
2. 오조코드를 활용하여 미션 해결하기
3. 오조블록클리에 접속하여 프로그래밍하기
4. 오조봇을 활용한 미술활동 해보기
5. 오조봇을 활용한 다양한 게임활동 해보기
6. 오조봇으로 개인정보 보호 게임 하기
7. 오조봇을 활용한 게임 계획하기
8. 오조봇을 활용하여 게임 제작하기
9. 모둠별로 만든 게임 발표회하기
10. 모둠별로 만든 보드게임 활용하여 게임하고 평가하기
3장 엔트리
프로젝트 1
1. 엔트리 사용 방법 알아보기
2. 엔트리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알아보기
3. 오브젝트 편집 방법 알아보기
4. 움직임 블록 사용하기
5. 생김새 블록 사용하기
6. 두 오브젝트 간의 대화 장면 표현하기
7. 두 오브젝트 간 신호 주고받기
8. 소리블록 사용하기
9. 붓 블록 사용하기
10. 복제본 만들기
11. 데이터 분석 블록으로 정보 활용하기
12. 인공지능 블록으로 지구촌 소식 전하기
13. 다양한 지구촌 문제 알아보기
14. 에너지 사용실태 취재하기
15. 우리가 만드는 도덕 수업: 좋은 미래 만들기
16. 뉴스 주제를 정하고 스토리보드 작성하기
17. 엔트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뉴스 만들기
18. 뉴스 발표회 갖기
프로젝트 2
1. 퀴즈 프로그램 만들기
2. 변수 활용하기
3. 계산기 만들기
4. 함수 활용하기
5. 리스트 사용하기
6. 복제 기능 활용하기
7. 무작위를 이용한 프로그램 만들기
8. 소리 활용하기
9. 초시계 활용하기
10. 조건을 이용한 게임 만들기
11. 변수를 사용하여 게임 만들기
12. 무작위 당첨 게임 만들기
13. 게임 제작 계획 세우기
14. 게임을 만들고 수정하기
15. 게임 프로그램 발표회 하기
4장 언플러그드 활동
1. 교과와 연계한 언플러그드 활동하기
2. 다양한 수업 전략 사용하기
부록 프로젝트 성장 기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삶은 끊임없는 배움의 여정입니다. 그동안 저자를 만나고 도와주신 여러 선생님, 대학원 동료, 교수님들께 존경과 감사를 표합니다. 제 앞가림도 못하면서 다른 이들의 삶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줄 것인가. 나는 성직자의 관점을 갖고 있지 않은데, 내가 아이들을 가르쳐도 되나? 적어도 ‘괜찮은’ 교사가 되려면 어떤 준비를 해나가야 될까. 교사로서 다소 혼란스러웠던 정체성은 입학 무렵부터 시작되어 입직 이후에도 해결이 안 된 숙제처럼 마음 한켠의 부담으로 남아있었습니다. 교직의 어려움을 느낄수록 막연하고 어정쩡한 시간을 보내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다행히 그런 불안감(?) 덕분에 교사로서의 자기 연찬에는 나름 성실했던 것 같습니다. 훌륭한 교사는 못 된다 하더라도 내가 해줄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하는 아이들에게 주기 위해서, 내가 아는 것만큼 누군가를 도울 수 있다는 생각에서, 고민하고 노력하는 과정으로 교직 생활을 이어온 것 같습니다.
이 책은 개인적으로 교사 2.0 시기에 작성한 서브노트이며, 소프트웨어 교육을 처음 접하시는 선생님들의 교사교육과정 운영에 참고가 될 수 있는 도움서로 썼습니다. 제 아이와 여가 시간을 함께할 목적에서도 집필하였기 때문에 관심 있는 학부모님들께서 가정에서 아이와 해볼 수 있는 자습서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와 프로그래밍에 부담을 갖고 계신 분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기본적이면서 상세한 내용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좋은 자료와 교구들은 너무나 많습니다. 저자가 처음 소프트웨어 수업을 하게 되었을 때 넘치도록 많은 자료 중에서 학생들의 40분 수업에 적당한 수준과 내용을 찾아 하나하나 코딩해보고 시행착오를 거치느라 많은 에너지 소진을 경험하였습니다.
학교의 많은 행정업무로 수업에 오롯이 전념하기 힘든 현실에서 가르칠 것은 너무 많아지는 요즘입니다. 학부모로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이의 교육 문제에만 전념할 수 없고, 그렇다고 모든 것을 사교육에 의지하기에도 너무나 많은 교육비를 감당해야 하는 현실입니다. 저자는 수업에서 활용해본 교구들을 중심으로 9장에 걸쳐 풀어보았습니다. 우리 학생들이 소프트웨어를 경험하기 위해 이 모든 활동을 다 해볼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의 연령과 관심있는 내용, 만들고 싶은 것을 고려하여 한 가지의 깊이 있는 활동 경험만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선생님들께서는 이미 교육과정과 수업의 전문가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수업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문법을 익히는데 약간의 시간을 투자하신다면 훌륭한 수업을 운영하실 것이라 확신합니다. 본서에서 소개드리는 사이트에 학습 동영상, 학습 어플, 활동지 파일, 도안 등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수업 활동에서 사용한 자료를 그대로 올려두었으므로 시작은 쉽게 발전은 창의적으로 나아가실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아쉬운 부분도 있습니다. 처음부터 책을 집필할 의도는 없었기 때문에 더 많은 작품과 활동을 사진으로 남기지 못했고, 전문적학습공동체 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시기에 혼자 고군분투하며 운영한 내용이라 부족한 점도 많을 것입니다. 탄탄한 전문성을 가진 선생님들의 집단지성을 통해 현장의 소프트웨어 교육은 훨씬 다채롭게 펼쳐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_들어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