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68417809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4-03-02
책 소개
목차
1부 초등 쓰기 교육의 이론적 기반
1장 초등 쓰기 교육의 개관
1. 초등 쓰기 교육의 중요성
2. 초등 쓰기 교육의 지향
2장 쓰기 능력과 발달
1. 쓰기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인
2. 쓰기 능력의 발달
3장 초등 학습자의 쓰기 특성
1. 초등 학습자의 발달 특성
2. 초등 쓰기 교육의 주요 과업
3. 초등 학습자의 쓰기 부진 현상
4장 쓰기 이론과 교육의 변화
1. 쓰기 이론과 쓰기 교육의 전개 과정
2. 초등 쓰기 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5장 초등 쓰기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1. 초등 쓰기 교육과정의 개념과 기능
2. 초등 쓰기 교육과정에 대한 통시적 이해
3. 초등 쓰기 교육과정에 대한 공시적 이해
6장 초등 쓰기 교재
1. 초등 쓰기 교재의 의미와 구성 변인
2. 초등 쓰기 교재 구성 원리와 방법
3. 쓰기 이론의 교수학적 변환과 초등 쓰기 교재
4. 쓰기 교재 구성과 통합
2부 초등 쓰기 교육의 실제
7장 기초 쓰기 지도
1. 글자 쓰기 지도
2. 문장 쓰기 지도
8장 과정 중심 쓰기 지도
1.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개념과 특징
2.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의의와 한계
3. 과정 중심 쓰기 지도 방법
9장 장르별 쓰기 지도
1. 정보 전달 글 쓰기
2. 설득하는 글 쓰기
3. 표현적 글 쓰기
10장 범교과 쓰기 지도
1. 범교과 쓰기의 개념과 관점
2. 범교과 쓰기의 교육적 접근
11장 디지털 쓰기 지도
1. 매체의 발달과 글쓰기
2. 디지털 글쓰기의 이해
3. 디지털 글쓰기의 지도 내용과 방법
4. 디지털 쓰기 지도의 실제
12장 쓰기 평가
1. 쓰기 평가의 목적
2. 쓰기 평가의 유형
3. 초등 쓰기 평가의 지향
4. 쓰기 평가의 실제
13장 쓰기의 정의적 영역 지도
1. 쓰기 정의적 영역의 개념
2. 쓰기 정의적 영역의 필요성
3. 쓰기 정의적 영역의 특징
4. 쓰기 정의적 영역 지도의 내용과 방법
5. 쓰기 윤리
3부 초등 쓰기 교육의 확장
14장 국어과 통합적 글쓰기
1. 읽기와 쓰기 영역 통합 교육
2. 듣기·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통합 교육
3. 문학과 쓰기 영역 통합 교육
4. 국어과 쓰기 중심 영역 통합 교육의 방향
15장 다양한 요구를 지닌 학습자를 위한 쓰기 지도
1. 쓰기 부진 학생을 위한 쓰기 지도
2. 쓰기 장애 학생을 위한 쓰기 지도
3. 다문화 학생을 위한 쓰기 지도
4. 쓰기 영재 학생을 위한 쓰기 지도
16장 함께하는 쓰기 수업
1. 놀이를 활용한 쓰기 교육
2. 책 만들기를 활용한 쓰기 교육
3. 쓰기 워크숍을 활용한 쓰기 교육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