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윤리학/도덕철학
· ISBN : 9791168731387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5-01-2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말・4
한국어판 저자 서문・7
들어가며・10
서론・17
1장 증언적 부정의 31
1. 권력 34
2. 정체성 권력 41
3. 증언적 부정의의 핵심 사례 47
2장 신뢰성 경제에서의 편견 69
1. 고정관념과 편견적 고정관념 71
2. 편견 없는 증언적 부정의? 89
3. 증언적 부정의의 잘못 92
3장 증언에 대한 덕 인식론적 설명을 향하여 119
1. 변증법적 위치에 대한 스케치 121
2. 책임 있는 청자? 131
3. 유덕한 지각: 도덕적인 것과 인식적인 것 140
4. 감수성 훈련하기 155
4장 증언적 정의의 덕 163
1. 편견을 교정하기 165
2. 역사, 비난, 그리고 도덕적 실망 186
5장 증언적 정의의 계보학 201
1. 진리의 세 번째 근본적 덕 203
2. 지적-윤리적 혼종으로서의 덕 220
6장 원초적 의의: 잘못에 대한 재검토 235
1. 두 종류의 침묵 237
2. 인식자라는 개념 258
7장 해석학적 부정의 265
1. 해석학적 부정의의 핵심 사례 267
2. 해석학적 주변화 277
3. 해석학적 부정의의 잘못 292
4. 해석학적 정의의 덕 306
결론・317
미주・321
참고문헌・344
옮긴이의 말・353
찾아보기・360
리뷰
책속에서
정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정의가 표준이며 부정의는 불행한 일탈이라는 인상을 준다. 그러나 이것은 상당히 틀린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는 정의를 먼저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항상 잔여적으로 부정의를 이해해야 한다는 식의 인상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이해의 경로는 때로 그 반대일 수 있다. 내가 관심을 두는 것은 부정의,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식적 활동 영역에서의 부정의이다.
사회적으로 위치지어진 개념화 방식에서 출발하게 되면, 우리는 권력, 이성, 인식적 권위의 상호의존성을 추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의 인식적 실천에 중요한 윤리적 특성들을 드러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는 인식적 행위가 어떻게 더 합리적이면서 동시에 더 정의로워질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부정의의 정상성에 초점을 맞출 때 철학적으로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한 가지 이점은, 부정의에 저항하기 위해 실제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