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 ISBN : 9791169850131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02-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자기 분석의 실현 가능성과 정당성
혼자서 정신분석을 할 수 있을까?
2장 신경증의 동력
내 안의 무언가가 자꾸 나를 방해한다
3장 정신분석적 이해의 단계
내 성격에는 어떤 무의식의 힘이 작용하고 있을까?
4장 정신분석 과정에서 환자의 역할
분석을 할 때 환자가 마주해야 하는 것
5장 정신분석 과정에서 분석가의 역할
분석가에게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6장 수시 자기 분석
일상생활에 부딪히는 불편한 마음 해결하기
7장 체계적인 자기 분석: 예비단계
계획적으로 나를 분석하는 방법
8장 병적 의존성에 대한 체계적인 자기 분석
클레어의 이야기로 미리 하는 자기 분석
9장 체계적인 자기 분석의 태도와 규칙
자기 분석을 할 때 특별히 주의해야 할 것들
10장 저항에 대처하는 방법
문제 영역에 침입하는 방법
11장 자기 분석의 한계
자기 분석을 가로막는 장벽은 무엇일까?
리뷰
책속에서
정신분석은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특정한 신경증적 장애를 위한 치료 방법으로 남을 것이다. 하지만 정신분석이 포괄적인 성격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은 그 자체로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 사람들의 눈길이 정신분석에 점점 더 쏠리는 이유는 우울증이나 공포증 혹은 그와 비슷한 장애 때문이 아니다. 삶을 견딜 수 없거나 내면의 요인들이 자신을 방해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망가뜨린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공포증과 우울증, 알코올중독과 같은 신경증적 ‘증상’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갈등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사실을 더 철저히 인식할수록 증상을 직접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를 덜 하게 될 것이다. 여러 경향이 갈등하면서 비롯된 결과가 증상이라면 먼저 근본적인 구조를 파악하지 않고 증상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쓸모없는 일이 된다.
더 중요한 것은 통찰이 지금껏 유지해 온 태도의 허울만 그럴듯한 모습을 드러나게 해서 그 사람이 자신의 진정한 감정을 볼 수 있게 도와준다는 사실이다. 그가 지금까지 억압되어 있던 분노와 짜증, 경멸, 두려움, 또는 그 무엇이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활발하고 생기있는 감정이 마비시키는 억제의 자리를 대체하고, 자신을 찾기 위한 발걸음을 내딛게 된다. 그런 발견이 일어날 때 무심코 나오는 웃음은 해방감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