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94054667
· 쪽수 : 543쪽
· 출판일 : 2024-04-20
책 소개
목차
감사 글
옮긴이 서문
서론 진화하는 도덕_도덕, 인간 본성에서 진화하다
제1장 영광을 좇는 탐색_신경증 환자, 영광을 좇다가 길을 잃다
제2장 신경증과 권리 주장_신경증 환자, 권리 주장에 사로잡히다
제3장 당위의 폭정_신경증 환자, 가혹한 내부 명령에 희생되다
제4장 신경증과 자부심_신경증 환자, 가짜 자부심에 속아 넘어가다
제5장 자기 혐오와 자기 비하_신경증 환자, 자기 자신과 전쟁을 치르다
제6장 자기 소외_신경증 환자, 강박증에 사로잡혀 진실한 나에게서 멀어지다
제7장 긴장을 줄이는 일반 대책_신경증에 사로잡힌 해결책, 생활 방식이 되다
제8장 확장 지배 해결책: 통달의 호소력_인생의 모든 문제에 통달하라
제9장 자기 말소 의존 해결책: 사랑의 호소력_사랑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라
제10장 병든 의존 관계_자기 말소 유형과 오만한 복수 유형이 만나다
제11장 체념 독립 해결책: 자유의 호소력_자유와 독립을 추구하라
제12장 인간 관계와 신경증 장애_외면화를 극복하라
제13장 일과 신경증 장애_일에서 발생하는 신경증 장애를 극복하라
제14장 정신 분석 치료법_진실한 나를 찾아 통합하고, 좋은 인간 관계를 맺으라
제15장 이론 고찰_프로이트의 본능 이론에서 인간 관계와 진실한 나의 정신 역학으로, 비관주의에서 낙관주의로 나아가다
참고 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신경증은 현대인들이 대부분 앓고 있는 정신 질환이다. 우리가 일평생 감기를 앓고 낫기를 반복하듯이, 신경계를 기반으로 감각하고 욕구하고 생각하는 인간은 모두 가볍거나 심각하게, 길거나 짧게 신경증을 앓고 낫기를 반복할 수밖에 없다.
우리가 자신을 계발하거나 거짓을 거부하는 기준은 ‘어떤 특정한 태도나 충동이 나의 인간다운 성장을 유도하는가, 또는 방해하는가’라는 질문과 맞닿아 있다. 신경증의 빈도가 보여주듯, 모든 억압은 우리의 구축 기력을 너무 쉽게 비구축적이거나 파괴하는 경로로 돌려 버릴 수 있다. 그러나 자기 실현으로 나아가는 자율적 노력을 제외하고, 자발성을 구속하는 내부의 죄수복은 필요하지 않으며, 완벽을 추구하라고 밀어붙이는 내부 명령의 채찍도 필요하지 않다. 내부 명령으로 규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지 못한 억압 요인이라는 점은 의문의 여지가 없을뿐더러 분명히 인간다운 성장에도 해롭다. 우리는 파괴력을 다룰 수 있는 훨씬 나은 가능성을 찾았기에, 내부 명령에 따른 규율 방법에 매달릴 필요가 없다. 실제로 그러한 규율 방법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우리 자신을 더 많이 자각하고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자기 인식self-knowledge은 그 자체로 목표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성장할 힘을 끌어내는 구체적 수단이다.
아이는 어떤 조건에서 성장하든 정신에 특별한 결함이 없다면, 십중팔구 어떻게든 다른 사람과 맞서 사는 법을 배운 끝에 자기만의 삶의 기술skill을 습득한다. 그런데 아이의 내면에는 학습을 통해 습득하거나 발달시킬 수 없는 힘들이 존재한다. 당신은 도토리가 상수리나무로 자라도록 도울 필요가 없고 도울 수도 없다. 적당한 기회가 오면 도토리가 본래 지닌 잠재력潛在力 potentialities은 발현되기 마련이다. 마찬가지로 인간도 기회를 만나면 자신의 특별한 잠재력을 어렵지 않게 발휘한다. 이때 진실한 나the real self, 곧 참다운 나의 유일하고 생동하는 힘도 계발한다. 자신의 감정과 사유, 소망과 관심을 명료하고 깊이 이해하는 능력, 자신의 소질을 계발하는 능력과 의지력의 강화, 특별한 능력과 재능, 자신을 표현하고 자연스러운 감정에 따라 타인과 관계를 맺는 능력 같은 힘들이 나타난다. 인간은 이러한 힘들에 의지해서 일련의 가치와 인생의 목표를 찾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