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29008794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8-10-05
책 소개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 2 절 연구 내용과 추진체계
1. 연구 내용
2. 연구 추진체계
제 2 장 조사환경 변화 대응사례와 통계신뢰도 분석
제 1 절 조사환경 변화 대응사례
1. 국내 대응사례
2. 해외 대응사례
제 2 절 통계 인식과 이해도 분석
1. 조사 설계
2. 텍스트 마이닝
3. 일반인의 통계 이해도 조사
제 3 장 기술발달에 따른 통계 생산 및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내용
제 2 절 통계적 매칭을 통한 통계 생산 방안
1. 문헌 연구
2. 통계적 매칭 방법론
제 3 절 통신기술 발달에 따른 전화조사 방법론 개선 방안
1. 기존 문헌 연구
2. 전화조사 방법론 및 추정방안에 대한 실험연구
제 4 절 실험연구 결과 분석 및 전화조사 추정방안
1. 주요 지표 분석 결과
2. 전화조사 자료의 추정방안
제 5 절 시사점 및 향후 과제
1. 주요 시사점
2. 본 조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제 4 장 ICT 신산업 분야 시장 규모 추정 방법론 연구
제 1 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구성
제 2 절 ICT산업 추정에 대한 기존 연구 방법론
1. 서베이 방법론
2. 통계적 방법
3. 확산모형
제 3 절 로봇 산업 현황
1. 세계 로봇 시장 현황
2. 국내 로봇시장 현황
3. 소결
제 4 절 실험을 이용한 ICT 신기술 수용도 분석과 시장예측
1. 실험 연구의 필요성
2. 실험 연구의 주요 주제
3. 연구방법론
4. 실험설계
5. 실험결과
제 5 절 소결 및 시사점
제 5 장 통계 생산체계 혁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제 1 절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향
제 2 절 해외 주요국의 통계생산 및 데이터 활용 관련 법제도 현황 및 변화
1. 개관
2. 미국
3. 영국
4. 일본
5. EU
6. 독일
7. 프랑스
제 3 절 국내 통계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주요국 법제도와의 비교 분석
1. 데이터 기반 사회 대응을 위한 국내 통계시스템 현황 분석
2. 해외 주요국과 한국 법제도와의 비교 및 시사점
제 4 절 통계 생산체계 혁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1.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분석
2. 데이터 기반 사회 대응을 위한 통계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제 5 절 소결 및 정책 시사점
제 6 장 결 론
제 1 절 연구의 성과와 한계
제 2 절 연구 의의와 기대 효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