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술의 전통과 시대정신

미술의 전통과 시대정신

윤범모 (지은이)
예술시대
32,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250원 -10% 0원
1,620원
27,630원 >
29,250원 -10% 0원
0원
29,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750원 -10% 1130원 19,340원 >

책 이미지

미술의 전통과 시대정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술의 전통과 시대정신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91170360919
· 쪽수 : 596쪽
· 출판일 : 2025-02-24

책 소개

윤범모 전 관장의 전시 기획에 대한 총망라 시리즈 중 두 번째 책이다. 즉 <미술현장과 전시>의 자매편인 셈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전통미술과 시대정신이라는 용어에 방점을 찍었다. 저자는 한국미술 속 서구미술에 관한 추종이 그릇됨을 지적한다.

목차

머리말

1부 _ 전통과 창조적 계승
· 무표정 미술에서 그림의 주인공 되기까지 _ 012
· 초상화 전통의 단절을 안타까워하며 _ 024
· 불교미술의 창의성과 시대정신 _ 033
· 행복을 담은 색깔그림, 길상화 다시 보기 _ 062
· 민화라는 용어와 개념, 다시 생각하기 _ 069
· 왜 채색문화와 작가정신인가 _ 083
· 미술시장과 민화의 대중화 문제 _ 088
· 영혼을 담은 몸-미인도의 의의 _ 102
· 추사 김정희 동상 건립의 의의 _ 109
· 김복진 관련 새로운 자료를 소개하며 _ 119
· 문화재청의 근대문화재 조소작품 조사 _ 130
· 한국 기념동상의 내역과 문제점 _ 143
· 동상 마케팅 시대의 유감 _ 182
· 공공미술의 범람과 독창성 문제 _ 186
· 이상과 구본웅 그리고 김향안과 김환기 _ 192
· 이응노-분단 상황과 화가들 이야기 _ 206
· 송영옥과 변시지-절규와 와유 _ 220
· 중광-예술과 무애사상 _ 242
· 황영성-격자 울타리 속의 사해동포주의 _ 263

2부 _ 현실과 시대정신
· 4.19 혁명과 미술 _ 270
· 1980년대 한국의 민중미술운동 _ 296
· 1980년대 민중미술운동과 판화 _ 310
· '현실과 발언' 창립과 민중미술운동의 태동 _ 314
· '현실과 발언' 10년의 발자취 _ 322
· '현실과 발언' 30년을 다시 본다 _ 385
· '현실과 발언' 창립 40주년 전시 회의록 _ 400
· 광복 70주년의 미술계 유감 _ 411
· 항일미술과 친일미술 _ 417
· DMZ-금지된 정원과 미술가의 대응 _ 453
· 여성 주인공과 미술 민주화 문제 _ 463
· 일본군 위안부 피해문제의 진실과 평화 _ 478
·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재일 화가 _ 485
· 조양규와 일본 리얼리즘 미술 _ 505
· 리얼하지 않은 아시아 리얼리즘 _ 508
· 후쿠시마 교훈 혹은 미술과 반핵문제 _ 516
· 파견미술단의 오키나와 파견 _ 526
· <분단미술: 눈 위에 핀 꽃>을 보고 _ 534
· 남북한 사회문화 교류와 방송의 협력방안 _ 539
· 북한 미술품의 유통, 무엇이 문제인가 _ 549
· 남북 미술교류, 언제까지 희망사항인가 _ 555
· 제3세계 미술의 재인식 _ 561
· 몽골미술-유목과 정착 그리고 새로운 도전 _ 584

저자소개

윤범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o 제20/21대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o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o 가천대학교 예술대 교수 o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연구교수 o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초대회장 o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o 광주 비엔날레 창립 집행위원 (대통령 표창) o 광주 비엔날레 특별전 책임큐레이터 o 호암갤러리(삼성그룹 리움 전신) 개관 팀장 저서 『미술현장과 전시』 『현대미술관장의 수첩』 『시인과 화가』 『한국미술론』 『한국 근대미술: 시대정신과 정체성의 탐구』 『미술과 함께, 사회와 함께』 시집 『파도야, 미안하다』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오래전 한국근현대 시기의 주요 불교미술 작품을 모아 특별전을 기획한 바 있다(2002). 이 전시는 서울을 비롯 전국을 순회하면서 현대판 불교미술의 새로운 경지를 안내하고자 했다. 전시는 김복진의 불상작품이나 정종여의 의곡사 괘불부터 현역화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꾸몄다. 복제 중심의 전통적 장인의 산물은 고려하지 않고, 창작 중심 작가의 불교적 작품에 비중을 두었다. 의외로 불교 사상을 기본으로 하여 작업한 작가의 숫자는 많았다. 이들 작가의 작품을 통하여 나는 두 가지의 열쇠말을 얻었다. 바로 깨달음과 아름다움이다. 깨달음과 아름다움. 불교미술이 지향해야 할 목표지점, 바로 깨달음과 아름다움이 아닌가.


조계종 산하에 불교예술진흥원 같은 기구를 설립하면 얼마나 좋을까. 여기서 매년 역량 있는 예술가들을 선정하여 창작기금을 지원한다면, 그것도 오랜 세월의 성과가 쌓이게 된다면, 국내외에서 불교의 이미지는 사뭇 달라질 것이다. 한류의 시대가 아닌가. 만약 불교 사상을 기본으로 한 국제적 예술작품이 탄생되었다 한다면 한국 불교의 위상은 크게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영화 <기생충>이나 <미나리> 같은 이야기의 바탕에 불교가 있었다면, 그 영향력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한마디로 한류이건 아니건, 예술이라는 장르의 활용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0360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