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91170489146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9-1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모차골을 지나 대왕암에 이르기까지
신문왕의 호국 행차 길을 걷다
불령봉표를 거쳐 용연에 이르다
기림사를 창건한 분은 안락국이다
기림사 창건과 관련한 여러 이야기가 있다
부도전에서 일주문에 이르기까지
수미산 중턱 사왕천의 천왕문을 지나다
임진왜란 때 의병과 승병의 지휘소였던 진남루
대적광전에 보물로 지정된 여러 점의 문화유산이 있다
창건 설화를 전하고 있는 약사전
경주지역 돌로 조각한 5백나한을 모신 응진전
적멸보궁 마당에서 더 살펴보아야 할 것들
기화요초 속의 삼천 부처님을 배알하다
십일면천수천안관음보살을 모시고 있는 관음전
사람이 죽으면 명부에서 심판을 받게 된다
삼성각을 그냥 지나칠 수는 없었다
기림유물관에 건칠보살반가상이 있다
기림사에 왜 매월당영당이 있을까?
혈사에서 골굴암을 거쳐 골굴사가 되다
모두 12굴로 확인되고 있는 골굴사
골굴사는 2기(奇) 1보(寶) 사찰이다
진국사로 시작하여 감은사로 창건되다
창건 당시에는 사찰 바로 아래까지 배가 드나들었다
금당 아래 용이 드나들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통일신라부터 조선까지 석탑 시원이 된 감은사지석탑
각각 보물로 지정된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사리장엄
동해의 용이 된 문무왕
경주에 가거든 문무왕의 위적(偉蹟)을 찾으라
대왕암은 문무왕의 수중 능이다
큰 용이 되어 불교를 받들고 나라를 보위하겠노라
경주 김씨의 시조는 흉노인 김일제이다?
신문왕이 이견대에서 용이 된 부왕을 만나다
신문왕이 이견대에 행차하여 만파식적을 얻다
진짜 이견대가 맞나?
진짜? 이견대를 찾아서
제2부 건천·서면 지역 신라인의 발자취를 더듬다
금자[金尺]가 묻혔다는 금척리 고분군
금척리 고분은 현재는 32기 정도만 확인되고 있다
금척과 관련하여 이런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김유신 장군의 일화가 전해지는 작원성
건천 대곡리에 작원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까치가 김유신의 위력에 정체를 드러내다
용명리사지 삼층석탑을 동경이가 지키고 있다
우중골을 거쳐 단석산을 오르다
단석산이 김유신 장군이 수련하던 중악일까?
석굴 안에는 열 구(軀)의 불보살상 등이 있다
본존은 미륵불이고 협시불은 관음과 지장보살이다
북쪽 바위 면에는 일곱 구의 불보살상이 있다
북쪽 바위 면에 신선사 조상명기(造像銘記)가 있다
단석산에 숨어 있는 부처님을 찾아 나서다
주사산에서 신라인의 흔적을 더듬다
오봉산에 주사암이 있다
지맥석은 서라벌의 그랜드 캐니언이다
부산성은 언제 어느 정도의 규모로 축조되었을까?
화랑 죽지랑이 낭도 득오곡을 찾아가다
선덕여왕의 예지로 적을 물리친 여근곡(女根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