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애프터 워크

애프터 워크

(가정과 자유 시간을 위한 투쟁의 역사)

헬렌 헤스터, 닉 서르닉 (지은이), 박다솜 (옮긴이)
소소의책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980원
17,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600원 -10% 880원 14,960원 >

책 이미지

애프터 워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애프터 워크 (가정과 자유 시간을 위한 투쟁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7165008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4-02-28

책 소개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일의 변화를 살펴보고 우리의 미래를 내다보는, 더없이 소중하고도 긴급한 이야기다. 요리, 청소, 육아, 돌봄 등과 같은 무보수 가사노동이 어떻게 이전의 전통 사회보다 현대 생활에서 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돌아보고, 그와 관련된 장벽과 난관, 불평등 문제를 논의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1│일을 줄일 수 있을까?
탈노동과 새로운 가능성
일이라는 게 뭘까?
코딩이 아니라 돌봄이다
자유 시간을 위한 싸움

2│기술의 배신
집 안의 산업혁명
코완의 역설
가사노동의 외연 확장
디지털 사회 재생산
상상에 갇히다

3│기준의 강화
더 깨끗해지려는 강박
음식에 대한 관심과 야망
꼬마 쥐들의 경주
잘 차려입고, 바쁘게 굴어
감시와 규율에서 벗어나기

4│가족 형태의 변화
생계 부양자의 탄생
국가의 강요
임금노동으로의 호출
변화하는 개념, 심오한 긴장

5│주거 공간의 재조직
가족 주거 공간의 정치학
대중을 위한 주택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무기
대항적인 공동체의 상상
어떤 집에 살 것인가

6│어떻게 요구할 것인가
시간이 나의 것일 때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원칙
다양한 시도와 제안
한없이 프로메테우스적인 길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헬렌 헤스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웨스트런던 대학교에서 젠더, 기술, 문화정치를 가르치고 있다. 테크노페미니즘, 사회 재생산, 노동 이론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며 국제 작업 그룹 ‘라보리아 큐보닉스(Laboria Cuboniks)’의 일원이다. 지은 책으로 『노골적인 것을 넘어 : 포르노그래피와 성의 이동(Beyond Explicit: Pornography and the Displacement of Sex)』, 『제노페미니즘(Xenofeminism)』, 『포스트 워크(Post-Work)』 등이 있다.
펼치기
닉 서르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킹스칼리지런던에서 디지털 경제를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플랫폼 자본주의(Platform Capitalism)』와 『미래를 발명하다 : 탈자본주의와 일 없는 세상(Inventing the Future: Postcapitalism and a World Without Work)』 등이 있다.
펼치기
박다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했다. 《필 스터츠의 내면강화》 《우리가 결정한 행복》 《이토록 지적인 산책》 《과부하인간》 《매일, 단어를 만들고 있습니다》 《죽은 숙녀들의 사회》 《스피닝》 《애도 클럽》 등을 옮겼다.
펼치기

책속에서



가사노동의 절감은 오래전부터 이상적인 미래의 가정을 상상하는 사람들에게 우선순위로 여겨졌다. 예를 들어 가정에 갖가지 변화가 일어난 19세기 말에는 다수의 페미니스트 개혁가가 청소하기 쉬운 집을 옹호하고 나섰다. 스마트 홈 역시 그 기원을 들여다보면 가사노동을 절감한다는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실제로 ‘가정 기술을 통한 더 많은 여가 시간의 추구는 오랫동안 (스마트 홈과 같은) 가정에 대한 상상의 특징’이었으며, 통합된 기술 시스템을 홍보하는 자료에서는 흔히 가정 기술이 가정 내 여러 절차를 단순화하고 능률화한다고 소개한다. 그러나 초연결된 하이테크 스마트 홈에 대한 상상을 잘 들여다보면, 가사 자체에 대한 고려는 부재하다. 기반 시설의 웅장한 발전이 가정 내 일의 성격을 바꾸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노동은 줄어들지 않는다. 이건 왜 그럴까? [2․기술의 배신]에서


현재의 육아 문화는 불평등의 심화, ‘인적 자본’ 중심 경제로의 이동, 자본주의의 경쟁 심화와 같은 달라진 물질적 조건에 대한 상당히 합리적인 반응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좋은 일자리’가 줄어들어서 불안한 부모들은 자녀가 새 시대에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명문대에 보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육아 목표가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감정적 유대 쌓기였다면, 오늘날의 집중양육은 인적 자원 개발의 형태를 띤다. 그러기 위해 다른 아동과의 경쟁을 대비해 아이를 끊임없이 준비시키고 훈련하는데, 이를 ‘꼬마 쥐들의 경주(rug rat race)’라고 부른다. 경쟁이 이런 풍조를 부추기는 만큼, 사회적 불평등이 심한 국가들이 집중양육 스타일을 채택할 가능성이 훨씬 높은 건 당연하다. [3․기준의 강화]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1650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