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수의 글쓰기

고수의 글쓰기

(30년 글쓰기 전문가가 알려 주는 글센스를 높이는 비법)

이가령 (지은이)
유노책주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500원 -10% 770원 13,180원 >

책 이미지

고수의 글쓰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수의 글쓰기 (30년 글쓰기 전문가가 알려 주는 글센스를 높이는 비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91171831258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5-08-05

책 소개

초·중·교 교사의 직무연수에서 강의한 ‘선생님들의 선생님’이자 EBS, KBS, CBS 등에 출연했던 글쓰기 전문가 이가령 선생의 고수가 되는 글쓰기 비법을 알려 주는 책이 출간되었다. 막연하게만 느껴지는 ‘글 잘 쓰는 법’의 핵심을 5단계로 나누어 정확하게 전달한다.

목차

들어가며 우리의 글쓰기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제1강 우리는 왜 글을 잘 쓰고 싶은가│고수의 전략1: 글감 찾기
나를 발견하는 글쓰기
사소한 이야기가 지닌 힘
경험과 주장이 만나면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남들은 나에게 관심이 없다
솔직함과 배려 사이의 균형을 찾자

제2강 나의 삶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고수의 전략2: 서사력 키우기
어떻게 ‘나’를 드러낼 것인가?
자세하게 관찰해야 하는 이유
기억은 어떻게 끌어내는가?
멀리서 봐야 한눈에 보인다
‘나’를 뭐라고 쓸 것인가?
“살았던 모습을 전달하고 싶다”
왜곡하지 않도록 선별하라
체험에 새로운 옷을 입혀라
예기치 못한 순간에 만난 감동을 기억하라
‘화제’에서 멈추지 말고 ‘문제’로 들어가라
근사하지 않으면 큰일 나는가?

제3강 마음을 울리는 글은 무엇이 다른가│고수의 전략3: 표현력 완성하기
“글을 쓰니 내가 이긴 것 같아요”
좋은 글은 유리창과 같다
보여 주지 말고 겪게 하라
그냥 ‘시간’이라고 쓰지 마라
설명이라는 틀에 주장을 녹여라
문단은 글쓰기의 지도이다
일단 다섯 문단만 써 보라
사람을 끌어들이는 고수의 진짜 전략
요약은 나의 힘
바른 문장의 8가지 조건
틀려서 고친다고 생각하지 마라

제4강 노련한 단어 사용이 글의 품격을 바꾼다│고수의 전략4: 어휘력 늘리기
특별하게 쓰고 싶다면 더 구체적으로
“당신의 주머니에 음악 1,000곡이 들어 있다”
설명하지 말고 보여 줘라
나만 아는 단어만 빼도 좋아진다
아주, 매우, 몹시, 대단히, 굉장히, 엄청나게
낡은 시대의 차별어 대신 요즘 시대의 배려를

제5강 글쓰기는 삶을 대하는 태도다│고수의 전략5: 철학 녹이기
천재는 99%의 노력과 1%의 영감으로 이루어진다
처음부터 완벽하길 기대하지 마라
나를 주저앉히는 7가지 이유들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내 삶은 충분히 기록으로 남길 만하다

나가며 오늘 못 쓰더라도, 내일 다시 펜을 들자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가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민국 교사와 공직자 글쓰기 교육 1호 전문가로서, 30여 년간 국립국어원, 우리글진흥원, 전국 인재개발원 등지에서 글쓰기 교육을 이끌어 왔다. 숙명여대에서 국어국문학 석사학위를, 칼빈대학에서 인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오덕 선생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한 생활 밀착형 글쓰기 교육의 맥을 잇고 있다. ‘쉽고 정확하게 쓴 글이 바르고 귀한 글’이라는 교육 철학으로 누구나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글쓰기 방법론을 전파해 왔다. 현재 우리글진흥원 교육원장과 국제웰에이징협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EBS, KBS, MBN 등 주요 방송에 글쓰기 전문가로 출연하며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아이스크림(i-scream) 원격연수원에 교사를 위한 ‘이가령의 싱싱글쓰기’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국립환경원 생태탐방원 해설사 기본 교재에 〈스토리텔링의 이론과 실제〉를 집필했으며, 내장산 국립공원 등에서 해설사를 위한 스토리텔링 강의도 다수 진행했다. 저서로 《시들시들한 글이 싱싱하게 살아나는 글쓰기 지도 1, 2》, 《이가령 선생님의 싱싱글쓰기》 등이 있다. 인간 고유의 글쓰기 능력이 점점 더 중요해진다는 통찰을 바탕으로, 누구나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글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글쓰기 교육을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글은 넓게 펼치는 것이 아니라 좁게 들어가는 일이다. 주제는 한껏 좁히고 그 안에서 단 하나의 장면을 찾아야 한다. 강아지와 나의 관계를 가장 잘 보여 주는 사건 하나, 바로 거기서 글이 시작된다. 반려견의 노화, 그 가운데서도 밥 먹는 이야기로 골라보자.

나이가 들면서 점점 아이의 입맛이 변하고, 식욕도 예전 같지 않은지 요즘은 밥도 잘 안 먹는다. 속도도 예전 같지 않다. 사료를 물에 불려서 한참을 기다린다. 딱딱한 사료가 부드러워지길 기다리며 나는 컵을 들고 서 있다. 작은 사발에 따뜻한 물을 붓고 젓는 소리, 가만히 들으면 그 소리가 참 조용하다. 서둘러 끓일 것도 아니고, 대충 부어 먹일 것도 아니다. 이젠 그렇게 할 수 없다. 조용한 물소리를 들으며 나는 가끔 나 자신을 본다. 이 아이가 처음 왔을 땐 사료를 철퍼덕 쏟아도 좋았다. 뛰어와 먹고, 엎고, 흘리고, 그래도 다 먹었다. 지금은 다르다. 한 숟갈 한 숟갈, 내가 지켜보아야 안심하고 넘긴다. 아침마다 따뜻한 물을 사료에 붓고 기다린다. 누구를 위해서라기보다, 조금이라도 더 곁에 머물게 하고 싶은 마음으로.

우리 집 강아지의 모든 면을 적으려 하지 마라. 지금 밥을 불리는 일, 그 조용한 준비의 시간, 그게 이 아이와 나 사이의 오늘이다. 화려한 말은 중요하지 않다. 딱 하나, 작고 조용한 장면을 붙잡는 일이 핵심이다. 그리고 그 장면을 품은 매개물 하나만 제대로 찾아도 글은 살아난다. 누군가에겐 냄비에 남은 밥풀일 수도 있고, 누군가에겐 밥그릇을 핥는 소리일 수도 있다. 중요한 건 무엇을 붙잡고 이야기할 것인가, 그리고 그것으로 무엇을 건네려 하는가이다. 거기서부터 진짜 글쓰기가 시작된다.
<나를 발견하는 글쓰기>에서


대학생 대상 글쓰기 강의에서는 주제를 명확히 설정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나는 학생들에게 “지금부터 쓰고자 하는 내용을 한 문장으로 정리해 보세요.”라고 요청하고, 그 문장을 완성할 때까지 진행한다. 만약 이 과정을 생략하고 무작정 글을 쓰기 시작하면 종종 방향을 잃고 엉뚱한 결론으로 빠질 가능성이 크다.
처음부터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글을 쓰는 도중에도 ‘이건 조금 엉뚱한 방향으로 가고 있네’라고 스스로 깨달을 수 있다. 그래서 글을 시작하기 전 반드시 내가 무엇을 쓰고자 하는지, 어떤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지를 한 문장으로 정리해 두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글의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다.
<‘화제’에서 멈추지 말고 ‘문제’로 들어가라>에서


1960년대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의 한 학생이 학부모와 동문들 앞에서 연설을 시작했다. “우리나라 거리는 혼란의 도가니입니다. 대학들은 폭동과 난동을 피우는 학생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공산주의자들은 우리나라를 호시탐탐 파괴하려 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무력으로 우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도처에 지금 위험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내부의 적과 외부의 적이 들끓고 있는 지금 우리나라에는 법과 질서가 필요합니다. 법과 질서가 없다면 우리나라는 살 수가 없습니다.” 청중들은 박수로 화답했다. 연설을 마친 학생은 박수 소리가 잦아든 뒤, 잠시 침묵을 지키다가 이렇게 말했다. “방금 제가 한 연설은 1932년 아돌프 히틀러가 한 연설입니다.” (중략)
결국 중요한 것은 형식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독자와의 소통을 어떻게 강화하느냐에 있다. 두괄식은 신속한 판단을 돕고, 미괄식은 깊은 인상을 남긴다. 특히, 스토리텔링이 중심이 되는 글에서는 독자의 감정과 사고를 천천히 이끌어 가는 미괄식이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히틀러 연설을 차용한 사례처럼, 정보의 배열만으로도 전혀 다른 반응을 끌어낼 수 있다. 글쓰기란 단지 내용을 전달하는 일이 아니라, 그 내용을 어떻게 보여 줄 것인가에 대한 전략이기도 하다.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고수의 진짜 전략>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1831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