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7224791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5-08-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도덕성 진단 검사’ 도구의 개발
제1장 검사 도구 개발의 의의
제2장 윌슨의 도덕성 요소와 평가기준
제3장 ‘도덕성 진단 검사’의 제작
제4장 ‘도덕성 진단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제5장 ‘도덕성 진단 검사’와 실험연구 사례
제2부 도덕교육 방법의 실제
제6장 학술적 도덕교육과 사회적 도덕교육
제7장 사고하기
제8장 토의하기
제9장 규칙 지키기
제10장 가정모형 적용하기
참고문헌
부록 1 ─ 도덕성 요소의 평가기준
부록 2 ─ ‘도덕성 진단 검사’ 실시 요강
부록 3 ─ ‘도덕성 진단 검사’ 문제지
부록 4 ─ ‘도덕성 진단 검사’ 답안지
부록 5 ─ ‘도덕성 진단 검사’ 정답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② 도덕적 판단(결정)은 규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규정적 판단은 ‘나는 이것을 해야 한다’는 식으로 자신이 자신에게 하는 명령이다. 우리는 판단이 규정적이지 않을 때 ‘해야 할 것’을 다른 사람에게 미루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있다.
③ 도덕적 판단(결정)은 보편화 가능해야 한다. ‘이와 비슷한 사태에서는 나뿐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사람들도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한다’는 판단이 되어야 한다. 보편적 판단이 아닐 경우 ‘다른 사람은 하지 않는 데 왜 나만 해야 하는가’라는 마음이 생길 수 있다. 도덕적 원리와 도덕적 판단은 자기 자신만을 위한 것이어서는 안 된다.
평균점수는 통제집단에서의 제2범주(M=13.20), 제3범주(M=14.96), 제4범주(M=16.30), 총점(M=57.78) 각각의 평균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에서의 제1범주(M=14.10)의 평균점수는 통제집단에서의 제1범주(M=13.30)의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p<.05 수준에서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다.
따라서 실험처치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전검사 결과 제1범주(PHIL), 제2범주(EMP), 제3범주(GIG), 제4범주(KRAT), 그리고 총점에서 비슷한 수준이다.
규칙이나 권위에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은 항상 가능하다. 다른 식으로 말하면, 사람들에게 생각하게 하고, 합리적으로 마음을 결정하게 하는 것이 먼저이고, 규칙과 권위의 기능은 이러한 목적에 종속되는 것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생각은 전체주의 또는 독재주의 사회에 대비되는 자유주의 사회의 기본적 가정이다. 때로 사람들은 자유주의 사회는 당신이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는 사회인 데 비해, 전체주의 사회는 시키는 대로 하는 사회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 모든 사회는 규칙과 권위를 가지고 있다. 두 사회체제 간의 실제의 차이는 규칙과 권위의 기능을 무엇으로 생각하는가에 있다. 자유주의 사회에서 그 기능은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자유와 안정을 주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