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음의 노래, 주심부

마음의 노래, 주심부

(오직 한마음이란 무엇인가?)

영명연수 (지은이), 연관 (옮긴이)
불광출판사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0원 -10% 0원
2,500원
42,500원 >
45,000원 -10% 0원
0원
4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음의 노래, 주심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음의 노래, 주심부 (오직 한마음이란 무엇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72611705
· 쪽수 : 976쪽
· 출판일 : 2025-06-16

책 소개

불교의 대의를 분명하게 드러낸 역작이다. 법안종 3대 조사이자 정토종 6대 조사인 영명연수 선사가 만법의 시작이자 총괄로서 일심(一心)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화엄·천태·중관·유식·정토·선종의 교설과 수행관을 하나로 묶은 회통불교의 값진 저술이다.

목차

해제

제1부 심부(心賦)

제2부 주심부(註心賦)

1장 주심부 권제 ➊
1. ‘마음’을 노래한 까닭은
2. 마음은 모든 성현의 스승이네
3. 마음은 여의주와 같이 만물을 길러내네
4. 마음은 여러 가지 이름을 갖고 있네
5. 고금의 마음에 담긴 깊은 뜻을 살펴보네
6. 한 글자 보배로운 왕이 헤아리기 어려운 법의 바다를 연출하네
7. 마음의 큰 나무에서 오천 경권이 열렸네
8. 삼계의 문을 활짝 열어 일체법을 증득하네
9. 마음에서 생사의 눈병이 생겨나네
10. 세상 모든 것은 마음에서 이뤄지지 않은 것이 없네
11. 마음의 원만한 깨달음(圓覺)에서 생멸문과 진여문으로 나누어지네
12. 과보는 없어지지 않네
13. 무심(無心)의 약은 모든 병을 치유할 수 있네
14. 한마음 치자꽃 향기가 중생계에 가득하네
15. 미혹된 마음은 진여를 바탕으로 하고 있네
16. 발원하고 믿으면 해내지 못할 것이 없네
17. 선견왕의 약을 복용하면 모든 병이 낫네
18. 한마음의 법은 세상의 폐단을 바로잡을 수 있네
19. 무명의 나무에서 깨달음의 꽃이 피어나네
20. 유정 무정의 마음에는 지극히 귀한 보배가 있네
21. 한마음의 깃발을 높이 세우네
22. 마하연의 골수를 쪼개서 우담화의 뿌리를 캐내네
23. 진여실관(眞如實觀)을 수행하면 삶의 근원을 보네
24. 하나의 방편으로 무변찰해겁(無邊刹海劫)을 청정하게 하네
25. 공문(空門)은 부처를 뽑는 도량(選佛場)이네
26. 하나의 성품이 천 개의 문을 여네
27. 열 가지 힘의 공력으로 의심의 성을 부수네
28. 한마음의 횃불을 들어 세상의 어둠을 비추네
29. 평등한 마음은 부처님의 법을 창성하게 하네
30. 세상 모든 일이 내 마음에 달렸네

2장 주심부 권제 ➋
1. 수행이 될 때나 되지 않을 때나 꾸준히 정진해야 하네
2. 시방 허공도 겨자 구멍의 허공과 한가지라네
3. 중생의 마른 흙을 파니 부처의 지혜 샘이 솟아나네
4. 고요한 부처님의 나라에 어찌 하나의 티끌인들 어지럽겠는가
5. 원종(圓宗)의 사자후를 토하여 사구(四句)와 백비(百非)를 몰아내네
6. 일체 만물은 모두 참된 마음의 힘을 갖고 있네
7. 일대사인연의 정원에 마음의 꽃이 피네
8. 모든 종교는 한마음으로 근본을 삼는다네
9. 털 짐승도 본성은 지극히 신령하네
10. 정관(正觀)에 들어 현묘한 문을 두드리고 여여의 지름길을 밟아 가네
11. 지극한 도는 막힘이 없네
12. 사람을 여의고는 법이 없고, 법을 여의고는 사람이 없네
13. 정념(正念)이 촉발하면 여우의 의혹인 줄 바로 깨우치네
14. 만물이 모두 색신삼매(色身三昧)를 드러내네
15. 처음 발심한 도량에서 조사의 지위에 오르네
16. 현묘한 바람이 불어 법의 장수가 삿된 소견을 물리치네
17. 지관(止觀)을 잘 닦으면 영원히 윤회에서 벗어나네
18. 원각의 살운로를 밟아 선문의 설족구(齧鏃句)를 설하네
19. 허망함의 본 성품은 본래 텅 비었고, 중생은 원래 부처라네
20. 무생(無生)의 꽃비가 무명의 땅에서 진여의 싹을 틔우네

3장 주심부 권제 ➌
1. 중생의 마음 거울에 전륜왕의 밝은 구슬이 드러나네
2. 왜 부처를 보지 못하는가
3. 보리의 도장이 모든 중생의 마음에 분명하게 찍혀 있네
4. 마음이 분별하지 않으면 법은 결코 허물이 없네
5. 마음을 고요히 하면 어지러운 번민이 사라지고 지혜가 드러나네
6. 육근과 육진으로 쪼개진 생사의 종자는 열반의 바른 씨앗이네
7. 업식의 근본을 어떻게 가르치고 깨우칠 수 있겠는가
8. 팔만사천 가르침이 자성의 땅에서 움트네
9. 세계가 이루어지려 할 때 한 생각에 모두 거두어들이네
10. 일심대승 씨앗의 지혜와 재능이 맑게 무르익어 가네
11. 녹야원의 지혜 바람이 언제나 어디에나 불어오네
12. 광대한 가르침의 바다를 건너서 선방의 문고리를 잡네
13. 중생은 생사의 바다에 빠지지 않았네
14. 한 번이라도 본다면 천금을 바칠 만하네
15. 행은 언제나 순리를 따르고 도는 언제나 두루하네
16. 성냄의 불은 자신에게서 발화하여 도로 자신을 태우네
17. 마음은 여래의 창고요, 만덕의 숲이네

4장 주심부 권제 ➍
1. 어떻게 마음의 분별이 일어나는가
2. 어떻게 세상의 경계가 생겨나는가
3. 사념처에서 시작하여 삼점(∴)으로 돌아가네
4. 눈병에서 삼계의 헛꽃과 육진의 환영이 생겨나네
5. 선악의 가지에 흔들리지 말고 지혜로 관조하라
6. 주체와 객체의 석벽을 투과하면 뜻의 하늘에 별빛이 찬란하리라
7. 뛰어난 관(觀)을 통달한 이가 법의 잔치를 열어 최상승의 노래를 부르네
8. 멀리 보이는 한 줄기 빛이 뭇 생각을 모두 맑게 하네
9. 한 송이 꽃이 피니 온 세상이 봄이네
10. 언어의 길이 사라지면 본가로 돌아가는 날이네
11. 자신에 맞게 마음을 기울여 법의 등불을 밝혀야 하네
12. 스스로 깨달은 성스러운 지혜를 증득하여 본도량에 들어가네
13. 예로부터 변함없는 실상(實相)의 문으로 들어가네
14. 다른 이를 따르면 무사할지는 모르나 주인공의 삶은 아니라네
15. 마음의 물줄기는 도의 근원을 찾는 참된 비결이네

제3부 주심부 원문

참고 문헌

저자소개

영명연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 선사는 당말 오대(五代)에서 북송 초에 걸쳐 활동한 스님으로 중국불교 선종 5가 중 하나인 법안종의 3대 조사이며 정토종의 6대 조사이다. 속성은 왕(王)씨이며 호는 지각(智覺)이다. 강소성 단양에서 태어나 절강성 항주로 이주하여 살았다. 취암(翠巖) 선사에게 출가해 천태산 천주봉에서 90일간 좌선 수행을 하였으며, 이후 법안종 2조 천태덕소(天台德韶) 국사를 참방하여 깨달음을 얻고 선맥을 이어받았다. 송 태조 건륭 2년(961년) 항주 영은사에서 대중을 제접하며 선정겸수(禪淨兼修)를 크게 선양했으며, 천태산에 머무는 동안 1만여 명에게 수계하는 등 종풍을 드날렸다. 선사는 중국불교사에서 사상적으로는 선(禪)과 교(敎)를 원융하고, 수행 가풍으로는 선(禪)과 정토(淨土)를 겸수한 회통불교의 표상이다. 주요 저술로 『종경록』 100권, 『만선동귀집』 6권, 『주심부』 4권, 『유심결』, 『관심현추』, 『정혜상자가』, 『경세문』, 『선서안양부』, 『수계』 등이 있다. 북송 개보 8년(975년) 72세로 입적했다.
펼치기
연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8월 경상남도 하동에서 태어난 연관 스님은 1969년 1월 금강사에서 우봉 스님을 은사로, 병채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수지하고 같은 해 통도사에서 월하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했다.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직지사 황악학림에서 관응 대강백을 강사로 경율론 삼장을 연찬한 후 경학에 매진했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직지사・김용사 승가대학 강사를 역임했으며,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대한불교조계종 최초 승가전문교육기관인 실상사 화엄학림 학장을 맡아 여러 후학을 양성했다. 이후 문경 희양산 봉암사 선원・기기암・칠불사・벽송사・백양사・대흥사・태안사 등 제방 선원에서 수행정진했으며,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조계종 소의경전인 『조계종 표준 금강경』 편찬에도 참여했다. 이 책 『마음의 노래 주심부』는 2022년 6월 15일 세수 74세, 법랍 53세로 입적한 연관 스님의 마지막 번역이다. 스님은 선・교・정토 수행을 바탕으로 평생 선교일치의 삶을 살아갔으며 역경에도 진력했다. 대표 번역서로 『불설아미타경 소초』, 『죽창수필』, 『금강경간정기』, 『선관책진』, 『선문단련설』, 『왕생집』, 『용악집』, 『학명집』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유식의 삼성(三性), 즉 변계소집성・의타기성・원성실성과 삼무성(三無性)을 해석하면서 중생이 마음으로 드러낸 일체 법상(法相)이 무성이고 유식성임을 강조하고 있다. 화엄에서는 사법계(四法界), 법계삼관(法界三觀), 십현연기(十玄緣起), 십바라밀을 일심의 전개로 설명하면서 무연자비(無緣慈悲)의 보살행으로 귀결시키고 있다. 선종 조사의 어록 또한 ‘성품이 공한 것이 부처’라는 관점에서 직지인심 즉심즉불의 수증(修證)을 제시하고 있다. 거듭 요약하자면 『종경록』의 축약본인 『주심부』는 대승불교의 반야중관, 유식, 여래장, 선종을 일심으로 회통하면서 선교일치와 선정겸수를 제시하고 있는 회통불교의 값진 저술이다.


수많은 강물이 흘러가서 바다가 모두 거두어들임을 어찌 막을 수 있겠는가? 오악(五岳)도 스스로 높으나 태양이 광활하게 비춤을 방해하지 않는다. 근기가 똑같지 않고 바라는 것이 같지 않아서 사방에서 들어가는 문은 비록 다르지만, 오로지 분별없는 직관으로 볼 때는 차별이 없다. 마치 새를 잡는 것은 그물의 한 코이지만 하나의 그물코만을 그물이라 하지 않고, 나라를 다스리는 자는 공이 한 사람에게 있을지라도 한 사람으로는 나라를 다스리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대지도론』에서 “모든 법이 부처님의 마음에 들어가면 오직 하나의 적멸삼매문(寂滅三昧門)이 헤아릴 수 없는 삼매를 섭수한다. 마치 옷깃 한 자락을 잡아끌면 온 옷이 모두 딸려 오고, 또 여왕벌을 얻으면 나머지 벌을 모두 거느리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만약 마음 왕(心王)이 일어나면 마음이 소유한 선악 등의 법이 모두 따른다. 왕이 나가면 온 벼슬아치들이 모두 따라오는 것과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