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담 수퍼비전

상담 수퍼비전

(조력 전문가들을 위한 실용적 지침, 제3판)

제럴드 코리, 로버트 해인즈, Patrice Moulton, Michelle Muratori (지은이), 김창대, 김형수, 유성경, 이상민, 최한나 (옮긴이)
박영스토리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990원
32,0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상담 수퍼비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담 수퍼비전 (조력 전문가들을 위한 실용적 지침,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72790806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25-06-30

책 소개

수퍼바이저가 되는 데 필요한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책이다. 유능한 수퍼바이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주제들을 다루되, 다양한 장면에서 다른 사람에게 수퍼비전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것에 강조점을 두었다.
저자 서문
수퍼비전 영역은 조력 전문직 영역 중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전문 영역이 다. 과거에는 수퍼바이저들이 본인이 수퍼비전을 받았던 다소 제한된 경험에 기초해 수퍼 비전 방법을 익히곤 했다. 최근까지도 수퍼비전 활동에 대한 전문적인 기준이 거의 제시되 지 못하였으며 수퍼비전을 독립 과목으로 세분화하는 경우도 드물었다. 요즈음은 조력 전 문직 분야의 대학원 전공 내에 수퍼비전 과목을 포함하는 추세이다. 만일 수퍼비전과 관련 된 독립된 교육과정이 없을 경우는 수퍼비전과 관련된 주제들은 몇 가지 다른 교육과정에 통합되어 다루어진다. 고등 교육 인증 위원회, 예를 들어 CACREP은 실습 및 인턴십에서 입문 수준의 전문 직무를 감독하기 위한 특정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이들은 수퍼바이저의 자격 요건도 명시하고 있다. 게다가, 주 면허 및 인증 위원회는 점점 더 면허 및 인증 과정 의 일환으로 수퍼비전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수퍼바이저로 활동하기 위 해서는 이제 수퍼비전에 관한 교과 과정을 이수하거나 직무 연수 워크숍을 수강하고, 기술 및 기법뿐만 아니라 수퍼비전 과정 및 절차에 대한 능력을 입증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책은 수퍼바이저가 되는 데 필요한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우리는 재미있고, 실 제적이며, 개인적이면서도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책을 집필하려고 했다. 우리는 유능한 수 퍼바이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주제들을 다루되, 다양한 장면에서 다른 사람에게 수퍼비전 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것에 강조점을 두었다. 우리는 수퍼 비전 방법을 익히는 최선의 방법 가운데 하나는 학생들이 수퍼비전을 받으면서 경험했던 것을 성찰해 보도록 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이 책에 제공된 정보와 지침들은 수퍼비전 관련 문헌과 수퍼비전에 대해 축적된 우리 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윤리적 주제, 전문가 규정, 그리고 관 련 문헌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주제에 대해서 우리의 입장을 제시하 면서 다양한 사례에 대해 어떻게 접근할지에 관한 논평도 제공하였다. 저자들은 수퍼바이 저가 된다는 것에 관한 각자의 관점을 상세하게 기술했다(1장 참고). 여러 가지 주제에 관한 논의를 더 풍부하게 하기 위해 모든 장의 마지막에 ‘개인적 관점’을 추가로 제시했다. 우리는 이론과 개인적 신념, 태도, 그리고 수퍼비전에 관한 경험 간의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했 다. 이 책의 특징 중 하나인 현장의 목소리는 수퍼비전에서 등장하는 중요한 주제에 대한 다른 수퍼바이저들의 경험을 간략하게 제시했다. 다양한 관점에서 제시된 총 49개의 경험 담은 임상적 수퍼비전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다채로운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우리는 독자가 책에서 제공하는 내용을 수퍼비전에 대한 유일한 접근 방법이라고 받아 들이지 않기를 바란다. 대신 우리는 성찰적인 수퍼비전 활동과 아울러, 학생들이 이 책에 서 학습한 내용에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통합시키기를 바란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학생들 에게 자신들이 전문가로 발달하는 각각의 단계에서 받았던 수퍼비전 경험을 반복해서 반 추해 보기 바란다. 학생들이 이론적 기초와 수퍼비전 방법을 공고히 하고 동시에 수퍼바이 지와 수퍼바이저로서 경험했던 것으로부터 학습한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실제 적용을 위한 요령, 사례, 예시 양식, 상호 간 질문, 그리고 소집단으로 실시 가능한 활동들 같은 실제적인 측면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이 책은 대학원의 여러 석 · 박사 과정에서 주교재나 혹은 부교재로 활용하도록 구상되었다.
이 책(3판)은 상담교육학, 상담심리학, 임상심리학, 결혼 및 가족 치료, 휴먼 서비스, 사회 복지학, 학교 상담, 정신건강 상담, 재활 상담, 중독 상담, 정신 간호를 비롯한 다양한 정신 건강 전문 분야에서 수련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이 책은 위의 전문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상 담 실습, 현장 실무, 인턴 교육뿐만 아니라 학부 상급 학년의 보건 혹은 사회 사업 프로그 램 재학생을 위해서도 좋은 교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은 활동 중인 수퍼바이저나 예 비 전문가들을 위해서도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감사의 글
현장의 목소리에 자신의 전문 지식을 공유해 주신 45명의 저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여러분들은 실용적인 조언을 추가하고 독자들에게 성찰의 아이디어를 제공해 주셨습니다. 또한, 이 책의 내부 디자인과 표지 작업을 창의적으로 해주신 Bonny Gaston께 감사드립니다. 이 프로젝트에 대한 헌신과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미국 상담학회의 Carolyn Baker 부제작자님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Carolyn은 전체 원고를 검토하고 피 드백을 제공해 주셨으며, 이 피드백은 최종 원고에 반영되었습니다. 이 책의 세 번째 판을 작업하는 동안 Carolyn과 Kay Mikel 원고 편집자의 재능에 매우 감사드리며, 이들과 함께 작업하는 것이 즐거웠습니다.

역자 서문
이번에 번역한 『상담 수퍼비전: 조력 전문가들을 위한 실용적 지침』은 상담을 전공하는 국내 대학원생들에게 친숙한 Corey 박사의 『Clinical Supervision in the Helping Professions: A Practical Guide』의 제3판을 번역한 것이다. 원본의 1판은 2002년, 2판은 2010년에 출판 되었고, 한국에서는 2011년에 원본의 초판이 번역된 적이 있다. 이후 초판 번역본이 소진 된 이후, 많은 학생과 교수자의 요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원본의 2판과 3판의 번역본 이 출판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에 이번에 박영스토리에서 3판을 번역하게 되어 매 우 기쁘다.
상담에서 수퍼비전은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이유로 외국뿐만 아니라 국내 상담 분야에서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첫째, 국내에서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에 대한 요구나 그 분야 종사 자의 규모는 급격히 증가해 왔다. 제공되는 서비스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서비스의 질적 수 준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 또한 증가했다. 둘째, 상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평 이하고 시간을 많이 들일 수 있는 내담자가 아니라, 자살, 각종 폭력(성폭력, 가정 폭력, 아동 폭력), 코로나와 같은 팬데믹 사태, 그리고 이것들로 인한 트라우마 등 위급한 상황에서 신 속하고 정확한 상담 서비스가 필요한 내담자가 증가했다. 셋째, 국내에서도 외국인 노동 자, 다문화 가정, 북한 이탈 주민, 성 소수자뿐만 아니라 SNS의 발전과 같은 새로운 문화 적 맥락, 그리고 벌써 전문 상담 서비스 분야에서 피할 수 없는 인공지능의 발전이라는 기 술적 발전은 상담 서비스 제공자에게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 가지 도전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 집단이 서비스 제공자의 전문성, 책무성, 윤리성에 대해 이전보다 훨씬 더 깨어 있기를 요구한다.
상담 수퍼비전은 이러한 요구에 대해 응답하는 가장 현명하고 중요한 방법이다. 상담 수퍼바이저는 상담 전문가 집단에 진입하기 이전에 학생 및 수련생에 대한 교육, 진입하려 는 사람에 대한 진입 제한 기능(gatekeeping), 진입한 초보 전문가에 대한 안내, 보호 및 그들 의 성장 촉진, 그리고 실제 상담 과정에 대한 면밀한 감독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 상담사 집단의 전문성, 책무성, 윤리성을 확보하려고 한다. 이 책은 상담 수퍼비전을 수행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공통적 주제(예: 수퍼바이저의 역할과 책임, 수퍼비전 관계, 수퍼비전 모형 등)뿐 만 아니라, 위에서 살펴본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상담 수퍼바이저가 계속 고민해야 할 실 무적 주제(예: 다문화, 법적 요소, 위기관리, 평가, 테크놀로지 등)를 매우 실용적인 지침 수준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45명의 실무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나눈 현장의 목소리는 책의 내용을 더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게끔 해 주었다.
이 책을 번역한 역자들은 이 책이 수퍼비전을 제공하는 수퍼바이저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라 믿는다. 그뿐만 아니라 수퍼비전을 받는 수련생에게는 이 책이 자신들이 기대할 수 있는 수퍼비전이 어떤 형태이며 지금 받고 있는 수퍼비전이 충분한지, 수퍼비전에서 자 신이 해야 할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지, 효과적인 수퍼비전을 위해서 수퍼바이저와 어떻게 협력하면 좋은지를 알려 주는 책이라 생각한다.
그동안 많은 요구가 있었지만 여러 가지 사정으로 오랫동안 번역되지 못했던 책의 번역 을 의뢰한 후, 언젠가 번역이 완성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오래 기다려 주신 박영스토리 노 현 대표님, 그리고 다섯 역자의 개성이 드러난 번역 방식, 용어, 편집 방식 등을 통일하고 개선하여 좋은 번역서가 나오게끔 도와주신 김용순 과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그리 고 마지막이지만 가장 중요한 분들, 좋은 책의 번역에 동참하신 김형수, 유성경, 이상민, 최한나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역자 대표 김창대

목차

저자 서문 x
감사의 글 xix
저자 소개 xx
현장의 목소리 집필진 xxvi
역자 서문 xxxi
CHAPTER 01 수퍼비전 입문 1
핵심 질문.................................................................................... 3
수퍼비전의 정의...................................................................... 5
수퍼비전의 발전 과정.................................................................... 6
수퍼비전의 목적.............................................................................. 8
수퍼비전 목표에 관한 우리의 관점.................................................. 9
수퍼바이지와 함께 목표 설정하기................................................... 2
유능한 상담사와 수퍼바이저 되기.................................................. 12
수퍼비전에 대한 관점들................................................................. 13
요약................................................................................................ 27
학습 활동........................................................................................ 29
CHAPTER 02 수퍼바이저의 역할과 책임 31
핵심 질문........................................................................................ 33
수퍼바이저의 역할.......................................................................... 34
상담 및 행정 수퍼바이저의 책임.................................................... 47
수퍼비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 가르치기................... 59
수퍼바이지가 현장 경험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취하도록 조력하기..................................................................... 60
요약....................................................................................... 64
학습 활동........................................................................................ 66
부록 2A: 수퍼비전 계약서...............................................................68
CHAPTER 03 수퍼비전 관계 73
핵심 질문.........................................................................................75
수퍼비전에서 나타나는 개인적 및 대인적 문제들.......................... 76
수퍼비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수................................. 89
수퍼비전 과정에서 가치 갈등 다루기............................................. 91
효과적인 수퍼비전을 위한 팁......................................................... 94
수퍼비전 과정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특성.................................. 95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간의 갈등.............................................. 97
수퍼바이지 준비시키기: 도전 과제 대처하기................................. 99
수퍼바이저가 경험하는 도전........................................................ 109
요약............................................................................................. 112
학습 활동..................................................................................... 114
CHAPTER 04 수퍼비전 모델 115
핵심 질문...................................................................................... 117
수퍼비전 모델 이해...................................................................... 118
발달 모델...................................................................................... 119
심리치료 기반 모델...................................................................... 126
통합적 수퍼비전 모델................................................................... 136
당신의 수퍼비전 모델 개발하기................................................... 147
요약.............................................................................................. 149
학습 활동...................................................................................... 150
CHAPTER 05 수퍼비전 방법 151
핵심 질문...................................................................................... 153
수퍼비전 형식............................................................................... 154
수퍼비전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168
수퍼비전에서 신기술 사용....................................................... 178
수퍼바이저가 수퍼바이지에게 하는 말......................................... 185
기술 개발...................................................................................... 186
수퍼비전 방법과 관련한 다른 고려 사항...................................... 190
요약.............................................................................................. 193
학습 활동...................................................................................... 194
CHAPTER 06 다문화적으로 유능한 수퍼바이저 197
핵심 질문..................................................................................... 199
수퍼비전에서 다양한 정체성과 교차성을 포용하기.......................201
다문화 수퍼비전을 하지 않기: 어떤 위험이 있는가?.....................205
다문화 수퍼비전의 정의.................................................................206
다문화 상담 및 수퍼비전의 수행....................................................206
발의 행동의 다차원 모델:
수퍼바이저 및 상담 교육자를 위한 시사점............................... 209
강점 기반 수퍼비전 실천하기.........................................................225
상담사 교육 프로그램에서 외국인 수련생을 수퍼비전하기.......... 229
해외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 수퍼비전..........................................231
장애인 내담자를 상담하는 수련생 지원하기..................................234
다문화 수퍼비전의 한 측면으로서의 영성.....................................238
문화적으로 다양한 수퍼바이지에 접근하기 위해
신기술을 활용하기.................................................................... 243
요약................................................................................................244
학습 활동...................................................................................... 246
CHAPTER 07 수퍼비전에서의 윤리적 쟁점과 다중 관계 247
핵심 질문........................................................................................249
상담 수퍼비전의 윤리적 쟁점........................................................251
수퍼바이저의 역량..........................................................................257
무능하고 결함 있는 수퍼바이저.....................................................260
무능하고 결함 있는 수퍼바이지.....................................................262
수퍼비전 과정에서의 다중 역할과 다중 관계............................. 273
수퍼비전과 상담의 병행.................................................................288
역할과 관계의 변화........................................................................289
요약................................................................................................291
학습 활동........................................................................................292
CHAPTER 08 수퍼비전에서의 법적 문제와 위기관리 이슈 295
핵심 질문........................................................................................297
법적 기초........................................................................................298
경고, 보호, 그리고 보고 의무........................................................310
수퍼비전에서의 위기관리...............................................................311
규율(징계) 수퍼비전........................................................................315
위기관리와 수퍼비전 과정에서의 다양한 과제들을
다루는 방법............................................................................... 316
아동 청소년 상담에 있어서의 윤리적, 법적 고려점.......................330
요약................................................................................................334
학습 활동........................................................................................335
CHAPTER 09 수퍼비전에서 위기관리 339
핵심 질문........................................................................................341
위기의 의미....................................................................................344
위기 상황에서 수퍼바이저의 역할 및 책임....................................344
유능한 위기 상담 수퍼바이저 되기................................................347
위기관리를 위한 개념 틀: 모든 수퍼바이저가 알아야 할 점들.....349
위기 기반 임상 수퍼비전을 위한 CARE 모형................................353
대규모 트라우마 상담을 위한 지침................................................356
구체적 위기 상황의 이해..............................................................359
조력자에 대한 보호........................................................................376
요약................................................................................................379
학습 활동........................................................................................381
CHAPTER 10 수퍼비전에서의 평가 383
핵심 질문........................................................................................385
윤리 및 평가 규정..........................................................................387
진입 제한 기능 및 평가.................................................................388
다양성 및 평가...............................................................................391
평가의 핵심 기능...........................................................................391
수퍼바이저에 대한 평가................................................................396
평가 수행을 위한 지침들...............................................................397
수퍼바이지에 대한 초기 평가........................................................403
평가 방법들....................................................................................404
평가 기술을 검증해 보기...............................................................406
추천서 작성....................................................................................409
요약................................................................................................412
학습 활동........................................................................................413
부록 10A: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바이지 평가 양식.......................414
부록 10B: 실습 평가 양식.............................................................417
부록 10C: 수퍼바이지 수행평가 양식............................................422
CHAPTER 11 효과적인 수퍼바이저가 되기 425
핵심 질문........................................................................................427
효과적인 수퍼바이저의 특성..........................................................428
초보 수퍼바이저의 어려움..............................................................440
효과적인 수퍼바이저가 되는 것에 대한 우리의 생각....................441
수퍼바이저로서 자신만의 스타일 찾기..........................................442
이제 우리는 어디로 나아갈 수 있는가?.........................................443
요약................................................................................................444
학습 활동.......................................................................................445
참고문헌 446
색인 467

저자소개

제럴드 코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전문 심리학 위원회(ABPP), 국가 공인 상담자(NCC)는 풀러턴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의 사회복지 및 상담 명예교수이다. 미국 전문심리학회 상담심리학 자격 취득자이고, 상담심리사 면허를 취득했으며, 미국 상담학회, 미국 집단 상담 전문가 학회, 미국 심리학회 17분과와 49분과의 펠로우이다. Marianne Schneider Corey와 함께 2011년에는 미국 정신건강 상담사 학회로부터 종신 공로상을, 2001년에는 집단 상담 전문가 학회의 탁월한 경력상을 수상했다. Corey 박사는 현재 출판중인 15권의 상담학 교재를 저술하거나 공저했으며, 상담의 다양한 측면을 다룬 5개의 교육용 DVD 프로그램을 제작했고, 수많은 논문과 책 챕터를 집필했다. 그가 공저한 책으로는 Marianne Schneider Corey, Cindy Corey, and Patrick Callanan과 함께 쓴 ‘남을 돕는 직업에서의 문제와 윤리(2015)’, Marianne Schneider Corey와 함께 쓴 ‘조력자 되기(2016)’와 ‘나에게 선택권이 있다는 것을 몰랐다(2014)’, 그리고 Marianne Schneider Corey, Cindy Corey와 함께 쓴 ‘집단: 과정과 실천(2014)’이 있다. 다른 저서로는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2013), 집단 상담의 이론과 실제(2016) 등이 있다. Corey 부부는 지난 40년 동안 미국뿐만 아니라 캐나다, 멕시코, 중국, 홍콩, 한국, 독일, 벨기에, 스코틀랜드, 영국, 아일랜드의 여러 대학에서 정신건강 전문가를 위한 집단 상담 교육 워크숍을 진행했다.
펼치기
로버트 해인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Fuller Graduate School of Psychology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국상담학회(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상담교육 및 수퍼비전 협회(Association for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의 회원이며, 공인 임상심리학자이자 경계성 장애에 관한 심리학 비디오 프로그램 제작자로서, 25년 동안 Atascadero State Hospital의 공인 임상심리 인턴십의 수련감독으로 재직하였다.
펼치기
Patrice Moulton (지은이)    정보 더보기
Northwestern State University에서 심리학과 학과장으로 재직 중이며, 공인 물질남용상담자 위원회(Board Certified Substance Abuse Counselor), 공인 전문상담자(Licensed Professional Counselor), 국가공인 상담자(National Board Certified Counselor), 미국 결혼 및 가족치료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임상회원이다. 또한 미국상담학회(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의 일원이다.
펼치기
Michelle Muratori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존스 홉킨스 사범대학 석사과정 상담전공의 부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일리노이주 에번스턴에 위치한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상담심리학 석사를 취득한 후, 아이오아 대학에서 상담교육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다양한 과목을 가르쳐 왔으나, 특히 집단상담에 깊은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집단 촉진의 기술을 훈련하는 데 큰 보람을 느낀다.
펼치기
유성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상담 전공 교수이다. 미네소타대학교 교육심리학과에서 상담 전공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상담사 교육과 수퍼비전, 정서와 애착이며, 최근에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상담사 훈련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상담 및 심리치료의 핵심 원리』, 역서로는 『성격장애의 정신역동 치료』, 『감정공포 치료』 등이 있다. (사)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사)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펼치기
김창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컬럼비아대학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한국 청소년상담원과 계명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9년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상담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초기 연구는 대인관계 및 성격문제, 집단상담과 관련된 주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최근에는 애착 및 대인관계에서 내에서 겪는 거절경험의 심리사회적 영향력과 그 결과로 파생되는 정서적 문제의 조절과정 및 정서조절과정의 신경생물학적 기제에 대한 연구로 관심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저서로는 『카운슬링의 원리』,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특수아동상담』 등이 있고, 역서로는 『대상관계이론과 실제: 자기와 타자』, 『집단상담』 , 『인지부조화 이론』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형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상담 전공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상담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심리검사 등이며, 저 · 역서로는 『성격의 이해와 상담』,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2판)』, 『상담연구방법론』 등이 있다. 기타 활동으로는 (사)한국상담학회 총무이사, (사)한국상담심리학회 노인상담연구회장을 역임했다. (사)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1급, (사)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펼치기
최한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상담교육 전공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상담 전공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상담 관계와 상담 성과, 상담사 교육 및 수퍼비전, 정서 조절이며, 최근에는 뇌파와 AI를 활용한 심리평가 및 상담성과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역서로는 『상담의 시작: 시작부터 종결까지』, 『얄롬을 읽는다』 등이 있다. (사)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1급, (사)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펼치기
이상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상담 전공 교수이다. 플로리다대학교 상담학과에서 학교 상담 전공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학교 상담과 번아웃 신드롬이며, 최근에는 메타버스 상담과 AI 상담사 훈련 등으로 연구 관심사를 확장하고 있다. 저서로는 『International Handbook for Policy Research on School-Based Counseling』, 『생활지도와 상담』 등이 있다. (사)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