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등 도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초등 도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이범웅, 박찬석, 김병연, 이인태, 김하민, 남궁환, 권누리 (지은이)
박영스토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초등 도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등 도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72791131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5-08-01

책 소개

우리는 도덕 교과를 왜 가르쳐야 하는가?(목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내용),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방법)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 책을 집필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 책에서 도덕 교과의 성격 및 목표를 도덕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충실히 설명하고자 하였다.

목차

제1장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1. 성격 및 목표.............................................................................................................13
1) 도덕과 교육의 성격..................................................................................13
2) 도덕과 교육의 목표..................................................................................14
2. 내용 영역 및 가치관계 확장법..............................................................................16
1) 가치관계 확장법의 등장과 변천...............................................................16
2) 가치관계 확장법에 따른 내용 영역의 설정...............................................19
3. 핵심 가치..................................................................................................................20
1) 성실..........................................................................................................21
2) 배려..........................................................................................................24
3) 정의..........................................................................................................27
4) 책임..........................................................................................................30
4.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33
1) 내용 체계..................................................................................................33
2) 성취기준...................................................................................................37
5. 교수 · 학습 및 평가..................................................................................................40
1) 도덕과 교수 · 학습의 방향과 방법.............................................................40
2) 도덕과 평가의 방향과 방법.......................................................................42


제2장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구성 체제
1.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편찬 방향 및 방안...........................................................49
2.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단원 기본 설계................................................................52
3.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차시 구성 및 체계...........................................................58
1) 기본형 단원..............................................................................................58
2) 자율융합형 단원.......................................................................................60
4.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내용 및 방법상의 특징...............................................64

제3장 도덕 수업 설계 및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
1. 좋은 도덕 수업이란?..............................................................................................69
2. 도덕 수업 설계의 일반적인 절차..........................................................................73
1) 수업 설계의 일반적인 절차.......................................................................73
2) 도덕 수업의 설계 절차..............................................................................75
3. 도덕 수업 설계의 구체적인 단계들......................................................................77
1) 도덕과 교육과정 분석...............................................................................77
2) 학습자 분석..............................................................................................83
3) 전체적인 수업 전개 과정 구상..................................................................85
4) 수업 재구성 및 단계별 세부 활동 개발.....................................................88
5) 평가 도구 개발..........................................................................................94
6) 수업 실행 및 수정을 위한 환류.................................................................97
4. 좋은 도덕 수업을 만드는 여러 가지 원리들.......................................................99

제4장 도덕과 교수·학습 모형
1. 개념 분석 수업 모형.............................................................................................111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111
2) 교수 · 학습 모형의 단계...........................................................................113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116
4) 활용상의 유의점.....................................................................................119
2. 가치 분석 수업 모형.............................................................................................121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121
2) 교수 · 학습 모형의 단계...........................................................................123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126
4) 활용상의 유의점.....................................................................................129
3. 가치 갈등 해결 수업 모형....................................................................................131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131
2) 교수 · 학습 모형의 단계...........................................................................133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136
4) 활용상의 유의점.....................................................................................139
4. 도덕적 토론 수업 모형.........................................................................................141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141
2) 교수 · 학습 모형의 단계...........................................................................143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146
4) 활용상의 유의점.....................................................................................150
5. 합리적 의사결정 수업 모형.................................................................................152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152
2) 교수 · 학습 모형의 단계...........................................................................154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156
4) 활용상의 유의점.....................................................................................159
6. 역할놀이 수업 모형...............................................................................................161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161
2) 수업 모형의 단계....................................................................................163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167
4) 활용상의 유의점.....................................................................................170
7. 집단 탐구 수업 모형.............................................................................................172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172
2) 교수 · 학습 모형의 단계...........................................................................174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176
4) 활용상의 유의점.....................................................................................179
8. 경험 학습 수업 모형.............................................................................................181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181
2) 교수 · 학습 모형의 단계...........................................................................183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185
4) 활용상의 유의점.....................................................................................188
9. 가치명료화 수업 모형...........................................................................................190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190
2) 교수 · 학습 모형의 단계...........................................................................192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195
4) 활용상의 유의점.....................................................................................198
10. 도덕 이야기 수업 모형.......................................................................................200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200
2) 교수 · 학습 모형의 단계...........................................................................202
3) 교수 · 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205
4) 활용상의 유의점.....................................................................................208
11. 철학적 탐구 공동체 수업 모형.........................................................................210
1) 이론적 배경 및 기대 효과.......................................................................210
2) 교수ㆍ학습 모형의 단계.........................................................................213
3) 교수ㆍ학습 모형을 활용한 도덕 수업의 실제.........................................217
4) 활용상의 유의점.....................................................................................221


제5장 도덕과 교육에서 평가의 실제
1. 교육평가와 도덕과 평가.......................................................................................227
1) 교육평가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227
2) 교육평가의 유형.....................................................................................230
3) 도덕과 평가의 의미와 쟁점.....................................................................231
2. 도덕과 평가의 주요 개념들.................................................................................234
1) 성취평가제..............................................................................................234
2) 과정중심평가..........................................................................................235
3)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237
4) 수행평가.................................................................................................238
5) 루브릭.....................................................................................................240
3. 도덕과 평가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243
1) 지필평가법..............................................................................................243
2) 면접법.....................................................................................................246
3) 자기 보고법............................................................................................247
4) 평정척도법..............................................................................................249
5) 관찰법.....................................................................................................251
6) 학생 상호 평가법....................................................................................252
7) 기타 방법들............................................................................................255
4.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평가의 실제................................................258
1) 학기 단위 성취평가의 운영 절차............................................................258
2) 성취기준별 수행평가 도구 개발의 실제..................................................259

저자소개

이범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충북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석사 및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9년부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도덕교육 이론 및 도덕과 교육 지도법, 통일교육론, 민주시민윤리교육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까지 공감, 행복, 감사, 긍정심 등을 주제로 도덕교육과 연관 지어 논문과 저서 및 역서를 집필하고 연구해 왔다. 그리고 북한이해교육 및 통일교육 등과 관련된 논문과 책을 저술하였다. 저서로는 『초등도덕과 교육론』, 『도덕과 교육론』, 『도덕과 교육의 실제』, 『21세기 북한학』, 『통일 시대의 북한학』, 『인문고전 군주론』, 『정치사회사상』, 『고통과 공감의 연대』 『시민성 이론과 시민교육』, 『옴니버스 시민교육』, 『세계의 시민교육』 등이 있고, 대표 역서로는 『넥스트』, 『인성교육』, 『마르크스의 생태학』, 『감사와 행복한 삶』, 『교육의 미래와 학교혁신』, 『자율성과 전문성을 지닌 교사되기』, 『서비스 러닝』 등이 있다. “프랑스 시민교육의 탐색을 통한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함의에 대한 고찰”을 비롯하여 30편 이상의 논문을 등재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이인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경인교육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기도에서 10여 년간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 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 심리학, 발달 심리학,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등이다. 저서로는 『초등도덕과 교 육론』(공저), 『도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공저),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공저) 이 있고, 역서로는 『도덕 발달과 실재』(공역), 『청소년의 합리성과 발달』(공역), 『인식론적 인지와 발달』(공역)이 있으며, 그 외에도 도덕과 교육 관련 수십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하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월정초등학교 교사이다. 서울교육대학교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특별시에서 10여 년간 초등교사로 재직하고 있으 며, 서울교육대학교에서 강사로 대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 심리 학, 도덕과 교수 · 학습 방법, AI 윤리교육, 기독교 윤리 등이다. 저서로는 『변혁적 시민교육 교수법』(공저), 『인공지능은 선생님을 대신할까요』(공저)가 있고, 그 외에 도덕과 교육 관련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병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고, 같은 대학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도덕과 교육과정, 교수 · 학습 방법, 평화교육, 시민교육, 통일교육, 세계시민교육, AI 윤리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초등도덕과 교육론』(공저), 『통일교육의 페다고지』, 『한반도 리빌딩 전략 2025』(공저), 『선생님, 평화통일이 뭐예요?』(공저) 등이 있다. 이 외에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 집필에 참여하였고, 도덕과 교육, 민주시 민교육, 평화교육, 통일교육 관련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박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특별시에서 15년간 중등교사로 근무하였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과 교육, 통일교육, 다문화 교육 등이다. 저서로는 『초등도덕과 교육론』(공저),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의 실제』(공저), 『북한 교육 연구』(공저), 『남남갈등 대립으로 끝날 것인가』, 『도덕, 통일 그리고 통합』, 『안보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가 있으며, 그 외에도 도덕과 교육 및 통일교육 관련 수십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남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개봉초등학교 교사이다.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서울교육대학교 초등 윤리 · 인성교육전공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특별시에서 10년간 초등학교 교사 로서 근무하고 있고, 서울교육대학교에서 강사로 일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덕 윤리 이론, 도덕 심리학,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등이다. 교육부, 국립통일교 육원,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주관하는 교육관련 프로젝트에 참여 했고, 국내외 도덕과 교육 관련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권누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서래초등학교 교사이다. 경인교육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 과에서 교육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인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전남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에서 강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초등 EBS 강사로 활동한 바 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 심리학, AI 윤리교육, 도덕과 교수 · 학습 방법, 신경윤리학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공감의 심리 기제에서 상상력의 기능과 도덕교육적 함의 -흄의 상상력 이론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동작 원리에 기초한 초등 도덕과 인공지능 윤리교육 방안 연구 -데이터 편향성 문제를 중심으로-”, “의사사회 접촉 이론에 기초한 도덕과 통일교육 방안 연구 -반편견 의식 함양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