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91173572395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5-05-02
책 소개
목차
1. 하멜 표류기
하멜보고서
1653년
1654년
1655년
1656년
1657년
1658년
1659년
1660년
1661~1662년
1662년~1663년
1664년
1665년
1666년
1667년
조선 왕국과 사회에 대한 기술
조선의 지형과 지리
국왕의 권위
기병과 보병
국방과 병역
조선의 관료 제도
수입원과 세금
범죄와 형벌
종교, 사찰, 승려, 종파
집과 가구
교육
장례
민족성
무역
도량형 및 화폐
동물
언어, 문자, 계산방식
왕의 행차
2. 부록1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 공문서
표류된 네덜란드인들에 관한 서신
일본 상관 일지1
나가사키에서 바타비아로 보낸 서신들
보고서
일본 상관 일지2
나가사키에서 바타비아로 보낸 서신, 1667년 10월 13일
일본 상관 일지3
나가사키에서 바타비아로 보낸 서신, 1667년 10월 22일
총독과 평의회의 결의안, 1667년 12월 2일
총괄 서신, 1667년 1월 25일
총괄 서신, 1667년 12월 23일
본국 서신
17인 위원회(Heeren XVII)의 결의안
해방된 난파자들에 대한 보고
나가사키 일지
나가사키에서 바타비아로 보낸 서신들
총괄서신, 1668년 12월 13일
바타비아에서 나가사키로 보낸 서신, 1669년 5월 20일
가사키에서 바타비아로 보낸 서신, 1669년 10월 5일
1670년 10월 19일자 서신
바타비아에서 나가사키로 보낸 서신, 1670년 6월 16일
네덜란드동인도회사(VOC) 17인 위원회의 결의안, 1670년 8월 29일
본국 서신
3. 부록2 – 후팅크 해설
스페르베르호의 출항
'켈파르트'라는 명칭의 기원은 무엇일까?
핸드릭 하멜(Hendrik Hamel)에 관한 기록
4. 역자 후기
왜 ‘후팅크 판본’과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공문서 번역인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는 하멜의 표류
드릭 하멜은 누구인가?
얀 얀스 벨테브레이는 누구인가?
네덜란드인 하멜이 조선에 가 있던17세기, 네덜란드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하멜이 소속되었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는 어떤 회사일까?
책속에서
요안 주재의 총독과 위원회는 우리에게 다시 일본으로 출항할 것을 명령했다. 우리는 짐을 싣고 총독과 작별인사를 한 후, 하느님의 은총 하에 가능한 빨리 항해를 이어가고자 같은 달 30일에 출항을 했다.
-하멜 보고서
정오가 되기 전에 천막에서 대포 사정거리 정도 떨어진 곳에 한 남자가 보였다. (…) 그에게 우리 쪽으로 오라 손짓했지만 그는 우리를 보자마자 도망쳐버렸다. 정오가 지나자 머스킷총 사정거리쯤 떨어진 곳에 세 명의 남자가 나타났다. (…)그들의 옷차림은 중국인과 비슷했지만, 말총으로 만든 모자를 쓰고 있어서 ‘어쩌면 이들이 해적이나 추방당한 중국인들이 아닐까’ 하는 두려움에 마음을 졸이고 있었다.
-하멜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