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8505715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5-03-20
책 소개
목차
펴내는 글/ 004
Ⅰ. 고흥류씨(高興柳氏)의 선대와 분파…류풍연
1. 고흥류씨의 시원(始源)/ 017
2. 고흥류씨의 선대(先代)/ 019
3. 고흥류씨(高興柳氏)의 분파(分派)/ 031
1) 예빈공 종중(禮賓公宗中)/ 031
2) 대호군 류균(柳均)의 대호군파 종중(大護軍派宗中)/ 034
3) 밀직공 류유기(柳有奇)의 종중/ 034
4) 판관공 류방(柳坊)의 판관공파 종중(判官公派宗中)/ 037
Ⅱ. 고흥류씨 충정공파의 고창입향과 세거…백원철
1. 忠靖公 후손 寺正公 면(沔)과 고창종중의 성립/ 043
2. 사직공(春英)의 고창입향과 후손들의 세거/ 045
1) 사직공(春英) 후손의 성두리 세거/ 049
(1) 반죽재공(之泰) 후손의 월곡(月谷) 이주와 세거/ 051
(2) 반죽재공(之泰) 후손의 하성(下星)이주와 세거/ 052
2) 석탄공의 주곡리 남하(南下)와 후손들의 세거/ 053
(1) 첨추공(慶弘) 후손의 분가와 세거/ 060
(2) 주부공(慶元) 후손의 신상·목동 세거/ 062
(3) 만호공(東仁) 후손의 봉산리 세거와 분가/ 064
3. 참판공의 고창 입향과 후손들의 세거/ 073
1) 18世 春睡堂 萬齡 후손들의 세거/ 075
2) 18世 通德郞 喬齡 후손들의 세거/ 085
3) 18世 司僕正 松齡 후손들의 세거/ 089
4) 18世 鶴齡 후손들의 세거/ 092
4. 고흥류씨 고창세거 충정공파 후손들의 행의와 학문/ 094
1) 국난(國難)에 활약한 인물/ 095
2) 사환(仕宦)에 충직한 인물/ 098
3) 선행·효행으로 추앙받은 인물/ 102
4) 문집을 남긴 인물/ 106
Ⅲ. 고흥류씨 영광종중 후손의 고창 입향과 세거…류풍연
1. 靈光宗中에서 고창군 성송면(星松面)으로 들어온 종파/ 121
2. 靈光宗中에서 고창읍 월암리 수월(水月)에 들어온 小宗/ 126
3. 영광에서 고부(정읍 소성면)를 거쳐 신림면에 들어온 종파/ 128
4. 영광 종중에서 고창군 대산면(大山面)으로 들어온 종파/ 165
5. 영광 종중에서 고창군 고수면(古水面)으로 들어온 종파/ 167
6. 영광종중 후손 중 문집을 남긴 인물/ 175
Ⅳ. 고창 高興柳氏의 집성촌과 유물·유적…이병열
1. 고창의 고흥류씨 집성촌/ 181
1) 고창읍 성두리 성두(星斗) 2) 고창읍 성두리 상성(上星)
3) 고창읍 주곡리 주곡(蛛谷) 4) 고창읍 주곡리 신상(新上)
5) 고창읍 주곡리 사계(沙溪) 6) 고창읍 덕정리 석탄(石灘)
7) 고창읍 월곡리 월곡(月谷) 8) 고창읍 월곡리 상월(上月)
9) 고수면 남산리 남산(南山) 10) 신림면 부송리 부송(扶松)
11) 고수면 봉산리 봉산(蜂山) 12) 고수면 상평리 상평(上平)
13) 아산면 목동리 목동(木洞) 14) 신림면 외화리 환산(環山)
15) 신림면 가평리 가평(加平) 16) 신림면 무림리 임리(林里)
2. 서원과 사우/ 209
1) 현곡정사(玄谷精舍) 2) 용강사(龍岡祠)
3) 벽산사(碧山祠) 4) 창효사(彰孝祠) 유지(遺址)
3. 누정(樓亭)/ 219
1) 석탄정(石灘亭) 2) 칠송정(七松亭) 3) 탄운정(灘雲亭)
4) 영귀정(詠歸亭) 5) 수송정(秀松亭) 6) 임간정(臨澗亭)
7) 성곡정(星谷亭) 8) 합간정(合澗亭) 9) 망향정(望鄕亭)
10) 운송대(雲松臺) 11) 관란정(觀瀾亭) 12) 청파정(靑坡亭)
13) 판정리보호수
4. 재실(齋室)/ 234
1) 학산재(學山齋) 2) 진천재(眞泉齋) 3) 화수재(花樹齋)
4) 시묘재(侍墓齋) 5) 원모재(遠慕齋) 6) 동천재(東泉齋)
7) 시산재(山齋) 8) 경수재(敬修齋) 9) 삼계재(三溪齋)
10) 와촌재(瓦村齋) 11) 염수재(念修齋) 12) 죽산재(竹山齋)
13) 추산재(楸山齋) 14) 도강재(道崗齋)
5. 정려와 충효열비/ 249
1) 통훈대부부평도호부사내자시정류공면지묘(通訓大夫富平都護府使內資寺正柳公沔之墓)
2) 어모장군충무위사직류후 숙인죽산안씨 지묘(禦侮將軍忠武衛司直柳侯 淑人竹山安氏 之墓)
3) 증가선대부병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 행통정대부보성군수류공춘발지묘 정부인성주이씨(贈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 行通政大夫寶城郡守柳公春發之墓 貞夫人星州李氏)
4) 고흥류공경복지처열부울산김씨정려각(高興柳公慶復之妻烈婦蔚山金氏旌閭閣)
5) 류혜원·류필원정려각(柳惠源·柳必源旌閭閣)
7) 고흥류씨한천배열부기적비(高興柳氏漢天配烈婦紀蹟碑)
8) 삼강문 고흥류씨 삼강비(三綱門 高興柳氏 三綱碑)
9) 어모장군수군만호 류동인선생 충의비(禦侮將軍水軍萬戶柳東仁先生忠義碑)
10) 사인류기춘구휼선덕비(士人柳基春救恤善德碑)
11) 순국의사류금동기적비(殉國義士柳今童記蹟碑)
Ⅴ. 고창세거 고흥류씨 충정공파 후손의 문헌선
1. 통사랑 도염서승 류공 휘 정 묘표(11세)/ 265
2. 통례원봉례柳공 휘 귀연 묘정비명(12세)/ 267
3. 통훈대부내자시정 류후 휘 면 묘갈명 병서(13세)/ 268
4. 가선대부경기병마수군절도사 류공 휘 의함 신도비명 병서(14세)/ 269
5. 어모장군충무위사직 柳후 휘 춘영 묘갈명(15세)/ 271
6. 증병조참판행보성군수 관란柳公 휘춘발 묘비명(15세)/ 272
7. 청암찰방柳공 휘 운 묘갈명(16세)/ 257
8. 효자 통덕랑 류공 휘 동신 묘갈명 병서(16세)/ 276
9. 통훈대부의금부도사 증승정원승지 류공 휘 동휘 묘갈명 병서(17세)/ 277
10. 죽사柳공 휘 경홍 묘갈명/ 280
11. 주부柳공 휘 경원 묘갈명(17세)/ 281
12. 만호柳공 휘 동인 묘갈명(17세)/ 283
13. 도원도찰방 양곡柳公 휘 철견 묘갈명 병서(17세)/ 284
14. 부호군柳공 휘 여설 묘갈명(18세)/ 286
15. 첨추공 휘 여회 묘표(18세)/ 288
16. 장사랑柳공 휘 여성(汝檉) 묘표(18세)/ 289
17. 학생柳공 휘 석(碩) 묘표(18세)/ 291
18. 학생柳공 휘 여기(汝杞) 묘표(18세)/ 292
19. 부호군柳공 휘 여걸 묘갈명(18세)/ 293
20. 춘수당고흥柳공 휘 만령 묘갈명 병서(18세)/ 296
21. 학생柳공 휘 시성 묘갈명(19세)/ 298
22. 삼소당통덕랑柳공 휘 익상 묘갈명 병서(19세)/ 299
23. 통덕랑합간柳공 휘 익하 묘갈기(19세)/ 302
24. 반죽재 류공 휘 지태 유허비명 병서(19세)/ 304
25. 조산대부행사능직장 류공 휘규 묘갈명(20세)/ 306
26. 진사柳공 휘 이택 유허비(20세)/ 307
27. 동암柳공 휘 지기 묘갈명 병서(24세)/ 308
28. 남계거사柳공 휘 생규의 묘표(25세)/ 310
29. 회산처사柳공 휘 면규 묘갈명 병서(25세)/ 312
30. 속은 유공 휘 은규 묘표(25세)/ 313
31. 만취柳공 휘 희선 묘갈명 병서(26세)/ 315
32. 통정대부행돈녕부도정청송당柳공 휘 원순 묘갈명 병서 (26세)/ 317
33. 효자죽정柳공 휘 기선 공적비(26세)/ 319
34. 행통훈대부 진해현감 고흥류공총석 송덕비(27세)/ 320
35. 탄운柳공 휘 춘석 묘갈명 병서(27세)/ 322
36. 석계처사 고흥류공 태석 묘갈명(27세)/ 327
37. 춘암고흥류공 제중 기적비(28세)/ 330
38. 성곡거사柳공 휘 제필 묘도비명 병서 (28세)/ 331
Ⅵ. 고창세거 고흥류씨 영광 종중의 문헌선
1. 15世 將仕郞高興柳公諱.遺遺墟碑銘 <靈光>/ 337
2. 將仕郞高興柳公諱.墓表 <靈光>/ 339
3. 16世 忠武衛司直 高興柳公諱仁聞墓表 <靈光>/ 340
4. 高興柳氏世阡碑 <環山 登龜峙>/ 342
5. 孺人長澤高氏墓碑 <環山>/ 344
6. 柳孝子一萍虛齋常.碑文 <環山>/ 345
7. 孝子三涯柳公事蹟碑 <環山>/ 347
8. 孝子睡漢柳公紀蹟碑銘 <環山所在>/ 348
9. 高興柳氏旌閭移建事蹟碑 <林里 旌閭閣 右側>/ 350
10. 高興柳氏三世世阡碑 <新林 加平里 蘆洞>/ 352
11. 高興柳氏四世世阡碑 <興德 種松里 內古>/ 353
12. 丈蔭柳公諱熙澈墓表 <星內 龍橋里 鶴洞>/ 355
13. 경당처사 류공 묘갈명/ 357
14. 희암가사柳공 휘 효희 묘갈명 병서/ 359
15. 참봉부군 휘 영문 묘비음기/ 361
16. 승의랑훈도부군 휘 의문 묘비음기/ 362
17. 병촉당柳공 휘 진룡 묘표/ 363
18. 계은처사柳공 휘 낙연 묘표/ 364
19. 孝烈婦平澤林氏紀蹟碑 <林里 마을 앞>/ 368
20. 孝子淸溪高興柳公事蹟碑 <林里 旌閭閣 왼쪽>/ 369
21. 義士 高興柳公明圭義蹟碑 <環山 마을 앞>/ 370
22. 彰孝祠遺墟碑文 (其一) <新林 法止里 뒤>/ 373
23. 彰孝祠遺墟碑銘 (其二) <新林 法止里 뒤>/ 374
Ⅶ. 부록
1. 고흥류씨 세적비(高興柳氏世蹟碑)/ 379
2. 고흥柳씨 삼강비/ 383
3. 高興柳氏高敞世居와 遺蹟先世及地方故實/ 386
4. 高興柳氏 高敞郡宗親會 會館 創建記/ 400
5. 고흥류씨 고창군 종친회 연혁/ 401
6. 고흥류씨 고창군역대 종친회장/ 403
7. 고창군 고흥류씨 현대사 인물/ 404
책속에서
[에필로그]
집안의 훌륭한 전통과 정신을 찾아 살피는
이 책은 고창에 거주하는 고흥류씨 일족이 살아온 족적을 총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곧 고흥류씨는 언제 어떤 연유로 어느 곳에서 이주하여 고창에 입향하게 된 것인가? 어느 곳에 모여 살며 집성촌을 이루었는가? 어떤 인물들이 있었으며, 국가나 지역 또는 그 가문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또 후세에 남긴 문헌과 유적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고 연구하여 기록으로 남기고자 한 것이 이 책이다. 그러므로 환언하면, “고창 세거 고흥류씨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지난 번 개최한 고창군 제2회 우리 조상뿌리 찾기 학술발표회(2013년 11월 9일, 주최 고창군, 주관 고창문화연구회)의 내용을 근간으로 하고 그 이후 내용을 고흥류씨 측에서 일차 검토한 뒤 이를 연구진에서 다시 수정 보완하는 단계를 거쳤다. 그러므로 문중의 인사들이 검토하는 과정에서 자료가 새롭게 첨부되었으며, 연구진에서도 추가로 증언을 채록하고 현지를 답사하여 확인하는 등의 작업을 몇 차례 더 거치며 보완하였다.
이와 같은 우리 조상뿌리 찾기 학술발표와 저술 작업을 주관하는 (사)고창문화연구회는 균형 잡힌 지역사의 정립과 전통문화의 올바른 계승을 위해 본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작년에는 고창의 유력한 성씨 중의 하나인 광산김씨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연구를 거쳐 그 결과 『광산김씨 고창세거와 문헌유적』을 발간한 바 있거니와 이와 같이 제1차 사업인 광산김씨에 대한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자 본 사업은 여러 성씨 문중은 물론 향토사연구학계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조선후기에는 명문거족을 거론할 때 대체로 연리광김(延李光金) 곧 연안이씨와 광산김씨를 손꼽았거니와 그러나 지역에는 또한 각각 그곳의 형세가 있기 마련이다. 고창지역의 경우, 조선중기 이후는 읍지류에서 대체로 조류김(曺柳金)을 삼대성씨로 기록하고 있는 바, 곧 창녕조씨, 고흥류씨, 광산김씨이다. 그 밖에도 고창에는 김해김씨, 진주정씨 등 예로부터 집성촌을 이루며 번창한 가문이 다수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회는 제2차 사업인 고흥류씨 연구가 이번에 완결됨에 따라 바로 이어 제3차 사업으로 진주정씨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착수하겠거니와, 앞으로도 본 사업은 연차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산업화에 따라 주민 다수가 출향하여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 집안 간에도 만남의 기회가 줄었으며 고향에 대한 관심도 점점 희박해지고 있다. 따라서 조상의 뿌리를 찾아 바로 알고 집안의 훌륭한 전통과 정신을 찾아 살피는 일은 조상 숭모와 애향심을 길러주는 한편 후손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끝으로 본 연구서가 나오기까지는 여러분들의 배려와 노고가 있었다. 고창군청(군수 박우정)과 고흥류씨 고창군종친회(종친회장 류택수)의 후원이 있었음을 밝히며 집필자로 참여하신 류풍연 박사(전 전주대교수), 이병렬 박사(고창문화연구회 사무국장)와 도서출판 기역 이대건 대표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2015년 2월
사단법인 고창문화연구회장 문학박사 백원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