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85152004
· 쪽수 : 514쪽
· 출판일 : 2018-11-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중국 철학
1) 사상가, 문헌, 전통
2) 중국 철학의 특징
자기 수양修身
관계와 맥락
조화
변화
3) 철학적으로 사고하기
2. 공자와 『논어』
1) 『논어』 읽기
2) 인仁: 인간다움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관심으로서의 인
인: 유가의 황금률
인과 특수한 관계의 형성
인과 실천적인 지혜
3) 예禮: 행동의 적절성
4) 인과 예
인이 근본이다
예가 근본이다
인과 예는 상호 의존적인 개념이다
5) 현대 철학 논쟁에서 자기 수양과 모범적 인격
3. 유가 철학에서 인간 본성과 수양: 맹자와 순자
1) 맹자: 선함의 배양
도덕성은 인간 본성에 자연적으로 주어진 부분이 아니다
인간 본성은 자연적으로 선함을 지향하지 않는다
모든 인간이 자연적으로 선함을 지향하는 것은 아니다
2) 순자: 인성人性의 형성
3) 하늘天의 길과 인간人의 길
4. 고대 묵가 철학
1) 10개의 학설
2) 공동 행복의 극대화
3) 표준을 가지고 일하기
5. 도가와 『도덕경』
1) 도가의 철학과 실천
황노 도가 사상
노장 혹은 철학적 도가
2) 『도덕경』에서 도와 덕
도道: 실재 혹은 우주적 전망
덕德: 영향력 혹은 효능
도道: 길
3) 『도덕경』에서 무위와 자연
무위無爲
자연自然: 자연계
자연: 스스로 그러함
6. 명가와 후기 묵가
1) 명가
혜시
공손룡
2) 후기 묵가 사상
구별하기와 유사성 인식하기
명칭, 명제, 지식
과학적 논의
겸애의 실천: 공리주의 도덕
3) 중국 전국시대의 논쟁
7. 법가 철학
1) 세 가지 근본 주제: 형법, 기술, 권력
법法: 표준과 형법
술術: 관료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
세勢: 권력
'위대한 집대성자' 한비자
2) 법가 철학의 논쟁
인간 본성
백성
가장 좋은 사람인가 아니면 가장 좋은 시스템인가?
관료제
기밀, 권력, 지식 통제
통치와 인간의 행복
8. 장자
1) 장자의 회의주의
2) 인식론적 질문
3) 수양과 숙련
영성
정치적 삶에의 참여
숙련
4) 장자 철학의 함의
9. 『역경』과 중국철학에서 『역경』의 위치
1) 통합과 제국의 사상적 토대
2) 상관적 사고
음양, 오행, 기
자연적 종교적 인간적 세계
3) 『역경』의 정신
관찰의 우월성
모든 것을 아우르는 전체론적 관점
이원론에 대한 변증법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접근
상관적 사고와 공명
괘의 의미와 상응성에 대한 해석적 접근
시의적절함과 실천적 지혜
4) 『역경』의 영향
10. 중국 불교
1) 인도 불교의 근본 교리
2) 중국 초기 불교
3) 중국 불교 교리
삼론종三論宗
유식종唯識宗
천태종天台宗
화엄종華嚴宗
선종禪宗
4) 중국 불교 철학
더 읽을 자료
옮긴이 주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책속에서
지난 20년간 영어권 학자와 학생 그리고 관심 있는 일반인 사이에서 중국철학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