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9118519507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5-04-08
책 소개
목차
제1장_ 춘절의 내력
제1절 오곡풍숙으로 보는 연(年) 009
제2절 섣달제사(臘祭)로 보는 연(年) 013
제2장_ 춘절의 전설
제1절 만년력(萬年曆) 019
제2절 부뚜막 신(?神) 024
제3절 삼시신(三屍神) 029
제4절 제석(除夕)과 수세(守歲) 032
제5절 춘련(春聯) 036
제6절 문신(門神) 044
제3장_ 고금의 춘절 행사
제1절 섣달 작은 설 049
제2절 섣달그믐 061
제3절 정월 초하루 069
제4절 정월 초이틀 074
제5절 정월 초사흘 078
제6절 정월 초나흘 080
제7절 정월 초닷새와 초엿새 082
제8절 정월 초이레 085
제9절 정월 초여드레 088
제10절 정월 초아흐레부터 정월 열나흘까지 089
제11절 정월 보름 091
제4장_ 춘절 풍속
제1절 음식 풍속 095
제2절 오락 활동 103
제3절 묘회(廟會) 112
제4절 관등놀이 117
제5절 춘절 야회 119
제5장_ 소수 민족의 춘절 풍속
제1절 만족(滿族)의 춘절 풍속 125
제2절 몽골족(蒙古族)의 춘절 풍속 130
제3절 조선족(朝鮮族)의 춘절 풍속 136
제4절 이족(?族)의 춘절 풍속 140
제5절 쫭족(壯族)의 춘절 풍속 143
제6장_ 현대 중국 춘절
제1절 춘절 귀가 151
제2절 춘절 연휴의 황금주(?金周) 154
제3절 매체와 인터넷 156
제7장_ 국제화로 나가는 춘절
제1절 동남아 나라들의 춘절 풍속 161
제2절 동아시아 나라들의 춘절 풍속 170
제3절 기타 나라들의 춘절 풍속 175
책속에서
춘련은 빨간 종이에 새해의 소망이나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는 어구를 적어 기둥이나 문에 붙이는 주련으로서 붙이는 곳에 따라 “문심(門心)”, “광대(?對)”, “횡피(橫批)”, “춘조(春條)”, “두근(?斤)” 등 여러 가지로 나뉜다. 그 중 “문심”은 문짝 위쪽 복판에 붙이는 주련이고 광대는 문 양편 설주에 붙이는 주련이며 “횡피”는 문미(門楣)에 가로 붙이는 횡련(橫聯)이고 “춘조”는 실내에 붙이는 한 장씩 되어있는 주련이며 “문엽(門葉)”이라고도 부르는 “두근”은 가구나 가림 벽에 붙이는 마름모꼴로 되어 있는 빨간 도안이다. 춘련이라 하면 어느 것에나 횡피가 따른다. 춘절은 온 세상이 함께 즐기는 명절로서 가가호호에서는 집 문에만 춘련을 붙이는 것이 아니라 돼지우리, 닭장 등 축사에도 “계압만권(?鴨滿圈), 우양성군(牛羊成群), 육축흥왕(六畜興旺)”이라는 춘련을 붙여 가축의 흥성도 기원한다. 뜰 안의 큰 나무에는 “수대근심(樹大根深)”이라는 춘련을, 담벼락에는 “춘광명미(春光明媚)”, 집 안의 아랫목 벽에는 “행복건강(幸福健康)”, 부뚜막에는 “근검절약(勤儉節約)”이라는 춘련을 붙여 집 안팎을 온통 붉은 춘련으로 장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