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91185195162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15-04-08
책 소개
목차
제1장_ 이족 복장절의 기원
제1절 조리노와 조라노의 이야기 009
제2절 “농경제사(農耕祭祀)”와 “화두제(.頭制)” 015
제3절 아미니와 아다시의 이야기 022
제4절 미이루와 두견화의 이야기 027
제2장_ 복장절의 분포
제1절 융런현(永仁縣) 즈쥐(直.)의 복장절 033
제2절 따야오현(大姚縣) 싼타이(三台)의 복장절 045
제3절 따야오현(大姚縣) 탄화(曇華)의 삽화절(.花節) 052
제3장_ 복장절의 풍속
제1절 민간 신앙과 비모 문화(畢摩文化) 065
제2절 가무 예술 073
제3절 민족 운동 경기 082
제4절 “처녀방”에 놀러가기 087
제5절 이족 음식 094
제6절 술과 노래 099
제7절 복장절의 장터 105
제4장_ 복식 특징과 자수 예술
제1절 이족 복식의 특점 111
제2절 색상의 함의 119
제3절 무늬의 상징 124
제4절 자수 예술 133
제5장_ 복식의 이모저모
제1절 머리 장식 139
제2절 상의 145
제3절 허리 장식 151
제4절 바지 156
제5절 신발 158
제6절 양가죽 옷 160
제7절 비모 신의(畢摩神衣) 163
제6장_ 현대 이족 복장절
제1절 단원화 명절에서 다원화 명절로 발전 169
제2절 전통 명절에서 현대화 명절로 전환 172
제3절 국제화로 나가는 이족 복장절
어느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이족 문화 174
책속에서
이족의 복식은 이족 복장 문화의 상징이라고 한다. 이족은 부족(部族)이 많은 민족으로서 복식 종류도 300여 가지에 달하여 중국 각 민족 복식의 으뜸을 차지하고 있다. 아름답고 현란한 이족 복식은 그들의 물질 재부이자 민족 신분의 표현이며 동시에 이족 여성들의 총명한 재질과 공예 수준의 상징이다. “신화를 장식하고 역사를 수놓는다.” 이 말은 이족 복식에 대한 가장 적절한 비유라 할 수 있다. 이족의 복식은 전부 여성들이 만든다. 그녀들이 깔끔한 솜씨로 한 뜸 한 뜸 지은 복장은 행복한 미래를 갈망하는 그녀들의 아름다운 염원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추슝 일대에서 살고 있는 이족의 부족은 무려 13 개에 달하는바 같은 이족이라 해도 각 부족 간의 다른 생활환경, 생활 방식, 풍속 습관에 따라 복장 양식, 무늬, 색상 등 방면에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어떤 부족의 복장은 고귀하고 화려하며 어떤 부족의 복장은 간결하고 실용적이며 또 어떤 부족의 복장은 소박하면서도 대범한 특징을 나타낸다. 한 부족이라 해도 연령, 성별, 혼인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며 부락마다 사용하는 명절복, 일상복, 혼례복, 상복 및 비모의 복장에도 약간한 차이가 있다. 이 복장들은 모두가 특정적인 역사적 배경과 독특한 문화적 특색을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