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91185195087
· 쪽수 : 218쪽
· 출판일 : 2015-04-08
책 소개
목차
제1장_ 원소절의 기원과 전설
제1절 제여지란(諸呂之亂) 평정을 기념한 한문제(漢文帝) 011
제2절 한무제(漢武帝)의 태일신(太一神) 제사 013
제3절 한명제(漢明帝)의 점등경불(點燈敬佛) 016
제4절 도교(道.)의 삼원설(三元說) 020
제5절 동방삭(東方朔)과 원소처녀(元宵姑娘) 022
제2장_ 원소절의 변천사
제1절 수(隋)나라 원소절 030
제2절 당(唐)나라 원소절 034
제3절 송(宋)나라 원소절 036
제4절 명(明)나라 원소절 040
제5절 청(.)나라 원소절 042
제6절 파경중원(破鏡重圓)의 이야기 045
제7절 고대 여성들의 광환절(狂歡節) 047
제8절 도적질을 낙으로 하는 원소절 050
제3장_ 원소절의 풍속
제1절 관등(觀燈) 055
제2절 등시(燈市) 060
제3절 원소 먹기 071
제4절 등미(燈謎) 풀이 077
제5절 등련(燈聯) 맞추기 081
제6절 등시(燈詩) 흔상하기 085
제7절 용등(龍燈)놀이 087
제8절 꽃불놀이 090
제9절 죽마놀이 093
제10절 사자춤 096
제11절 그네놀이 099
제12절 축서(逐鼠) 활동 101
제13절 등롱을 선물하기 103
제14절 자고신(紫姑神) 맞기 106
제15절 주백병(走百病) 109
제16절 도채(盜菜) 111
제4장_ 각지의 원소절 풍속
제1절 저쟝(浙江) 타이저우(台州)의 원소절 115
제2절 수저우(江蘇)의 원소절 122
제3절 동북(東北)의 원소절 125
제4절 쟝시(江西) 닝두(寧都)의 원소절 127
제5절 광시(廣西) 다바진(大..)의 원소절 135
제6절 타이완(台灣)의 원소절 141
제7절 산시(山西)의 사화(社火)놀이 156
제8절 산둥(山東)의 묘회, 등회(燈會), 서회(書會) 163
제9절 광둥(廣東) 차오산(潮汕)의 원소절 171
제10절 간쑤(甘肅) 린탄(臨潭)의 만인 줄다리기 181
제5장_ 소수 민족의 원소절 풍속
제1절 투쟈족(土家族)의 원소절 풍속 187
제2절 먀오족(苗族)의 도채절(盜菜節) 192
제6장_ 해외의 원소절
제1절 호주의 원소절 197
제2절 한국의 원소절 199
제3절 말레이시아의 원소절 202
제4절 일본의 원소절 205
책속에서
원소는 중국 전통 음식의 하나로서 원소절에 없어서는 안되는 식품이다. 원소절의 밤은 달이 둥그는 밤이고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단란히 모이는 밤이다. 하여 원소절에 먹는 원소는 둥근달과 가족의 단원(團圓)을 뜻하는 원형으로 만들어 졌다.
원소절에 원소를 먹는 풍속은 송나라 때부터 시작하였는데 그 때는 원소를 “탕원(湯圓)”, 혹은 “원자(圓子)”, “단자(團子)”, “원자(元子)”, “수단(水團)”, “탕단(湯團)”이라고 불렀다. 이런 기재들로부터 분석해 보면 당시 탕원의 종류가 아주 다양한 것으로 풀이 된다. 원나라의 <무림구사(武林舊事)>에 적은 “명절의 음식으로는 우유로 만든 원자(圓子), 녹두죽, 메주탕(.湯)이다.”라는 기재는 사실 원소절의 음식을 말하는 것이다. 명나라에 들어서면서 탕원의 제작 방법도 더욱 발전하였다. 명나라 역사학자 유약우(劉若愚)가 쓴 [작중지(酌中志)]에는 원소의 제작 방법도 기재되어 있다.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호두만큼 큰 새알심을 빚고 그 속에 호두소와 설탕소를 넣어 끓여 먹는 식품으로서 강남에서는 탕원이라고 부른다.” 명나라 시기의 탕원 제작 방법은 이미 오늘날의 원소 제작 방법과 매우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원소절에 원소를 먹는 것은 중국 사람들이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 풍속이다. 만약 정월 보름에 원소를 먹지 않았다면 설을 채 쇠지 못했다고 한다. 원소를 먹어야만 원소절에 단란히 모일 수 있다는 이념은 이미 중국 사람들의 공동한 인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