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85720029
· 쪽수 : 385쪽
· 출판일 : 2014-08-04
책 소개
목차
course 1
서울역~청량리
서울역 12 시청 17 종각 22 종로3가 27 종로5가 32 동대문 36 동묘앞 40
신설동 45 제기동 50 청량리 55
course 2
남영~신창
남영 62 용산 67 노량진 72 대방 76 신길 80 영등포 84 신도림 88 구로 92 가산디지털단지 97 독산 101 금천구청 104 석수 108 관악 111 안양 116 명학 121 금정 126 군포 130 당정 134 의왕 138 성균관대 141 화서 144 수원 148 세류 154 병점 158 세마 161 오산 165 진위 169 송탄 174 서정리 178 지제 183 평택 185 성환 190 직산 194
두정 198 천안 201 봉명 206 쌍용 209 아산 212 배방 216 온양온천 219 신창 223
course 3
구일~인천
구일 228 개봉 231 오류동 235 온수 240 역곡 243 소사 248 부천 253 중동 258
송내 262 부개 265 부평 269 백운 274 동암 279 간석 283 주안 286 도화 291
제물포 294 도원 300 인천 304
course 4
회기~소요산
회기 312 신이문 316 석계 320 월계 324 녹천 328 창동 332 방학 335 도봉산 339
망월사 343 회룡 346 의정부 350 가능 354 녹양 357 양주 360 덕계 364 덕정 368 지행 371 보산 375 동두천 378 소요산 38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서울역
漢城한성에 비해 조선시대 내내 더 잘 불렸던 명칭이 漢陽한양이다. 漢陽이라는 지명과 관련해서는 중국의 예를 참고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보통 산의 남쪽을 陽양이라고 적었으며, 강의 북쪽을 또 이 글자로 적었다. 이를 적용해서 漢陽이라는 지명을 살피면 제법 그럴듯하다.…漢陽한양이 문제다. 그 기준이 북한산이라면 그나마 괜찮다. 만약 漢陽이라는 이름의 기준이 한강이라면 상당히 부자연스럽다. 중국의 기준대로라면 한강의 북쪽은 陽양이어서 볕이 잘 들고 따뜻하며 건조해야 한다.…그 점에서 따져보면 조선의 수도를 漢陽한양으로 적고 부르는 것에는 유감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강은 중국의 강과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의 한강은 서쪽으로 흘러 서해로 들어간다. 강의 남북을 보는 시선이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조선시대 내내 우리 할아버지들은 이곳을 漢陽으로 부르고 적는 데 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p. 13~15
시청(市廳)
영어로 시청은 city hall이다.…市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市場시장’의 뜻이다.…이 市시는 항상 우물을 뜻하는 井정이라는 글자와 붙어 다녔다. 그래서 동양 초기의 시장은 市井시정이라고 적는 경우가 많았다.…다음의 글자가 廳청이다. 이는 건축의 구조
에서 살필 필요가 있는 글자다.…그래서 堂은 大廳을 뜻하는 廳청과 동의어다.…쓰임새와 의미 또한 같다. 공개적인 장소라는 의미가 나날이 커져 이제는 官廳관청의 의미로도 많이 쓴다.…堂당이라는 말도 재미있다. 공자는 어느 한 분야의 핵심이 있는
곳을 室실로 표현했지만, 실제 건축물의 모습에서 가장 웅장하고 멋진 곳은 堂이다. 공개적인 장소이니 만큼 그럴듯하게 지어야 했던 까닭이다. 그래서 堂의 모습은 멋지다. 그 모습이 멋져서 堂堂당당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正正堂堂정정당당’의 어원이다.
pp. 17~21
남영(南營)
군이 주둔하는 기지를 직접적으로 軍營군영으로 적는다. 營門영문이라는 단어도 군대 주둔지를 가리킨다. 군대가 행군 등을 하다가 밤을 보내는 일이 宿營숙영이다. 진을 펼치고 있는 군대를 우리는 陣營진영이라고 부른다. 轅門원문도 군대의 정문이다. 전쟁터에 끌고 다니는 수레인 轅원을 주둔지에 세워 문으로 삼았던 데서 나왔다.
p. 62
노량진(鷺梁津)
순우리말 지명에서는 ‘돌’ ‘도’가 자주 보인다. 해안가 지명에서 특히 자주 눈에 띈다. 우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불세출의 명장 이순신 장군이 적을 맞아 싸웠던 鳴梁명량과 露梁노량이 있다. 아울러 통영의 蛇梁사량과 見乃梁견내량 등이 있다. 앞의 鳴梁과 露梁은 우리 식 지명으로 부를 때는 ‘울돌’과 ‘노돌’이다.…이 問津문진이라는 단어는 결국 ‘길을 묻다’라는 뜻으로 진화했다. 그러나 왜 하필 ‘나루’를 뜻하는 ‘津진’이라는 글자가 붙었는지 주목할 일이다.
pp. 73~75
영등포(永登浦)
이 登등이라는 글자 밑을 받치고 있는 부분에 주목하시라. 豆두라는 글자 말이다. 이는 우리가 흔히 ‘콩 두(豆)’로 알고 있는 글자다. 그러나 원래의 출발점은 ‘콩’에 앞서 제사를 드릴 때 사용하는 일종의 祭器제기다.…따라서 영등포의 永登영등은 ‘영원히 풍성한’ ‘길이길이 번창하는’의 뜻이다. 영등포는 그래서 ‘영원히 번창하는 (한강 유역의) 포구’라는 의미의 글자 조합이다.
pp. 85~86
관악(冠岳)
한자 冠관은 우선 옛 동양사회에서 귀족 등이 썼던 모자를 가리킨다. 때로는 최고의 권력자인 황제가 쓰는 모자도 일컫는다. 冠과 함께 모자 앞에 구슬을 드리웠던 君王군왕의 모자인 冕면(면류관 면)을 붙이면 冠冕관면인데, 역시 일반적인 옛 동양의 모자이기도 하고 권력자가 머리에 얹는 모자도 의미한다. …桂冠계관도 月桂冠월계관과 마찬가지 뜻이다. 단지 과거 영국에서 왕실에 속해 가장 대표적인 문인의 자리에 오른 사람을 ‘poetlaureate’로 호칭했고, 동양은 이를 ‘桂冠詩人계관시인’이라고 옮겼다.…그렇다고 서양의 전유물은 아니다. 동양에서도 그런 말이 있다. ‘월계수 가지를 꺾다’라는 뜻의 ‘折桂절계’라는 단어다.
p.112
천안(天安)
한자 이름 天安천안의 유래는 고려 왕건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그러나 이 이름은 고려 6대 임금인 成宗성종에 이르러 없어진다. 그는 고려 초의 개혁적인 군주다. 그러나 중국의 학문에 조예가 깊었고, 아울러 고려 사회를 중국 식의 유교적 사회로 개편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선보였다.…17세기에 나온 존 버니언의 寓意우의 소설
pp. 201~205
오류동(梧柳洞)
각기 오동나무와 버드나무를 가리킨다. 오동나무는 한자로 梧桐오동이다.…우리 조상들은 딸을 낳으면 이 나무 세 그루를 문 앞에 심었다고 한다. 성장한 딸이 시집 갈 때 옷을 넣는 장롱 등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였다고 한다.…버드나무를 가리키는 한자는 이‘ 柳류’ 말고도 ‘楊양’이 있다.…둘은 생김새가 약간 다르다.…앞의 버드나무는 가지가 크게 늘어져 바람에 따라 춤을 추지만, 뒤의 버드나무는 아래로 크게 늘어지
지 않고 위를 향한다.
pp. 235~238
역곡(驛谷)
이 驛역이라는 글자는 ‘말을 두는 곳’이다. 역시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역참의 뜻과 다르지 않다. 조선시대에는 이 역참이라는 단어 외에 驛院역원, 郵驛우역, 驛館역관 등의 단어도 쓰였다. …역참의 말을 우리는 驛馬역마라고 적었고, 그곳에서 일하는 병졸들을 驛卒역졸, 그곳의 관리를 驛吏역리라고 했다.…가끔 신문사가 주최하는 마라톤 이름이 눈길을 끌 때가 있다. ‘驛傳역전 마라톤’이다. 지금은 기차역을 중심으로 마라톤 구간을 설정하지만, 그 유래는 역참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 驛傳이라는 단어는 역참에서 서로 오가는 통신과 공문 등을 일컫는 말이다. 驛遞역체라는 말도 있는데, 지금의 郵遞局우체국에 쓰이는 遞체라는 글자가 들어가 있다. 이 글자는 ‘건네다’의 새김이다. 역을 통해 급히 전해지는 문서 등을 가리킨다.
p. 245~246
신이문(新里門)
조선 때 도둑을 막기 위해 각 마을마다 설치한 게 里門이문이라고 한다.…중국 고대 도시 건설의 기록을 보면 이와 관련 있는 글자와 단어들이 제법 많이 등장한다. 우선은 우리가 자주 쓰는 閭閻여염이다.…이 閭閻여염은 里門이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 고대 도시 건설에서는 우선 성 안에 사는 민가 다섯을 隣린(또는 ?린)으로 규정했고, 다섯의 隣이 하나의 里리를 이루도록 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에 따른다면 하나의 里 안에는 모두 25채의 민가가 있었다는 얘기다.
pp. 316~317
월계(月溪)
달을 지칭하는 이름은 아주 많다.…혹시 춘향이가 이몽룡을 만나 사랑을 속삭였던 곳이 어딘지를 기억하시는지? 바로 廣寒樓광한루다. …밤에 빛을 내린다고 해서 아예 때로는 달을 夜光야광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달의 전체적인 모습이 두꺼비를 닮았다고 느낀 사람도 많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두꺼비를 뜻하는 한자 蟾섬을 이용해 玉蟾옥섬이라고도 불렀다. 옥으로 만든 두꺼비라는 얘기다. 거울을 연상시켜 玉鏡옥경이라는 말도 따랐다. 옥으로 만든 쟁반 같다고 해서 붙은 이름은 玉盤옥반이다.…그래서 달에는 얼음의 이미지도 따른다. 달을 얼음 수레바퀴라는 뜻의 氷輪빙륜, 얼음거울이라는 뜻의 氷鏡빙경이라고도 부르는 이유다. 춘향과 몽룡이 사랑을 속삭였던 곳이 왜 휑뎅그렁(廣)해서 차가움(寒)을 느끼게 해준다는 廣寒광한의 이름으로 불렸는지 이해할 만하다.
pp. 325~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