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91185720357
· 쪽수 : 419쪽
· 출판일 : 2017-04-12
책 소개
목차
제12장 청천강을 건너며
불안감 속에 넘은 강 014
먼 남쪽에서 이동한 중공군 포로 020
중공군 피에 젖은 전차 026
압록강 물 뜨려다 포위당한 국군 032
제13장 낯선 군대 중공군
후퇴를 결심하다 040
미군 엄호 부대의 불길한 행군 047
무전기로 흘러나오는 미군의 비명 053
아군을 구하지 못하고 물러선 미군 060
후퇴 뒤의 위문공연 066
제14장 가장 추웠던 겨울
내 옆으로 날아온 총탄 074
참담한 겨울의 협곡 080
후방에 침투한 중공군 086
죽음의 계곡, ‘인디언 태형’ 092
장진호의 혹독한 겨울 098
강추위와 눈보라 속 격전 104
항공로 후퇴를 거부했던 미 해병사단장 110
중공군 좌절시킨 미군의 보급 116
5만 중공군 전투력 상실 123
미 UDT가 일으킨 흥남부두 큰 불기둥 129
제15장 2군단의 해체
묘향산서 도망친 국군 138
파상공세의 중공군 144
국군 2군단 와해, 유엔군 긴급 철수명령 150
싸울 의지가 부족했다 156
제16장 횡성의 대패
전선 분위기 바꾼 리지웨이 164
실체 드러내는 중공군 170
용감한 터키군의 백병전 176
중공군 11만 명 홍천으로 급거 이동 182
8시간 만에 포위당한 국군 8사단 188
8사단 사망과 실종자 7,100여 명 195
미군의 지평리 대첩 201
제17장 사창리 패전
서울 탈환에 앞장선 화교 부대 210
은퇴를 예고한 전쟁 영웅 216
문산 일대에 공수작전 222
맥아더 사임으로 침울했던 이승만 228
45개 사단 나선 중공군 5차 공세 234
영국 글로스터 대대의 혈전 240
패배의 두려움 안고 행군한 국군 6사단 246
중공군에 다시 등을 보이다 252
“당신 군인 맞나?” 258
호주와 캐나다 군대의 분전 264
“서울은 다시 못 내준다”, 밴 플리트의 결기 270
제18장 현리 전투
동부전선으로 은밀하게 이동한 중공군 278
가장 치욕스런 패배의 시작 284
소양강엔 중공군 대부대 출현 290
소양강 넘어 새카맣게 몰려든 중공군 296
아군 후방으로 곧장 내달은 중공군 303
중공군의 폭풍 같았던 질주 309
한국군과 미군의 치명적인 실수 315
“병사는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321
후퇴로가 막혀 닥친 혼란 327
중공군에 역공을 펼칠 생각이 없었다 333
뒤로 마구 내뺀 국군 3군단 본부 339
계급장과 무기 버리고 도주 345
중공군을 사냥하다 351
밤새 이동한 미 3사단에 중공군 혼쭐 357
한국군 작전지휘권 박탈 363
준비가 없었던 국군 수준의 반영 369
한국군 교육을 위한 밴 플리트의 결심 375
제19장 용문산의 설욕
국군 6사단의 호된 복수 384
철모에 붉은 페인트로 쓴 ‘결사(決死)’ 390
저녁에 강을 건넌 중공군 396
“이대로 물러서면 다 죽는다” 402
중공군 드디어 무릎 꿇다 408
오랑캐 몰살시킨 호수, ‘파로호’ 414
리뷰
책속에서
“미군 전차 사병은 알 수 없는 소리를 질러대고 있었다. 그는 전차에서 뛰어내려 이상한 고함소리를 내지르면서 지휘소 앞마당을 마구 뛰어다녔다. 이어 전차를 지휘했던 소대장이 그 뒤를 따랐다. 사병의 뒤를 따르던 소대장은 급기야 미식축구에서나 볼 수 있는 태클을 걸어 병사를 쓰러뜨렸다. 김점곤 대령은 어안이 벙벙했다. 핏빛으로 돌아온 전차, 실성해서 뛰어다니는 사병, 그를 태클로 넘어뜨린 소대장…. 김점곤 대령은 그 안에 담긴 곡절을 전차 소대장으로부터 자세히 들었던 모양이다. 결론은 간단했다. 우리 앞에는 아주 심각하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많은 수의 중공군이 버티고 있었던 것이다.“
“중공군은 군우리에서 순천으로 향하는 가장 직접적인 협곡에 이미 매복을 마친 상태였다. 전면의 강력한 중공군 공격에 당황한 미군은 달리 상황을 따질 겨를도 없이 그 협곡에 거칠게 들어서 후퇴를 서두르고 있었다. 아군은 넓게 쳐놓은 그물에 어쩔 수 없이 걸려든 새, 깊고 미끄러운 독으로 빠져든 쥐와 같았다. 협곡은 좁고 긴 골짜기다. 넓게 트인 개활지(開豁地)와는 다르다. 후퇴의 국면에서 협곡에 들어설 때, 그나마 적이 발을 들이지 않는 경우라면 다행이다. 신속하게 대열을 이뤄 순서를 정해 빠져나가면 그만이다. 그러나 적이 이미 높은 곳에서 아군을 겨냥할 수 있는 감제(瞰制)의 고지에 매복을 하고 있는 경우라면 상황은 아주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