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86096475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17-06-15
책 소개
목차
여는 말_ 오늘에 더욱 필요한 조소앙의 삼균주의 사상
추천하는 말_ 균등한 21세기를 꿈꾸며
1장 출생과 학문, 일본 유학 시절
2장 중국으로 망명, 독립운동의 길에 나서다
3장 두 가지 ‘독립선언서’를 작성
4장 임정 외교활동, 시민주의 현장체험
5장 한국독립당 창당 참여와 각종 저술활동
6장 국무위원으로 임정의 진로를 제시
7장 민족혁명당 참여와 재건한국독립당 창당
8장 피난기 통합운동과 임시정부 외교위원장
9장 대일 선전포고문 작성하다
10장 ‘대한민국건국강령’을 기초하다
11장 임시정부의 외교활동 주도, ‘카이로선언’에 큰 기여
12장 임정 승인 위한 치열한 외교활동
13장 일제 항복 전후 임정의 국제관계 대책 세워
14장 격동하는 해방정국에서 신념 지켜
15장 단정 반대의 격류 속에서
16장 삼균주의청년동맹과 학생동맹 결성
17장 혁신정당 사회당 창당과 제2대 총선참여
18장 정계 진출, 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 최고 득표
19장 납북과 사망 그리고 그에 대한 평가
닫는 말_ 거대한 이념의 용광로 정제된 실천논리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시기에 조소앙은 독특한 활동을 하였다. 국내외 동포의 대동단결을 정신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종교통일의 방안으로 ‘육성교’를 제창한 것이다. 그는 일본 유학 시절부터 육성교를 구상하게 되었다고 한다. 전통 유학과 근대 교육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기독교에 입문하고서도 불교와 이슬람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3·1독립선언서」가 비폭력적인 저항을 선언한 데 비해 「대한독립선언」은 한민족 전체의 ‘육탄혈전’을 촉구하여 무장전쟁론을 제시한 것이다. 국내와 국외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국망 이후 지도급 독립운동가들의 ‘독립선언’에 ‘육탄혈전’을 천명한 것은 최초의 일이다. 조소앙의 무장전쟁론의 의지를 살피게 하는 대목이다.
조소앙은 대단한 필력의 소유자다. 구하기 어려운 국내의 각종 자료와 통계를 조사하여 식민지 조선의 참상을 밝히고 용어 하나에도 독립운동가로서의 굳은 신념을 내보였다. 일본을 ‘적’이라 호칭하고, 일제의 한국침략을 ‘병탄’이라고 썼다. 독립을 하고도 오랜 세월 동안 ‘을사보호조약’이라 쓰고, 지금도 일부 사학자들이 ‘5조약’이니 ‘합병’ 또는 그나마 ‘강제합병’의 용어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면, 그의 투철한 역사관을 보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