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86184332
· 쪽수 : 183쪽
· 출판일 : 2016-05-01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방법
Ⅱ.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체계성 및 문제점 분석
1. 대한체육회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분석
가. 개요
나. 총칙
다. 지도자 및 선수등록에 관한 사항
라. 지도자·선수 활동에 관한 사항
마. 징계조치에 관한 사항
2. 가맹경기단체(대한축구협회)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분석
가. 개요
나. 용어의 정의
다. 총칙
라. 등록
마. 선수 자격 심의 및 관련 사항
3.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체계성 분석
가. 개요
나. 대한체육회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체계성 분석
다. 가맹경기단체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체계성 분석
라.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체계성 분석 결과
4.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문제점 분석
가. 체육단체 통합에 따른 생활체육동호인의 등록 및 대회출전 근거마련 미비
나. 지도자 자질향상 및 자격기준 강화 규정 미비
다. 학령과 맞지 않는 연령제한으로 인한 선수등록 문제
라. 입시비리를 유발하는 부당한 지원서의 발급 및 관리
마. 전 소속단체장의 이적동의서 미발급에 따른 제재 미흡
바. 조문 내용의 불명확·모호성으로 인한 혼동 및 오인문제
Ⅲ.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해외사례 분석
1. 독일의 선수 등록제도
가. 개요
나. 선수자격의 취득
다. 독일축구협회의 선수등록제도
라. 독일육상협회의 선수등록제도
마. 경기참가에 대한 별도 등록 및 포상과 등록의 연관성
바. 지도자 자격 및 등록에 관한 사항
사. 소결
2. 영국의 선수등록제도
가. 개요
나. 영국육상협회 선수등록제도
다. 지역 선수등록제도(잉들랜드(England)육상협회)
라. 소결
3. 일본의 선수등록제도
가. 개요
나. 일본올림픽위원회(JOC)의 「올림픽강화지정선수」제도
다. 일본체육대회의 선수자격 기준
라. 경기단체(일본테니스협회)의 선수등록제도
마. 중앙경기단체의 선수등록제도
바. 소결
Ⅳ.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개정 및 신설규정 의견 조사
1. 등록규정 개정 및 신설규정 의견 조사 개요
가. 조사 설계
나. 조사 방법 및 내용
다. 조사 진행 절차 및 분석
2. 등록규정 개정 및 신설규정 의견 조사 결과 분석
가. 대한체육회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에 대한 전체의견 조사 분석
나. 대한체육회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에 대한 세부의견 조사 분석
다. 대한체육회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에 대한 심층면접(IDI)의견조사 분석
Ⅴ.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개정방안 및 개정안 마련
1.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개정방향
2.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개정방안
가. 체육단체 통합에 따른 생활체육동호인의 등록 및 대회출전 근거마련
나. 지도자 자질향상 및 자격기준 강화 규정 마련
다. 학령에 맞는 선수등록 연령제한 규정 개정
라. 체육특기자에 대한 지원서의 발급 및 관리 규정 삭제
마. 전 소속단체장의 부당한 이적동의서 미발급에 따른 제재 조치 신설
바. 조문 내용의 명확성 및 알기 쉬운 용어, 문장으로 개정
3. 「지도자ㆍ선수 등록규정」 개정안 마련
가. 총칙(제1장)
나. 지도자, 선수 및 체육동호인 등록(제2장)
다. 지도자·선수 및 체육동호인 등록(제3장)
라. 징계조치(4장)
마. 부칙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지도자·선수·체육동호인 등록 규정」안
[부록 2]「지도자·선수 등록규정」 개선방안 설문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