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찬성씨록을 통해 본 일본 고대 인물의 정체

신찬성씨록을 통해 본 일본 고대 인물의 정체

조정래 (지은이)
피플파워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9,1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찬성씨록을 통해 본 일본 고대 인물의 정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찬성씨록을 통해 본 일본 고대 인물의 정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고대/중세사
· ISBN : 9791186351475
· 쪽수 : 387쪽
· 출판일 : 2022-09-05

책 소개

경남 함안군청에서 가야사담당관으로 근무하고 있는 조정래 작가가 일본 고대 서적 연구로 일본 고대 역사의 허구를 밝혀낸다. 일본 고대 서적의 근간이 되는 <신찬성씨록>을 세밀하게 분석했다.

목차

책머리에
결실을 돕는 책이 되길 바라며 ……… 5

제1장 신찬성씨록
1. 신찬성씨록 ……… 12
2. 신찬성씨록의 판본과 성씨 개수 ……… 14
3. 고대 일본 서적의 성씨 ……… 18
4. 고대 일본 서적의 등장인물 ……… 25
5. 성씨와 관련해서 유의할 점 ……… 40

제2장 신찬성씨록의 실존 인물(황별)
1. 시조로 분류된 인물 ……… 46
2. 천어중주존과 근초고왕 ……… 50
3. 언태인신명과 무내숙녜(건내숙녜) ……… 55
4. 대언명 ……… 69
5. 일본무존과 탁석별명, 언좌명 ……… 81
6. 백제왕과 신즐별명, 반충별명, 치순모이우왕 ……… 87
7. 기성왕과 식장언인대형기성명, 비고유모수미명 ……… 98
8. 기성진언명과 신전부왕, 고시왕 ……… 121
9. 대대명과 풍성입언명, 다기파세군, 대황전별명 ……… 124
10. 치무언명과 어지별명, 도속별 ……… 127
11. 그 외 황별 인물 ……… 133

제3장 신찬성씨록의 실존 인물(신별)
1. 앞 장에서 이미 확인된 인물 ……… 153
2. 천진언근명 ……… 154
3. 대기귀명과 대국주신 ……… 161
4. 소잔오존 ……… 172
5. 진속혼명과 천아옥근명 ……… 182
6. 천수일명 ……… 183
7. 화란강명 ……… 191
8. 명일명문명과 천향산명, 오십맹신 ……… 192
9. 대명초언명 ……… 197
10. 건반근명과 천어영명 ……… 198
11. 천사대주명(천내팔중사대주신) ……… 199
12. 대폐소저명과 대도여명 ……… 200
13. 소좌능웅명 ……… 201
14. 그 외 신별 인물 ……… 203

제4장 신찬성씨록의 실존 인물(제번과 미정잡성)
1. 한(漢) ……… 231
2. 백제 ……… 248
3. 고려(고구려) ……… 262
4. 신라와 임나 ……… 267
5. 미정잡성 ……… 268

제5장 성씨록 인물 비정에 따른 결론
1. 실존 인물의 최소화 ……… 282
2. 일본 고대 서적의 편찬 시기 ……… 285
3. 일본서기의 편년은 거짓 ……… 287
4. 일본서기 천황의 허구와 그 실체 ……… 313
5. 무내숙녜의 정체와 임나일본부의 허구 ……… 319
6. 최종 결론 ……… 325

부록
신찬성씨록 원본

저자소개

조정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경남 함안 출생. 소설가. 함안문인협회, 경남문인협회, 한국문인협회 회원. 〈잊혀간 왕국, 아라〉에 대한 시리즈로 《사라진 뱃사공》, 《옥돌에 얽힌 저주》, 《고분군의 수호자》, 《연꽃 위의 처녀》, 《검은 바다의 소용돌이》를 출판했고 별권으로 《칠지도, 아라홍련을 품다》가 나와 있다. 아라에 대한 고증으로 일본의 고서(古書)를 연구하다 〈일본서기 천황과 임나일본부는 허구〉라는 시리즈로 전체 3권의 학술서를 쓰고 있다. 조만간 출간될 2권과 3권의 제목은 각각 《일본서기 신대기와 신공황후 신라 정벌의 본질》과 《일본서기 해석을 통해 본 임나일본부의 허구》이다. 2022년 현재 함안군청 가야사담당관으로 근무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은 고대 일본의 성씨와 그 시조를 적은 책으로 제52대 차아천황 시절인 815년에 총 30권으로 편찬되었다고 한다.
서문에는 초대천황인 신무가 등극해 국조(國造)와 현주(縣主)가 생겨난 이래로 우여곡절도 있었지만 그런대로 이어오던 성씨가 승보 연간에 제번의 청을 들어 원하는 성을 내려준 후 서로 고귀한 뿌리라고 주장하면서 다툼이 일어나고 이에 만다친왕 등이 고기(古記)와 박관(博觀), 구사(舊史)를 탐구해 신찬성씨록을 편찬했다고 되어 있다.
(신찬성씨록)


지금까지의 고고학적인 발굴 성과는 한반도 문명의 일본 유입을 이야기하고 있고 신찬성씨록을 통해서도 그걸 증명할 수 있다.본서를 읽다보면 왜 한반도에서 건너간 사람들이 일본신의 혈통이라고 주장했는지 깨닫게 될 것이다.
(신찬성씨록)


한 성씨의 시조가 두 사람 이상일 수는 없다. 한 사람이 여러 개 성씨의 시조가 될 수는 있어도 하나의 성씨에 시조가 여러 명 있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혀 다른 시대에, 전혀 다른 이름이 몇 번이나 나오더라도 같은 성씨의 시조이면 그들은 한 사람일 수밖에 없다.
(고대 일본 서적의 등장인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