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여기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입니다](/img_thumb2/979118635887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8635887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0-10-15
책 소개
목차
1장. 창살 없는 감옥, 식민지 조선
총칼로 다스려진 우리 민족
우리 민족을 둘로 가른 문화 정치
우리 민족의 정신을 없애는 민족 말살 정책
3·1운동, 독립을 향한 외침의 준비
2장. 각지에 세워진 임시 정부
국내외에 세워진 8개의 임시 정부
임시 정부의 통합 움직임
3장. 상하이 임시 정부
독립 운동의 거점이 된 상하이
임시 정부의 혈관, 교통국과 연통제
임시 정부의 심장, 임시 의정원
외교 독립을 꿈꾸다
군사 활동을 준비하다
교육·문화 활동을 전개하다
임시 정부의 자금 운영 마련
임시 정부의 혼란
최고의 아군이자 조력자 프랑스
임시 정부 해체를 위한 조선 총독부의 움직임
한인 애국단 조직하다
4장. 이동 시기 임시 정부
임시 정부 먼 길을 떠나다
김구 암살 작전
한인 특별반, 임시 정부의 원동력이 되다
5장. 충칭 임시 정부
항일 투쟁 세력 충칭에 모이다
한국 광복군이 창설되다
일본을 상대로 한 결사항전
조선 의용대, 한국 광복군과 합병하다
영국과의 연합 작전
일본의 항복으로 무산된 국내 진공 작전
6장. 광복 후 임시 정부
조국으로 돌아가다
좌우익 세력의 갈등에 휘말리다
통일 정부 수립에 앞장서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으로 이어지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총 12년 동안 교과서를 통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만나왔습니다. 하지만 제가 만난 그 어떤 학생들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예하의 한인 애국단 단원이 80명이나 있었다는 사실을 몰랐습니다. 그저 교과서를 통해 의거에 성공했다는 것과 시험에 나오는 이봉창, 윤봉길 의사만을 기억할 뿐입니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은 이름도 없이 사라진 수많은 독립 영웅의 피와 땀과 눈물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점을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이 책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27년간의 발자취를 따라가면서 교과서에는 나오지 않는 임시 정부 이야기를 들려줄 것입니다. 1910년 국권 피탈 시기부터 1945년 광복이 되기까지의 잔혹했던 일본 식민 통치라는 큰 틀 속에서 임시 정부의 상하이 시기(1919~1932), 이동 시기(1932~1940), 충칭 시기(1940~194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시기(1945~1948)를 함께 따라갈 것입니다.
3·1운동은 우리가 독립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과제를 던져주었습니다. 청원이나 비폭력 시위로는 독립을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만주나 연해주에서 활발하게 무장 독립 투쟁이 전개되었습니다. 한편 3·1운동은 세계 여러 약소 민족의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에 큰 자극제가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5·4운동이 일어났고, 인도에서는 비폭력·불복종 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베트남, 필리핀 등 식민 상태에 있던 아시아 각국의 민족 운동에도 큰 자극이 되었습니다. 3·1운동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일본에 맞서 결사 항전을 하려면 통일적 지도부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제기된 것입니다. 이에 따라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이 선출한 대표자들이 법에 따라 나라를 다스리는 공화주의에 입각하여 우리 민족의 독립 운동을 이끌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탄생했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임시 정부 개조안이 합의된 후 1919년 9월 6일 통합 임시 정부의 개정 헌법이 탄생했고, 9월 11일에는 신헌법을 공포하고 내각을 발표하면서 ‘상하이 통합 임시 정부’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 통합된 임시 정부는 독립 운동 단체와 우리 민족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습니다. 중국과 러시아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45개 단체들이 통합된 상하이 임시 정부에 지지 의사를 밝혔습니다. 통합 임시 정부 수립에 대해서 꼭 알아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10년 국권을 피탈당한 지 9년 만에 3·1운동 정신을 계승하여 단절되었던 한민족 정권을 다시 세웠다는 것입니다. 정치 체계에 있어서는 오랜 기간 이어온 군주제가 폐지되고, 한국 역사상 최초로 헌법에 기초한 민주 공화제의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이것은 황제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