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86463352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08-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교사의 전문성은 수업이다
0부. 좋은 수업과 수업 전문성
01. 좋은 수업은 학생의 역량을 키운다
02. 좋은 수업을 준비하는 두 가지 키워드: 대화와 상호 작용
03. 교과에 대한 많은 지식 ≠ 수업 전문성
04. 사회 수업, 쉽게 보기 그레잇 vs 어렵게 보기 스투핏
1부. 토의·토론, 사회 수업을 만나다
01. 토의·토론 수업, 그것이 알고 싶다
02. 교사의 민주성이 좋은 수업 재료다
03. 좋은 대화는 토의·토론 수업의 베이스캠프
04. 토의·토론이 있는 학급살이를 준비하라
05. 토의·토론 수업을 결정하는 위대한 전략: 모둠
06. 토의·토론 수업이 학급살이다
07. 과정 중심 평가: 토의·토론 수업을 평가하는 세 가지 체크 포인트
'토의·토론 톡!?Talk?' 학생 과정 중심 평가 기록지: 관찰하고 기록하라
2부. 협력적 토의·토론: 소통과 참여를 키우다
01. 브레인스토밍 토의·토론: 창의적 사고력을 키우다
02. 브레인라이팅 토의·토론: 포스트잇을 활용한 분류 기법
03. PMI 토의·토론: 긍정 vs 부정
04. 질문 만들기 하브루타: 질문을 이용한 행복한 논쟁
05. 친구 가르치기 하브루타: 친구에서 선생님으로!?선생님에서 친구로!
06. 피라미드 토의·토론: 선택하고, 선택하고, 또 선택하라
07. 모둠 의견 만들기 토의·토론: 합의를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풍경
08. 만다라트 토의·토론: 대주제와 소주제의 아름다운 하모니
09. 전시장 관람 토의·토론: 학생이 큐레이터가 되다
10. 포토스탠딩 토의·토론: 사진으로 시작하는 한 편의 스토리
11. 다양한 씽킹맵 토의·토론: 여덟 가지 빛깔의 생각 지도
12. KWL 토의·토론: 알고 있는 것, 알고 싶은 것, 알게 되는 것의 만남
13. CDI 토의·토론: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비교·분석하다
14. 전문가 토의·토론: 학생이 전문가가 되다
3부. 디베이트 토의·토론: 일곱 가지 기법으로 디베이트를 완성하다
01. 디베이트 토의·토론 용어 사용 설명서
02. 1:1 토론: 짝꿍과 논쟁하다
03. 2:2 토론: 모둠과 논쟁하다
04. 3:3 토론: 모둠과 모둠이 논쟁하다
05. 1:N 토론: 일당백으로 논쟁하다
06. 학급 전체 토론: 학급을 찬반 토론으로 이끌어라
07. 물레방아 토론: 회전목마를 타듯 논쟁하다
4부. 토의·토론으로 사회 수업을 디자인하라
01. 교과서와 지도서: 때로는 친구처럼, 때로는 웬수처럼
02. 토의·토론의 주제, 도약 과제를 찾아라
03. 김경훈표 브랜드: 사회 수업 디자인을 공개한다
04. 세상에 하나뿐인 토의·토론 수업 만들기
05. 물레방아 토론과 패널 토론(물레방아 패널 토론): 사고력을 키우는 토의·토론 방법
06. PMI 토의·토론과 2:2 토론(PMI 2:2 토론): 찬반 토론을 도출해 내는 토의·토론 방법
07. 서클맵 토의·토론과 하브루타(서클맵 하브루타): 질문을 뽑아내는 토의·토론 방법
08. 하브루타와 브레인라이팅 토의·토론(하브루타라이팅 토의·토론): 포스트잇으로 만들어 내는 토의·토론 방법
5부. 바로 배워 바로 쓰는 사회 수업 케이스 스토리
01. 역사 수업: 역사를 배우다 vs 역사에서 배우다
02. 지리 수업: 지도를 넘어 합리적 선택을 배우다
03. 일반 사회 수업: 정치와 경제로 사회를 보는 안목을 기르다
│에필로그│ 교사는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배움을 디자인하는 사람이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업을 할 때마다 ‘지금 내가 하는 수업이 맞을까’, ‘이것이 과연 옳은 수업일까’하고 고민할 때가 많다. 이 질문에 답을 얻으려면 자신만의 교육철학이 필요하다. 핵심역량을 길러주고, 아이들이 즐겁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요점은 바로 대화와 상호작용이다.
- <0부 좋은 수업을 준비하는 두 가지 키워드: 대화와 상호작용>
수업을 연구하면 할수록 수업이 학급살이라는 생각은 더욱 확고해진다. 수업은 학생들이 서로를 배려하고 경청하는 학급 분위기를 만들어야 잘할 수 있다. 학급살이를 잘하지 못하는 반에서 좋은 수업을 하기는 어렵다.
- <1부. 토의·토론 수업이 학급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