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8649939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6-12-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I 발견하는 인간
1 지도의 비밀
2 완전성에 대한 열망 : 플라톤
3 보편이라는 유토피아 : 뉴턴
4 다르다? 다르지 않다! : 차이의 과잉
5 우연의 인과법칙 : 프로이트
II 구현하는 사유
6 재현의 장인
7 다르지 않다? 다르다! : 진짜 차이
8 인문학적 상상력 : 부정과 비교
9 공학적 합리성 : 실증과 절차
10 창의적 문제 해결 : 가치와 연결망
에필로그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지도는 인간의 삶을 혁신한 대표적인 지적 유산 가운데 하나입니다. 지도는 공간을 추상화함으로써 실재 세계를 모사합니다. 그렇게 추상화한 공간 위에서 우리는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중국 명나라 남해 원정대의 정화鄭和나 동양을 향해 서쪽으로 떠난 콜럼버스C. Columbus가 모험을 시작할 수 있었던 것은 지도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도는 가보지 않은 길에 도전할 수 있도록 우리를 자극합니다. 가보지 않은 길을 가려면 미래를 설계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지도는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나가는 사유 방식을 상징합니다.
철학자 플라톤의 위대한 점은 육체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이데아를 우리가 정신의 눈으로 본다는 사실을 일깨워준 데 있습니다. 그 이데아를 현실에서 구현해나가는 과정은 완전성을 향한 도정이기도 합니다. 비록 현실과 이데아 사이의 간극이 때로는 비극을 빚어내기도 하지만, 결국은 그 비극적 간극이야말로 인간으로 하여금 완전성을 향해 나아가도록 자극하는 원동력이기도 합니다.
갈릴레이는 우리가 오감을 통해 알던 세계를 전혀 다른 방식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 장본인이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갈릴레이는 플라톤의 후예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 다른 방식이란 바로 수학입니다. 그는 세계가 수학적 언어로 기술될 수 있음을 깨달았으며, 그것이 진리를 발견하는 데 아주 효과적 방법이라는 사실을 눈치챘습니다. 세계를 수학적으로 이해한다 함은 우리가 경험하는 자연에 대해 감각이 빚어놓은 색깔을 지워버린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갈릴레이의 수학적 방식은 질적인 차이들을 소거하고 오직 측정할 수 있는 양으로만 세계를 보려는 태도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