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86504109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20-01-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05
일러두기 009
서론: <춘향전>을 읽는 시각·015
제1장 질문: 논의의 출발
01. '춘향전'을 보는 두 시각 027
02. 춘향은 성노예였는가 042
03. 춘향은 무죄 048
04. 기생의 수청에 대한 법률 052
05. 춘향에게 씌워진 죄명 061
06. 사또의 죄명 070
제2장 만 남
07. 광한루 상봉의 현장 081
08. 춘향의 기생 신분 092
09. 춘향이 기생이 아니라는 주장의 검토 110
10. 이도령이 본 춘향 신분 120
11. 춘향이 생각한 자기 신분 128
12. 춘향의 희망 135
13. 불망기와 언약 152
제3장 사 랑
14. 외설인가 예술인가 165
15. 이도령의 춘향 존중 181
16. 춘향의 이도령 흠모 188
17. 사랑의 공간과 대화 193
18. 성애의 현장 201
제4장 대 결
19. 춘향의 정절을 보는 두 시각 211
20. 조선시대 기생 정절의 성격 219
21. 춘향의 항거에 대한 기존 설명의 검토 232
22. 춘향과 신관사또의 첫 대면 246
23. 대결의 현장 259
24. 춘향은 누구와 싸웠나 271
제5장 생활과 문화
25. 낭청이라는 존재 289
26. 여러 이본에 담긴 책객의 모습 299
27. <완판 84장본>이 완성한 책객의 형상화 310
28. 이도령과 방자의 <천자문> 읽기 319
29. <천자문>을 둘러싼 아동교육 논쟁 324
30. 암행어사의 봉고와 수령 파직 331
31. 이도령의 신관사또 봉고파직 337
32. <완판 84장본>과 민중의식의 향방 343
제6장 변용: 이광수의 '일설 춘향전'
33. <일설 춘향전> 개관 355
34. 등장인물의 삶의 태도 359
35. 춘향 주체성의 퇴보 369
36. 춘향의 사랑과 종속성 375
37. 신분 평등의 표방과 실제 381
38. 방자의 주체성 상실 386
결론: <춘향전>의 역사적 성취·395
자료 및 인용 논저 407
찾아보기 419